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가정법 구문에서 동사의 상 분포 양상 분석 : V,past,(i)pf + бы + ты 구조를 중심으로

        이상아 한국노어노문학회 2022 노어노문학 Vol.34 No.4

        본 논문은 러시아어 가정법 구문에서 동사의 상의 분포 양상을 다루었다. 구체적으로는 가정법 구문의 원망의미가 촉구의미로 기능 전이(확장)할 수 있는 맥락 조건으로 ‘V,past,(i)pf + бы + ты’구조를 제시하였고, 러시아국립코퍼스 (Национальный корпу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НКРЯ) 자료에 기반한 불완료상과 완료상의 양적 비교 및 용례 파악을 통해 가정법과 상 범주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상짝을 이루는 동사에서는 주로 완료상짝이 선택되고, 자주 사용하여 정형화된 구조에서는 불완료상 동사가 사용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특히 고빈도 어휘 목록을 구성하는 동사군의 어휘의미적 속성에서 상에 따른 차별적 양상이 관찰되었다. 불완료상 동사는 대체로 존재, 지각, 상태 동사에 속하여 상황 변화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거나 변화의 결과로서 존재하는 정적 특성을 보유한다. 반면, 자주 사용되는 완료상 동사는 대개 행위자의 의지에 따라 상황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고 결과 달성의 의미를 갖는 동적 특성을 보유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2인칭 역어순 구조의 가정법 원망발화에서 완료상이 우세한 형태이고 불완료상 동사는 관습화된 어결합 단위를 형성하며, 상 선택에서 동사의 어휘의미적 속성이 작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을 이용한 고고도 장기체공 항공기 날개의 정적 공탄성 해석에 관한 연구

        이상아,박경현,김정화,전상욱,이동호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4

        본 연구에서는 고고도 장기체공 항공기 날개 모델에 대해 공력 축소모델(Reduced Order Model;ROM)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POD)를 이용한 정적공탄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Full order 공력해석을 통한 Snapshot을 추출하기 위해 3D Euler Solver를 이용하였으며, 이들 Snapshot들을 통해 날개 주위 유동장의 거동을 모사하는 POD의 기저벡터를 계산 하였다. 계산된 기저벡터는 POD의 공력해석 검증과 정적 공탄성 해석을 위한 공력-구조 연계해석에 적용 하였다. 해석대상이 된 날개는 구조적 대변형이 발생하는 유연날개 구조를 가지므로 비선형성이 고려된 정적 공탄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 결과는 full order 3D Euler Solver와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POD를 이용한 정적 공탄성 해석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static aeroelasticity analysis using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POD) is performed for HALE aircraft wing. Three dimensional Euler equation is solved to exclude snapshot data of the full order aerodynamic analysis, and then a set of POD basis vectors reproducing the flow field around the wing is calculated from these snapshots. The POD basis is applied to validation of POD and 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for static aeroelasticity. Because the wing analysed in this study has characteristic of flexibility of large deflection, the study has performed with nonlinear Finite Element Method(FEM)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full order analysis and accuracy and efficiency of POD are confirmed.

      • KCI등재

        플랫폼 가사서비스 노동자 위험 경험과 구조에 관한 연구

        이상아,유다영 한국산업노동학회 2021 산업노동연구 Vol.27 No.3

        As the Korean O2O housework service market enlarges, platform houseworkers are being exposed to newborn social risks. This study explored the risk that platform houseworkers in Korea may experience and further aims to analyze the pattern structure of 6 cases and their occurrence in depth through the qualitative contex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isks they experience differed from those of existing houseworkers. Initially,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physical risk was increased by the fragmentation of work, and the possibility of mental risk was increased in the extreme flexibility without a set task and a set consumer. Furthermore, platform houseworkers were exposed to new-found risks of increasing invisible labor and infringement of personal data. With the inadequate information of the platform housework applications, workers were incessantly doing unpaid labor to work in better conditions. Lastly, job insecurity and income insecurity were acting as a mechanism for more significant exposure to this risk due to their defenselessness to women, platform workers, and actual household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isks experienced by platform domestic workers and in what contexts the risks appear as a qualitative context-pattern analysis study. Based on up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policy for platform houseworkers. 본 논문의 목적은 플랫폼 가사서비스 노동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위험과 구조를 질적 방법론을 통해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플랫폼 가사서비스 노동자를 심층인터뷰를 하였고, 기존의 가사서비스 노동자들이 경험했던 위험과 플랫폼 노동자들이 경험하는 새로운 위험이 동시에 발생하여 종단적, 횡단적 측면에서 위험이 중첩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잠정적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개별 사례들에서 위험의 취약성은 삶의 맥락과 결부되어 나타났고, 이에 대한 대처는 제도 차원이 아닌 개인과 가족 차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플랫폼 가사서비스 노동자의 위험은 기존 가사서비스 노동의 위험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플랫폼 노동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플랫폼 가사노동자 위험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역할창조과정에서의 매체 특성에 따른 화술훈련 연구

        이상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14 연기예술연구 Vol.6 No.1

        오늘날은 디지털 다매체 시대로 케이블 TV와 위성방송의 보급이 확대되고 방송과 인터넷이 만나는 등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변화가 전개되고 있다. 다양한 공연형태의 새로운 매체들이 계속 출현하고 방 송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늘어나면서 연기자의 직업의 선호도는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이렇듯 연기자의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연기자가 갖추어야 할 연기적인 요소 또한 중시되는데 그 중에 서도 화술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연기자의 화술은 자신의 말이 아닌 극중 인물의 언어를 가상의 공간 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자신의 상대역 뿐 아니라 제 3의 인물, 즉 관객 또는 TV를 포함한 모든 영상분야를 시청하는 이들에게 내용과 줄거리, 감정의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상의 말하기와는 다른 영역임을 인식 하고, 연극연기와 카메라연기에서 화술에 차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매체의 특성에 맞는 화술을 보다 효과 적으로 구사하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기에 있어 연극과 카메라라는 두 매체는 화술의 구사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필수 요소들 뿐 만 아니라 매체의 수용이나, 전달방식, 작업환경과 방법에서 차이점을 인식하고, 거듭되는 훈련을 통 해 다양한 캐릭터의 창조적 개성과 자발적 충동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운용하여 진실 된 화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e cultural art industry of our society has changed rapidly. That means the condition of the actors also has done so.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media, technical elements and given situation affect performer how to do the intensity of expression and feeling continuous and cut off due to the interference. In many of these characteristic, the performer should change or configure the different style of acting and narrative 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media. Therefore, this study is to help the perform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mutual media when the he/she creates the role and present narrative more effect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o they both have common in training in way of making sound, which is the basic element of narration,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how to deliver the method or accept the media. The performer can make more truthful and accurate narrative by training constantly for recognizing the technical mechanism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As such, this study shows that at the present time, the performer who acts to a wide variety of the media, there are some differences when the performers express their narrative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Also this study is pointing out that there is no education that teaches the differences. Furthermore, to achieve a successful transition for the actors and make efficient narrative needs more subdivided acting direction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 KCI등재

        동서양 웹 만화에 나타난 문화적 차이 연구 : 한국 웹툰 <미생>과 미국 웹코믹스 <배트맨>의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이상아,홍성철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1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로 자리 잡은 웹툰은 국내 시장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 한국적 문화가치를 담고 있는 웹툰이 문화적 토양이 다른 미국 등 서양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본 연구는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규명한 니스벳(Nisbett)과 홀(Hall), 호프스테더(Hofstede)의 문화심리학 이론을 적용, 한국과 미국의 웹툰과 웹코믹스를 분석했다. 한국의 <미생>과 미국의 <배트맨>의 634개의 컷을 내용 분석한 결과, <미생>에서는 종합적 사고를 하는 동양인의 특성, <배트맨>에는 분석적 사고를 하는 서양인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것을 확인했다. 또 <미생>에는 가족이나 집단, 애국심 등과 같은 집단주의 표현이 많았으며 <배트맨>에는 개인의 리더십과 영웅주의 등 개인주의 특색이 그대로 표출됐다. 한국의 웹툰과 미국의 웹코믹스에는 불확실성의 회피, 장기지향성, 고맥락 등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담긴 웹툰의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미국 등 서구인들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전략을 구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As one of representative Korean media contents, webtoons begin to enlarge their markets into global markets. However, there are some doubts their successe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S. webtoons. Based on the frames suggested by cultural psychologists Nisbett, Hall, and Hofstede, the study explored the cultural differences in terms of holistics (analytic) perception, individualism(collectivism), Power distance, Masculinity, Uncertainty avoidance, Long-terms orientation, and high context (low context) society. A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holistic perception instead of analytic description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Korean webtoon rather than American webcomics, and vice versa. At the same times, collectivist characters such as family values or group identities were more frequently appeared in Korean webtoons than American webcomics. There were also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Mishang’ and ‘Batman.’ There are uncertainty-avoidance, long-terms orientation, and high-contexts.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Power Distance and Masculinity. Because cultural differences were expressed in webtoons, the Korean webtoons need to consider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globalized market.

      • KCI등재

        지역고용정책은 청년실업 해소의 대안일 수 있는가?:서울시 청년고용정책의 한계와 가능성

        이상아,이승윤 한국노동연구원 2018 노동정책연구 Vol.18 No.2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local employment policies in solving the youth labor market problem through case study of Seoul youth employment policies. The case of Seoul Youth employment policies have been analyzed focusing on four aspects 1)budget independence, 2)subjectivity of policy formation, 3)labor market coherence, 4)linkage of delivery system. Analysis from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eoul youth employment policies were operated on there own budget and there were policy decision making bodies linked to Employment & Labor Policy Bureau and the Seoul Youth Policy Network and Seoul Youth Hub. It had an integrated delivery system in the form of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and an operating organization centered on the Employment & Labor Policy officer in Seoul.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limitations in Seoul youth employment policies that it could not effectively cope with Seoul youth labor market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job quality, mismatch between demand and supply in local labour market, and long-term unemployment.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ctive consideration of four aspects which are budget independence, subjectivity of policy formation, labor market coherence, and linkage of delivery system when constructing a local employment policies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Korean youth labor market. 본 연구는 서울시 청년고용정책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의 청년노동시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지역고용정책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고용정책의 개념과 속성을 예산의 독립성, 정책 형성의 주체성, 노동시장 정합성, 전달체계 연계성으로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청년고용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청년고용정책들은 중앙정부의 예산 매칭 사업이 아닌 전액 시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담당관과 청년 정책 네트워크와 청년 허브로 연결되는 정책결정기구가 존재하였다. 서울시 일자리정책담당관을 중심으로 한 중간조직과 운영기구 형식으로 통합적 전달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서울시 청년고용정책이 지역고용정책으로서의 청년실업 문제의 대안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일자리 질의 악화, 수요와 공급 간 미스 매치, 장기실업이라는 서울시 청년 노동시장 문제에 대해 서울시 청년고용정책은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한국 청년 노동시장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 지역고용정책이 네 가지 측면에 대해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비정형 항정신병약제가 비만과 당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상아,조석주,문재철 제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21 The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Vol.18 No.3

        Atypical antipsychotics are more effective than typical antipsychotics and have fewer side effects such as tardive dyskinesia and extrapyramidal symptoms; therefore, prescriptions of atypical antipsychotics are increasing. However,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a higher incidence of diabetes, hyperglycemia, and obesity than typical antipsychotics. Atypical antipsychotics induce obesity-inhibiting appetite-related receptors such as serotonin and dopamine. Decreased exercise due to improving psychotic symptoms, and genetic characterictics can also cause weight gain. Hyperglycemia and hypoglycemia were another metabolic problem related to treatment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The mechanisms of hyperglycemia were mainly related obesity, decreased anorexigenic hormones, and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 multiple organs. There are also reports that genes related to diabetes have an effect on the incidence of diabetes mellitus tre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not clear why hypoglycemia occurs, it documented in case reports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more reports of atypical antipsychotics than typical antipsychotics and these are frequently reported in Asians. Further research on the mechanism of hypoglycemia related to atypical antipsychotics is strongly recommended.

      • 지역고용정책과 청년, 노인 고용활성화와의 관계 : 고용의 양과 질 측면을 중심으로

        이상아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0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고용정책 유형들이 고용 활성화(Activation), 그리고 청년과 고령자 활성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지역고용정책을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유형을 확인하고, 지역고용정책의 대상 포괄성, 정책내용의 적극성, 정책재원의 독립성 이 세 가지 요소와 세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한 지역고용정책 유형을 모두 고려하는 정책 통합적 접근을 통해 고용 활성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4-2019년 시기의 전국 225개 각 시도에 속한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고용정책 유형별 활성화 관계를 밝혔다. 분석 결과, 빈약한 지역고용정책 유형보다 한 요소라도 발전된 지역고용정책에서 지역 전반과 노인 질적 활성화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포괄적인 적극적고용정책형에서는 양적 활성화와 질적 활성화가 모두 빈약한 지역고용정책형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고용정책이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어졌던 고용률과 실업률 등과 같은 양적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질적 활성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즉, 지역고용정책은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지역고용정책의 3가지 요소 중 한가지만이라도 갖추어졌을 때 소극적 상태에 놓여진 대상이 진입가능한 일을 확대하고, 지역고용정책을 통한 장기고용가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