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11 RNA 중합효소의 Cloning 및 발현

        이상수,Lee, Sa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論文集 Vol.9 No.1

        PCR 방법을 이용하여 K11 RNA 중합효소를 coding하는 Klebsiella phage gene 1을 cloning 하였고 lac 전사촉진제 조절 하에 발현시켰다. K11 RNA 중합효소는 DAEA-sephacel과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ies를 사용하는 상용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DAEA-sephacel의 0.2-0.3 M $NH_4Cl$ 분획에서 K11 RNA 중합효소의 활성을 보였고, 다음 단계의 Affigel blue column에서 SDS-polyacryl amide gel 상의 단일 band로 분리되었다. K11 RNA 중합효소는 T7 그룹 phage RNA 중합효소로 다른 T7 그룹phage RNA 중합효소와 많은 상동성을 보인다. (대장균 phage T7, T3과 Salmonella tyhimurium phage SP6 RNA 중합효소). 이미 우리는 T7과 SP6 전사촉진제 변이체를 제조한 바 있고 T7과 SP6 RNA 중합효소의 전사촉진제 특이성을 연구한 바 있다 (이상수와 강창원, 1993). K11 RNA 중합효소의 전사촉진제 특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SP6 전사촉진제 변이체를 사용하여 in vitro K11 RNA 중합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변이체 중 K11 전사촉진제와 가장 유사한 것이 가장 높은 K11 RNA 중합효소 활성을 보였다. Using the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gone 1 of phage K11 coding for K11 phage RNA polymerase has been cloned and expressed under the control of lac promoter. K11 phage RNA polymerase was conventionally purified through the DEAE-sephacel and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ies. The 0.2-0.3 M $NH_4Cl$ fractions of DAEA-sephacel column chromatography showed K11 phage RNA polymerase activity and further purification with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y showed nearly single protein band on SDS-polyacryl amide gel. K11 phage RNA polymerase, which is one of the T7 group phage RNA polymerase (E. coil phage T7, T3 and Salmonella tyhimurium phage SP6 RNA polymerase), shares high degrees of homology with the other T7 group phage RNA polymerase. Previously we constructed T7 and SP6 promoter variants and revealed promoter specificity of T7 and SP6 RNA polymerase (Lee and Kang, 1993). To investigate the promoter specificity of K11 RNA polymerase in vitro K11 promoter activity was measured with SP6 promoter variants. The SP6 promoter variant share highest degrees of sequence homology with K11 promoter sequence show strongest promoter activity.

      • KCI등재

        고강도 모르타르용 결합재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수,이윤성,이강필,Lee, Sang-Soo,Lee, Yun-Seong,Lee, Kang-Pil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4 No.4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실리카흄의 대체재로 활용가능한 메타카올린, HMBA의 치환율에 따른 고강도모르타르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그 성능을 규명하여 실리카흄의 대체재로 활용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 실험결과 굳지않은 모르타르에서 목표 플로우를 도달하기 위하여 치환율이 커질수록 고성능감수제의 첨가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기량은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역학특성에서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에서는 Plain보다 실리카흄과 메타카올린 HMBA을 치환한 배합이 강도가 높았으며, 치환율이 커질수록, 재령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각각의 혼화재를 치환한 배합의 강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HMBA보다 실리카흄과 메타카올린을 치환한 배합이 강도가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메타카올린과 HMBA를 첨가한 모르타르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고가의 실리카흄의 대체재료로 활용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t's important to study about suitable substitutional material of expensive silica fume because it used widely for silica fume as a high-strength mortar binding ag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ich is the most efficient binder for the expensive silica fume's alternative material. And this study also present basic data about to make high-strength mortar when we use alternative material instead of silica fume through research outcome. Also writers analzed flow properties respectively, so it was founded out the substitutional goods fare like meta-kaolin, HMBA which are less expensive than silica fume because they are in domestic enough.

      • KCI등재

        역혈행성 비복 동맥 피판술을 이용한 연부 조직 결손의 재건

        이상수,이영호,김주성,최재혁,이영현,유연식,남일현,Lee, Sang-Soo,Lee, Young-Ho,Kim, Joo-Sung,Choi, Jae-Hyuck,Lee, Young-Hyun,You, Yeon-Sik,Nam, Il-Hy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1

        Purpose: We would introduce the reverse superficial sural artery flap to reconstruct soft tissue defect on lower leg, ankle, and hind-foot. Materials and Method: From October 1998 to December 2001, we reconstructed 12cases (l2patients) of soft tissue defect around the hind - foot, ankle, and distal lower extremity with the reverse sural artery flap. Results: The time for flap dissection was 28 minutes in average. The size of the flap was from $4\times3cm$ to $14\times10cm$. All flaps survived. Conclusion: The reverse superficial sural artery flap is the useful technique for the soft tissue defect in the lower leg and the foot.

      • KCI등재
      • 국소적 섬유연골성 이형성증(FFCD)에 의한 경골 내반 - 증례 보고 -

        이상수,황호연,이동희,남일현,백애란,손경락,이상언,Lee, Sang-Soo,Hwang, Ho-Yeun,Lee, Dong-Hee,Nam, Il-Hyun,Paik, Ae-Lan,Sohn, Kyung-Rak,Lee, Sang-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2

        국소적 섬유연골성 이형성증(FFCD)은 소아에서 일측성 경골 내반 소견을 보이는 드문 양성 질환이다. FFCD는 근위 경골 내측 골간단과 골간의 이행부에 오목한 방사선 투과 음영 소견을 보이는 전형적인 방사선 소견을 지니고 있다. 경골 내반이 병변 부위에서 발생한다. 내반의 교정과 골결손의 치유가 흔히 자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골교정술을 요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절제 조직 생검술로 진단하고 절골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함으로써 치유한 FFCD에 의한 일측성 경골 내반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Focal fibrocartilaginous dysplasia(FFCD) is an uncommon, benign condition associated with unilateral tibia vara among young children. FFCD has a typical plain radiographic finding, which has a concave radiolucent defect in the metadiaphyseal junction of medial aspect of the proximal tibia. The varus deformity occurs at the site of the lesion. Spontaneous remodeling and resolution of bony defect may be expected, but the corrective osteotomy may also be needed in some cases. The authors described a case of unilateral tibia vara caused by FFCD, diagnosed by excisional biopsy and treated with dome-shaped proximal tibial osteotomy and bone graft.

      • KCI등재SCOPUS

        DEA와 Tobit 모형을 이용한 대도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

        이상수,한하늘,Lee, Sang-Su,Han, Ha-Neu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0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도시 소재 129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이러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효율성 평가의 경우 기술효율성의 비효율은 상대적으로 순수기술효율성의 비효율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향요인 분석의 경우에는 인구변수와 수도권 지역 더미변수가 도서관의 효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s and influence factors on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stage, the efficiency score analysis of 129 sample public libraries has been undertaken. In the second stage, the efficiency scores obtained from the first stage are regressed on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 (1) main source of technical inefficiency is pure technical inefficiency rather than scale inefficiency; (2) it is positive effect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efficiency that the population, the dummy variable of capital area.

      • KCI등재

        대구지역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의 요로감염 관리 실태분석

        이상수,강석정,이재민,조민현,박용훈,Lee, Sang Su,Kang, Seok Jeong,Lee, Jae Min,Cho, Min Hyun,Park, Yong Ho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1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6 No.2

        목적: 소아의 요로감염은 적절히 관리 되지 않는 경우에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다양한 관리 지침이 계속 개발되고 있고, 근래에는 근거 중심의 지침들이 만들어져서 진료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아과 의사들의 요로감염 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소아과 의사들의 요로감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적절하게 관리가 이루어지는지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대구시 지역의 78명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요로감염의 진단, 영상검사 및 치료와 예방을 위한 환자교육을 어떻게 하는지를 설문조사로 알아보았다.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발열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 요로감염을 감별하기 위하여 소변검사를 하였다. 환자가 소변을 가릴 수 없는 경우 상당수의 응답자가 무균채뇨백을 사용하여 채뇨를 하였으며, 소변배양 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가장 많이 시행하는 영상검사는 초음파였다. 항생제는 입원한 경우에만 주사로 투여하고 외래 통원 시는 경구투여를 하였다. 요로감염의 중요성, 재발과 예방 등에 대한 환자 교육을 선택적으로 하고 있었다. 방광 요관역류의 관리 지침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28.6%로서 많지 않았다. 결론: 요로감염을 진단하기 위한 시도는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무균채뇨백을 사용하여 소변배양을 하는 경우가 많아 위양성진단율이 높아져서 과잉치료가 우려되었다. 또한 영상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동반된 요로 기형의 진단이 조기에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도 우려되었다. 근거-중심의 요로감염 관리 지침에 따른 보다 적절한 관리를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Recently, many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 (UTI) have been developed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proper manage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data regarding how pediatricians manage UTIs in Korea. Therefore, we surveyed pediatricians to determine whether they manage UTIs in an appropriate manner. Methods: A postal questionnaire survey of 78 pediatricians practicing in Daegu city was performed. Subjects were asked about diagnosis, imaging studie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UTIs. Results: Most of the respondents (94.8%) performed urinalysis to diagnose UTI in febrile children with an unknown fever focus. However, many preferred inaccurate collection methods, such as bagged urine collection, and did not obtain urine cultures.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imaging modality was renal-bladder ultrasonogram. Orally administered antibiotics were preferred unless admission was needed. After diagnosis of UTI, the pediatricians usually provided information to caregivers about the disease itself and supplementary treatment. Of the respondents, only 28.6% had their ow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vesicoureteral reflux. Conclusion: Most pediatricians suspected UTI in febrile children with an unknown focus appropriately. Nevertheless, the fact that many pediatricians preferred inaccurate urine collection methods and did not perform sufficient imaging studies to detect associated abnormalities likely resulted in overtreatment due to false-positive diagnosis of UTI and a low probability of ruling out genitourinary anatomical problems. To improve the quality of management of UTI, pediatricians should follow scientific and evidence-based guide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