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주관적 인식 탐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미지(Miji Lee*),김희은(Heeeun Kim)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기 위하여 학습장애에 대한 이미지를 탐색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활용된 분석 방법은 Q 방법론이며,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된 질문지를 토대로 4명의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 35명의 예비특수교사의 서면 인터뷰 조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약 600여 개의 진술문(Q-모집단)이 확보되었으며, 범주화 과정을 거쳐 약 120개의 유의미한 진술문들을 확보, 외부 전문가 대상 내적 타당도를 거쳐 총 38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38개의 Q-표본을 35명의 예비특수교사(P-표본)의 인식을 바탕으로 9점 척도(-4~+4)를 활용하여 분류한 결과,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1유형은 29%, 2유형은 9%, 3유형은 8%, 4유형은 7%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누적변량은 53%로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으로는 1유형은 “학습장애의 학업적 저성취 강조형”, 2유형은 “학습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 촉구형”, 3유형은 “학습장애의 심리·정서적 어려움 초점형”, 4유형은 “학습장애 체계적 진단 및 촘촘한 지원 촉구형”으로 명명되었다. 4개의 도출된 유형을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추후 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학습장애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ased on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he analysis method used is the Q methodology, and for thi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4 experts and a written interview of 35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about 600 statements (Q-population) are selected, and about 120 meaningful statements are obtain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process, and a total of 38 Q-samples are selected through internal validity of 2 external experts. The final selected Q-sample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it using a 9 steps scale (-4 to +4) based on the perceptions of 35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sample). By type, the explanatory of Type 1 is 29%, Type 2 is 9%, Type 3 is 8%, and Type 4 is 7%, and the cumulative variance is 53%. Type 1 is “the type to emphasize academic underachievement of learning disability”, type 2 is “the type to focus on social awareness and interest in learning disability”, type 3 is “the type to focu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ype 4 is “the type to emphasize systematic Diagnosis and support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of study is interpre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types. We suggest directions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Education Institution to fost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13세기 초 고려의 국제 환경 변화와 생애 기록 : 고려 墓誌를 중심으로

        이미지(LEE Miji)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본고에서는 13세기 초에 고려의 변경을 넘어 온 거란 유종과 몽고, 두 집단과 고려간에 있었던 ‘거란 유종의 난’ 과 ‘형제 맹약’이 개인적 차원의 기록인 墓誌에서 어떻게 기억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현재의 시각에서 볼 때 두 사건 모두 고려 사회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되지만 본고에서 검토한 총 49편의 묘지 중 거란 유종의 난을 언급한 묘지는 10편에 불과했고, 형제의 맹을 언급한 묘지는 3편에 지나지 않았다. 21세기를 살면서 13세기 고려의 외교 관계를 바라보는 입장과 당시인의 시각이 얼마나 다른지 선명하게 보여주는 수치라고 생각된다. 또한, 현전하는 자료의 수가 워낙 적어 섣불리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고려사절요』혹은 『고려사』김취려전 등에 의해 현재의 우리는 거란 유종의 난의 마무리 단계로써 형제의 맹을 이해하는데 비해, 두 사건을 모두 언급한 묘지는 3편뿐이라는 사실로 짐작건대 당시 고려인들은 일반적으로 이 두 사건을 연관 짓지 않았다고 추측된다. 두 사건을 직접・간접적으로 겪었던 인물들의 묘지 속에서 각각의 사건 및 두 외부집단은 매우 다양하게 변주되어 기억되었다. 묘주를 위인화・영웅화하기 위해 같은 사건이라도 부분적 측면이 선택적으로 과장되기도 했고, 익히 알려져 있는 바와는 다른 인물이 해당 사건의 공로자로 부각되거나(최충헌,한광연), 숨은 공로가 밝혀지기도 했다(조충,최이). 또한 고인의 업적을 강조하기 위해 거란 유종이나 몽고와 같은 객체들이 폄하되거나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반대로 거란 유종을 遼兵・遼師(한광연 묘지)혹은 金人(김중구 묘지)등으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형제의 맹에 참여한 몽고 장수는 묘주의 영웅성을 알아보는 식견 있는 상대로 기억되기도 했고(김취려 묘지)몽고국은 외교 상대국으로서 언급되기도 했다(조충 묘지). 이처럼 기억의 편집 혹은 변용이 일어난 원인은 묘지 기록이 고인의 생애를 추모한다는 매우 강한 목적을 가진 글이기 때문일 것이다. 거의 같은 시기에 동일 작자에 의해 작성된 백분화 묘지와 이적 묘지에 나타난 거란 유종에 대한 적대감의 차이는 이러한 점을 잘 보여주었다. 아울러 왕조 차원에서는 중요한 외교 사건이라 하더라도 묘주 개인의 생애 속에서는 상대화되어 매우 소략하게 언급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조충과 김취려는 모두 거란 유종의 난을 진압하고 몽고와 형제의 맹을 맺는데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거란 유종의 난 진압 직후 사망한 조충의 묘지에서는 이 사건이 고인의 최대 공로로써 대대적으로 다루어진 반면, 그보다 14년을 더 산 김취려의 삶을 조망하는 글 속에서는 거란 유종의 난이나 형제의 맹 모두 묘주의 많은 업적 중 하나로써 다루어졌다. 묘지에 사용된 기년호를 통해 13세기 초 외교 환경의 변화가 고려인의 일상과 관련된 기년 방식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1213년 이후에는 연호 사용이 줄고 고려 왕력, 고갑자, 고인의 연령 등이 활용되었다. 금의 改元여부와 상관없이 금의 貞祐연호가 1227년까지 사용되었음을 보았는데, 이는 국제 정세변동기에 고려인들이 익숙했던 기존의 외교 질서에 따라 공식적으로 전달된 가장 최근의 연호를 계속 사용한 것이라 정리해 보았다. In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the Goryeo people encountered two unfamiliar groups; one group was the Khitan rebels who rose in revolt against the dominant Jin dynasty and another was the new rising power, the Mongols. Since the remaining official history accounts of the period record that the Mongols came into the Goryeo territory during their military operations on the Khitan rebels who had rejected to surrender to the Mongols, the observers of the 21st century sees these incidents in sequence. However, did the contemporary Goryeo people understand as we do? This paper has been developed during the process to understand how the contemporary Goryeo people perceived the diplomatic events that are assigned as so by the modern his torians. The Goryeo people composed a sort of biography when their loved one dies to remember and commemorate their lives. The biography was inscribed on a stone and they buried it. As the Goryeo epitaphs were enclosed inside the tomb it carries highly assessed contemporary information on the exact time at which the epitaphs were buried. Also the epitaphs were written within the ‘private" context rather than the dynastic or national level. Thus, I believe the Goryeo epitaphs of the 13th century would be the most proper primary sources to peruse the contemporary individuals" viewpoints on the world they belonged to. According to the epitaphs of this period it seems that the two incidents were seen as two independent events, which coincidently happened almost at the same time. We who live in the 21st century call the Khitans as ‘Khitan Rebels"(契丹遺種) as it is written in the Official History of Goryeo (『고려사』). But the contemporary Goryeo documented them, in the epitaphs, also as ‘the Liao soldiers"(遼兵・ 遼師) and even ‘the Jin citizens"(金人). The Mongols were usually described as ‘beasts"(禽獸) but also appeared as heroic figures. And the instances of year naming were only partly coherent to the ‘official" way of the dynasty. This paper construes that this discordance are the evidence of the diverse individual perceptions of the 13th century Goryeo.

      • KCI등재

        고려 초기 지칭 표현을 통해 본 對거란 관계

        李美智(Lee, Miji)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99

        본고는 고려가 선택하여 사용한 거란에 대한 지칭 표현을 주요 소재로 하여 고려가 구상했던 거란과의 관계는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명시적인 거란 지칭어 외에 戎狄?賊?仇? 등과 같은 유표적 지칭 표현 및 고려가 구상하고 있던 거란과의 관계를 짐작하게 하는 交隣?請和 등의 표현 역시 거란 지칭 표현이라는 큰 범주에 포함하여 검토하였으며, 해당 지칭 표현의 발화자와 청자 및 발화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태조대에서 성종대에 걸쳐 나타나는 無道?禽獸之國?强惡之國?戎狄 등의 거란 지칭 표현을 발화 맥락 속에서 분석해 본 결과, 이와 같은 부정적인 지칭어들은 정책적으로 선언되거나 혹은 고려 내부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사로써 사용된 측면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거란과의 관계를 지칭하는 표현들을 통해서는 당시 고려가 거란과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보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고려는 이를 자주 隣으로 묘사하였고 거란을 修好의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최승로가 태조대의 대외관계를 사대와 교린으로 나누었던 것을 보면 고려는 거란과의 관계를 중원 왕조와의 사대 관계와는 구분되는 교린 관계로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와 중원 왕조 간에는 책봉이라는 외교 형식을 통해 양국간에 상하관계가 선명하게 드러났지만, 국초 거란과의 교린 관계는 五代 및 송과의 관계와는 구분되나 아직 뚜렷한 질서나 구체적인 외교 형식이 성립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는 외부 정치체들과 개별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각각에 맞는 외교 관계를 수행해가던 고려 대외정책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The address terms which the Koryo used in 918-993 for the Khitans, were reexamined in the paper. The Koryo described the Khitans as "immoral(無道)", "bestial nation(禽獸之國)", "tough and vicious country(强惡之國)", "barbarians (戎狄)". Previous researches have argued that these phrases directly shows how much the Koryo disdained the Khitans. However, the neutral phrases for the Khitans, such as "they(彼)", "that country(彼國)", "the foreign country(外國)", are also used in the same period. Moreover, if we re-read the despising terms in the "context" including the speaker, the listener(s), and the communication situation, it is not convincing that the Koryo selected those terms only to contemn the Khitans. This paper also focused on the terms used when the Koryo defined their relations with the Khitans. The frequently chosen word was "neighbouring (隣)". Another significant phrase that reveals the Koryo"s conception on the relations with the Khitans was "getting along with the neighbours(交隣)". The Koryo differentiated "getting along with the neighbours(交隣)" from "serving the powerful(事大)". Why and how the Koryo separate those two different foreign relations is further argued in the paper.

      • KCI등재

        2023 태국 총선: 탁씬파 주도 연립정권의 탄생과 군부와의 연합

        이미지 ( Lee Miji ) 한국태국학회 2024 한국태국학회논총 Vol.30 No.2

        Thailand saw general elections held in May 2023 to elect the members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establish a new govern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will of the people rejected the political intervention of the military, but the process of organizing a new government and changing the old one presented consecutive accidents indeed. Pita Limjaroenrat, who was the prime minister candidate of the Move Forward(Kao Klai) Party that won the largest number of votes in the general elections, failed to get majority consent in the joint roll-call vote between the Senate and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which means that the one that people chose through an election could not be the nation's prime minister. It is because the structure allows one supported by the military to be a prime minister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The For Thais(Pheu Thai) Party in the Thaksin line as the second-place party joined forces with the military in long hostile relations and set up a new coalition government with Srettha Thavisin as the nation's 30th prime minister.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haksin forces and the anti-Thaksin forces managed to bring harmony after the general elections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a new government, but they excluded the For Thais Party which was the dominant party for their harmony and denied the election results as a result. The launch of a coalition government that continued the influence of the pro-military party made the course of democratization and electoral democracy still uncertain.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impact of the general elections on Thai politics and their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outcomes of the 2023 general elections in Thailand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alition government.

      • KCI등재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국내연구 동향 분석

        이미지 ( Lee Miji ),안예지 ( An Yeji ),김은삼 ( Kim Eunsa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99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장애학생 대상 학교폭력 관련 연구를 수집하였고 4가지 기준에 따라 총 34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논문의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따른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발행 시기에 따른 경향은 2009년 이전까지 드물게 연구되어오다가 2009년부터 꾸준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둘째,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대상은 대다수가 통합교육의 현장에 있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었으며 교사, 부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을 특정하지 않거나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는 연구들이 다수였으며, 학교급 역시 특정 학교급을 다루기보다 전체 학교급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셋째,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주제는 실태 및 인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예방 및 개입, 원인 및 요인 관련 주제가 비슷한 비율을 나타냈다. 넷째,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방법을 살펴보면 양적 연구 중 실태 및 인식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후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 동향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school violence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eek future research directions. Among domest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January 1999 to January 2020, studies on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ollected. In result, a total of 34 papers were selected based on four criteria. Study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of the selected pap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year of school violence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studied rarely until 2009, and has consistently continued since 2009. Second, the subjects of school violence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mostl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followed by teachers and parents. There were number of studies that did not specify the disability type or dealt with overall, and there were many papers that targeted the entire school class rather than the specific school class. Third, the subject of school violence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occupied more than half of the survey and awareness, and then the subjects related to prevention and intervention, causes and factors showed similar proportions. Fourth, as for the research method on school violence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earch on the survey and recognition was the most in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school violenc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竹諫先生逸集』의 내용과 판본 고찰

        李美智(Lee, Miji)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竹諫先生逸集』은 20세기 초에 간행된 죽간 劉筌의 문집이다. 간행시기는 20세기이지만 유전의 활동 시기는 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11세기 북송에서 활동하다가 고려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로, 현재 강릉 유씨 문중의 도시조이다. 20세기 들어 유전의 후손들이 전해내려오는 유전의 문학 작품과 후대에 작성된 시조 및 문중 관련 기록을 한데 모아 문집을 간행하였다. 국내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죽간선생일집』의 현존 판본을 비교․검토해 본 결과, 활자본은 1924년 劉秉相․劉秉翊에 의해 평양 일신활판소에서 1차 간행되었고, 2년 뒤인 1926년에는 劉弘烈에 의해 논산 文化堂에서 발행되었다. 간행시기가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는 목판본도 다수남아 있는데, 수록된 후손의 발문이 평양본보다 4편 추가된 것으로 보아 평양본 이후에 간행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목판본의 발문 편수는 논산본과 동일하므로 목판본은 논산본과 비슷한 시기에 인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윤용선 찬 신도비명의 기년 방식은 논산본과 목판본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 감모음 5편이 추가된 중간본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중간본 서문과 발문의 찬술 연대로 볼 때 1939년 이후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Jukgan Seonsaeng Iljip (『竹諫先生逸集』, hereafter Iljip) is a collection of writings allegedly written by Yu Jeon (劉筌; Jukgan 竹諫 is his nom de plume) and writings by the Gangneung Yu clan (江陵劉氏). The book was published in the 1920’s, approximately nine centuries after Yu Jeon’s life. Yu Jeon is believed as a political exile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Goryeo and the founding father of the Gangneung Yu clan of modern Korea. One can find several editions of Iljip in diverse institutions inside Korea, such as the National Librar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a few university libraries. This paper pursues the correlation and the filiation of the extant editions. The consequenc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arliest extant edition was printed in Pyeongyang in 1924 by a descendent group led by Yu Byung-ik (劉秉翊). Another descendent group with Yu Hong-ryeol (劉弘烈) published another edition in Nonsan in 1926. Xylographic editions of Iljip are also available, but they do not provide any direct publication information. Based upon the number of the epilogues (跋文) and the odes to the first father (感慕吟) by the Gangneung Yu descendants this paper infers that the earlier xylographic version of Iljip must have been printed not earlier than 1924 but around 1926 as like the edition of Nonsan. The later xylographic edition includes a new epilogue for reissuing (重刊跋文), which was written in 1939, so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at it had been printed later than 1939.

      • KCI우수등재

        고려시기 對거란 2차 전쟁 유공자와 그들에 대한 추가 포상

        李美智(LEE Miji) 한국사연구회 2012 한국사연구 Vol.157 No.-

        Approximately a thousand years ago, the second war between the Khitan dynasty and the Koryo of the Korean Peninsula broke out. The Koryo, apparently the minor, desperately strove to survive. As the enemy finally had retreated over the Amnok River, how the Koryo court rewarded the officials and the soldiers for their sacrifices? Who were the entitled patriots and heroes? This article lies on the path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ward cases in 1011 for the officials and the soldiers who had been involved in the Second Khitan-Koryo War were analysed in the first part of the article. The acknowledged patriot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repellers, who contributed to repel the enemy, including victims of the combats and the loyal attendants on the royal flee. Three cases of punishments of the officials who neglected their duties during the war were also examined. The Koryo court incessantly remembered the patriots of the Second Khitan-Koryo War throughout the dynasty. A figure such as Yang Kyu was the most favorite hero; several kings specifically mentioned his name when rewarding other meritorious subjects of the dynasty. For more than 100 years, the Koryo people remembered Ha Kongjjn who had been put death in the Khitan court for his loyalty for the Koryo. Pak Som’s case was most intriguing; almost forty years after the war, the king Munjong suddenly revaluated and titled him as a merit subject. This article also seeks to understand what made the Koryo kings or his court revaluate certain patriots of the Second Khitan-Koryo War.

      • KCI등재

        고려 전기 軍功者포상의 절차와 내용

        李美智(Miji LEE)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9

        본고는 고려 시기 군공자에 대한 포상 사례를 통해 군공 포상의 결정과정 및 시행 상의 특이점, 포상 시 지급된 부상의 종류와 특징 등을 정리해 보았다. 군공 포상은 초기에는 별도의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개인의 건의 등 필요에 따라 시행되다가 현종대 거란과의 전쟁 후 포상 경험이 관례화되며 점차 제도로서의 모습을 갖추어 갔다. 이에 따라 군공 포상 업무를 특정 기구에서 주관하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병부에서 공적을 정리하고 포상 내용까지 발의하다가 점차 양계 병마사가 담당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병마사는 군공 포상자 선정, 공적 검토 및 심사와 같은 실무절차를 주관하였으며, 이를 도병마사에서 총괄 검토하여 상주하면 국왕의 최종 결재로 군공 포상이 시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결정된 군공 포상이 실제 시행되는 데에는 어느정도의 시일이 걸렸는지 명확하게 정리하기는 어려웠다. 경우에 따라 논의에서 시행까지 18일 만에 완료되는 사례도 있었지만 길게는 功으로 인정되는 행위가 발생한 지 2~3년 뒤에 포상이 집행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군공 포상은 주로 국왕의 앞에서 시행되었다고 생각되며 예외적으로 피포상자의 자택에서 시행되는 경우도 없지는 않았다. 국왕이 주재하는 곳에서의 군공자 포상은 포상 대상에게 특별한 영예로 여겨졌을 것이며, 이에 따라 포상 주체인 국왕에 대한 충성을 한층 강화하는 의례적 효과도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군공자 선별 기준 및 포상 방식은 늦어도 문종대에는 상당히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었던 것으로 정리해보았다. 군공 포상 시 주어진 부상은 크게 현물과 관함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현물은 곡식?토지?직물?금은기 등이 지급되었다. 관함의 지급 역시 매우 다양한 사례가 확인되고 있어 일정한 규칙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This paper tried to look into the basic factors of the compensation scheme for patriots and war veterans in the earlier half of the Koryo dynasty through the individual examples of honoring and rewarding. The dynasty did not need yet to set up a system on compensation for war veterans in the very early stage of its establishment; so that rewards were given as occasion arises. It was not until the earlier half of the 11<SUP>th</SUP> century when the Koryo dynasty had gone through wars with the Khitan Liao dynasty that the primary rewarding system had been prepared. The Ministry of Military Affairs (兵部), in the early stage of the system, conducted the primary process of reward. Then, at some point, the function was somehow transferred to the Military Commissioners of the Border Region (兩界兵馬使). The Military Commissioners took primary charge in recommending the candidates for reward; they screened the candidates based upon their merits and also reviewed the positive candidates’ achievements. After the Chief Military Commission (都兵馬使) supervised the Military Commissioners reports the reward was finalized by the king’s permission. It is not easy to say how long it would have taken until the rewarding ceremony took place after the king’s final decision. The fastest case took only eighteen days from screening to ceremony; however, in some cases, it took more than two or three years to acknowledge and reward the soldiers’ merits. The rewarding ceremony generally took place in the royal court. It must have been a very special honor for the object of reward since he was granted an audience with the king; also, I think the ceremony being held in the presence of the king contributed in reinforcing the loyalty of the object of reward. Additional prize for the military merits falls into two categories: an in-kind - such as grain, land, fabric, silver (rarely gold) goods - payment, and an appointment to an official title. This paper assumes that the fundamental compensation system for patriots and war veterans of the Koryo dynasty, as investigated as above, was organized no later than the king Munjong’s reign in the 11<SUP>th</SUP>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