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지표를 활용한 국내 지적장애 대상 비디오 모델링 중재특성 분석

        안예지 ( An¸ Yeji ),이미지 ( Lee¸ Mij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지적장애 대상 비디오 모델링 중재연구를 종합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지표에 근거한 분석을 통해 증거기반실제의 기초를 마련함으로써 향후 연구와 실제를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2000년도 이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선정기준을 충족시키는 연구 총 21편을 선정하고 질적지표를 활용하여 중재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00년 이후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비디오 모델링 중재연구는 2006년과 2015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형태는 단일대상 연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비디오 모델링 중재는 초등학교 급에서 일상생활기술 증진을 위해 단독중재형태로 학교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준)집단설계연구의 질적지표 분석 결과, 3편 중 1편만이 충분한 질적 수준을 보인 반면, 단일대상연구 18편 중 17편이 평균 2.0점 이상으로 질적지표 충족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대상 비디오 모델링 중재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고 효과적인 증거기반 중재 제공을 위한 함의를 논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video modeling(VM) intervention studies using quality indicators to examine effects of VM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a total of 21 Korean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0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a) about 70% of VM intervention studi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onducted between 2006 and 2015; (b) majority of studies were practiced in single subject design; (c) VM interventions were often provided in school settings to improve independent living skills at the primary school level; (d)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quality indicators also concluded that only 1 out of 3 quasi-group-design studies showed sufficient level, whereas 17 out of 18 single-subject-design studies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an average of 2.0 points or high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quality level of VM intervention studi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viding effectiv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학생 대상 개별화 증거기반 읽기유창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김동일(Kim, Dongil),안예지(An, Yeji),조은정(Cho, Eunjung),최서현(Choi, Seohye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읽기유창성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 학습장애 위험학생 3명을 대상으로 개별화 증거기반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별화 증거기반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은 읽기유창성의 세 가지 구성개념, 음운규칙, 증거기반실제의 원리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 개인의 교육적 요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고, 총 15회기에 걸쳐 일대일 형태의 개별 중재를 제공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비롯한 진전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중학년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읽기유창성 및 오독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읽기유창성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으나, 그 정도는 참여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읽기장애 위험학생 대상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 individualized evidence-based reading fluency program to 3 middle-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cipant based on the three constituent concepts of reading fluency, phonological rules, and evidence-based practice. Total of 15 sessions were provided for each participant. The improvement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the change of reading fluency scores and error rates. The results showed the individualized evidence-based reading fluenc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reading fluency of students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but the degree of improvement varied by participa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n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for students at-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델파이 분석을 통한 발달재활서비스 효과성 평가지표 개발 연구

        김동일(Dongil Kim),안예지(Yeji An),박지현(Jihyun Park) 한국재활심리학회 2022 재활심리연구 Vol.29 No.2

        성장기 장애아동에게 요구되는 적절한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로 인한 가족의 경제적 부담 경감을 목적으로 하는 발달재활서비스는 2009년부터 지속적으로 양적인 확대를 보였으나,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재활서비스의 제공영역과 장애유형을 고려한 효과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발달재활서비스의 질 관리를 위한 평가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발달재활서비스의 효과성 평가지표 준거 설정을 위해 평가모형에 대한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총체적 평가 관점의 평가모형을 설계하였다. 그 결과, 투입, 과정, 산출, 결과, 효과의 5단계로 이어지는 평가모형에서 13개 영역과 27개 하위영역으로 평가지표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재활서비스 관련 분야의 전문가 20인을 대상으로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가영역과 하위 평가영역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을 통해 최종 11개 평가영역과 23개의 하위 평가영역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발달재활서비스의 효과성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서비스의 질 관리를 위한 함의를 논하였다.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DRS), which aims to provide appropriate rehabilitation services requir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on the family, has continuously expanded since 2009. However, little systematic analysis exists regarding how manage the quality of the services. Thus,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ndex of the DRS service quality for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n evaluation model was designed using systemic reviews of the literature. The model included five sequential stages (from input to process to output to result to effect), yielding 13 index domains that are further divided into 27 sub index domains. Twenty experts in the field of DRS were asked to complete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to verify content validity; resulting in 11 index domains and 23 index sub-domains.

      • KCI등재

        봉사학습을 경험한 예비초등교사들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연구

        김라경 ( Kim Rah Kyung ),안예지 ( An Yej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체계적인 봉사학습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가지는 경험과 장애에 대한 이들의 태도가 변해가는 과정을 성찰하고 봉사학습의 의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A교육대학교에 다니는 12명의 예비초등교사들로 12주 동안 주 2시간이상 체계적인 봉사학습을 진행하였다. 봉사학습은 탐색 및 준비단계, 실행 및 성찰단계, 발표 및 기념단계로 진행하였고 수업에서 적극적인 피드백과 토의가 이루어졌다. 예비초등교사의 경험과 변화과정은 탐색 및 준비단계와 실행 및 성찰단계에서 진행된 두 번의 심층그룹 인터뷰와 참여자들이 작성한 5-6회기의 활동일지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및 질적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탐색 및 준비단계에서 고빈도로 출현한 키워드 중, 네트워크를 주요하게 설명하고 있는 키워드로 ‘생각’, ‘도움’, ‘사람’ 등이 분석되었으며, 네트워크는 배움에 대한 기대감으로 봉사학습을 준비하는 집단과 장애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점검하며 봉사학습을 계획하는 두 개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행 및 성찰단계에서도 ‘생각’을 중심으로 ‘수업’, ‘시간’, ‘교사’ 등이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키워드로 분석되었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깨지고 생각이 변하며 이들을 교육적으로 지원하는 수준과 방법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지는 하위집단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발표 및 기념단계에서는 ‘학습’, ‘장애인’, ‘교사’, ‘활동’ 등의 키워드와 함께 봉사학습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와 긍정적 성과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의 하위집단이 분석되었다. 의의 및 함의: 예비초등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장애인식의 변화와 초등 통합교육환경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도하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봉사학습 효과의 가능성을 검증하고, 대학에서 봉사학습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ervice-learning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o suggest its practical significance. Method: 1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rom A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for more than 2 hrs./wk. for 12 weeks. Service-learning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investigation and preparation, (2 )action and reflection, and (3) demonstration and celebration. Along with the class discussions, feedback wa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The process of change was analyzed by keyword network and qualitative analysis on 2 in-depth group interviews and 5 to 6 activity logs. Results: First, the network of stage 1 was mainly described with keywords such as ‘think’, ‘help’, and ‘people’. The network consisted of two groups: (1) expecting service-learning, (2) checking their attitud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network of stage 2 was described with keywords such as ‘think’, ‘class’, and ‘time’. The network was formed into two groups: (1) overcoming prejudices (2) the adequate support needs. Lastly, at stage 3, keywords such as 'learning', 'people with disabilities', 'teacher', and 'activity' were analyzed. The network was formed appreciating the achievements of service-learning and celebrating the needs of diversit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ervice-learning help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lore the meaning of disability in society and develop confidence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factors to consider to effectively implement service-learning in university level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국내연구 동향 분석

        이미지 ( Lee Miji ),안예지 ( An Yeji ),김은삼 ( Kim Eunsa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99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장애학생 대상 학교폭력 관련 연구를 수집하였고 4가지 기준에 따라 총 34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논문의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따른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발행 시기에 따른 경향은 2009년 이전까지 드물게 연구되어오다가 2009년부터 꾸준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둘째,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대상은 대다수가 통합교육의 현장에 있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었으며 교사, 부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을 특정하지 않거나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는 연구들이 다수였으며, 학교급 역시 특정 학교급을 다루기보다 전체 학교급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셋째,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주제는 실태 및 인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예방 및 개입, 원인 및 요인 관련 주제가 비슷한 비율을 나타냈다. 넷째,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의 방법을 살펴보면 양적 연구 중 실태 및 인식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후 장애학생 관련 학교폭력 연구 동향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school violence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eek future research directions. Among domest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January 1999 to January 2020, studies on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ollected. In result, a total of 34 papers were selected based on four criteria. Study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of the selected pap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year of school violence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studied rarely until 2009, and has consistently continued since 2009. Second, the subjects of school violence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mostl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followed by teachers and parents. There were number of studies that did not specify the disability type or dealt with overall, and there were many papers that targeted the entire school class rather than the specific school class. Third, the subject of school violence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occupied more than half of the survey and awareness, and then the subjects related to prevention and intervention, causes and factors showed similar proportions. Fourth, as for the research method on school violence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earch on the survey and recognition was the most in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school violenc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