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SAR Signature 시계열 분석을 통한 토지피복분류

        윤혜원,최윤수,윤하수,고종식,조성길,Yun, Hye Won,Choi, Yun Soo,Yoon, Ha Su,Ko, Jong Sik,Cho, Seong Kil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1

        SAR 영상은 관측시간과 기상현상 등의 외부 환경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며 광학영상보다 광범위한 관측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레이더간섭기법 (InSAR)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기법은 큰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L밴드 ALOS PALSAR의 후방산란계수와 긴밀도를 이용한 새로운 토지피복분류 기법을 개발하고 최근 화산 폭발 가능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는 백두산 지역에 시험 적용하였다. 새로운 토지피복분류 체계는 ALOS PALSAR의 HH, HV편광 모드의 영상을 InSAR 시계열 상에서 패킷의 형태로 재구성하고 주성분 분석을 도입하여 분류의 신뢰도 향상을 시도하였다. 또한 MODIS 등 광학 영상 기반 분류와 상호 검증하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Considering the wide coverage, the transparency from climate condition,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InSAR) possesses a great potential for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as shown in many precedent researches. In addition to the merits of InSAR products for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the time series analysis of InSAR pairs can provide a highly reliable basis to interpret landcover. We applied such idea with the test site in Mountain Baekdu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ince it is recently noted as the potential volcanic activation site, the landcover especially the vegetation distribution information is highly essential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DInSAR) over Mt. Baekdu. The algorithms combining the auxiliary information from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to analyze the phase coherence and backscatter coefficient of Observing Satellite (ALOS) Phased Array type L-band Synthetic Aperture Radar (PALSAR) was established. The results using InSAR signatures from two polarization modes of ALOS PALSAR showed high reliability for mining landcover and spatial distribution.

      • 기본권으로서의 변호인의 변호권

        윤혜원(Yoon, Hye Won),최효재(Choi, Hyo-Jae)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19 법학평론 Vol.9 No.-

        헌법재판소는 2017. 11. 30. 선고한 2016헌마503 결정에서 변호인의 변호권, 즉 “피의자 및 피고인에 대한 변호인의 조력할 권리의 핵심적인 부분”이 헌법상 독자적 기본권으로 보호되는 권리임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 관하여 대상결정의 별개의견은 변호인의 변호권은 직업수행의 자유로 보호하면 충분하다는 입장에 섰다. 한편 대상결정의 반대의견은 변호인의 변호권은 헌법상 기본권이 아닌 법률상 권리에 불과하다고 하여 법정의견을 반박하였다. 본고는 이 결정을 분석함으로써 변호인의 변호권이 가지는 헌법적 의의를 밝힌다. 변호인의 변호권이 헌법적 의의를 가진다는 점은 분명하다. 변호인의 변호권은 헌법상 명시된 기본권인 형사피고인 등의 변호인조력권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 점과 현행 관계법령의 한계 및 변호인 직무범위의 광범성을 함께 고려하면, 변호인의 변호권을 법률로만 보호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그렇다면 변호인의 변호권이 구체적으로 어떤 기본권인지, 곧 헌법상 독자적인 기본권인지 아니면 직업수행의 자유의 일부인지가 문제된다. 대상결정의 법정의견 및 보충의견(이하 “법정의견 등”)과 별개의견은 이 지점에서 서로 의견을 달리하는데, 그 근저에는 적극적 법해석론과 문언중심적 법해석론의 차이가 있다. 법정의견 등은 헌법의 개방성 · 추상성 · 사회성에 주목하는 적극적 헌법해석론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반면 별개의견은 헌법의 최고규범성 · 안정성을 중시하는 문언중심적 헌법해석론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문언중심적 법해석론이 엄격한 문언주의와는 구별되는 비원의주의적 입장에 서는 이상, 헌법은 법질서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문언중심적 법해석론에 따라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관점에서 볼 때, 법정의견 등은 헌법 문언에서 합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독자적 기본권을 창설한 것이어서 부당하다. 변호인의 변호권은 별개의견의 입장과 같이 헌법 문언상 그 근거가 명백한 기본권인 직업수행의 자유로 보호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변호인의 변호권이 가지는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른 직업수행의 자유보다는 더 두텁게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분석을 종합하면 변호인의 변호권이 법률상 권리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반대의견의 부당성은 더욱 분명해진다. 변호인의 변호권을 이와 같이 특수한 직업수행의 자유로 개념화하면, ‘변호인의 피의자신문 참여 운영지침’ 제5조(이하 “이 사건 행정지침”)는 그러한 기본권을 침해하여 헌법에 위반된다. 이 사건 행정지침은 일의적 집행행위를 예정하고 있어 대외적 구속력과 청구인에 대한 개별적 강제력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 사건 행정지침의 청구인에 대한 자기관련성 및 공권력행사성과 직접성이 인정된다. 이어서 본안에 관하여 판단하건대, 이 사건 행정지침은 법률유보원칙 및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하여 변호인의 변호권을 침해한다. 대상결정이 이 점을 간과하고 이 사건 행정지침에 관한 헌법소원심판청구를 각하한 것은, 변호인의 변호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반드시 하여야 할 판단을 부당하게 회피한 것이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n the decision 2016Hun-Ma503 delivered on November 30, 2017, stated that the right of attorneys to defend their defendants (RAD) is an independent basic right protect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However, the concurring opinion of the decision claimed that it is enough to protect RAD as one subcategory of the right to occupation. Even more, the dissenting opinion of the decision argued that RAD is only a statutory right, not a constitutional one. This paper analyzes the decision in order to clarify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RAD. It is clear that RAD has a significance in a constitutional sense. RAD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stitutional right of access to a lawyer. Also, protecting RAD by statutes is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limits of current legislation regarding attorneys and the wide scope of attorneys’ role. Then, the specific status of RAD as a constitutional right must be clarified. Is RAD an independent basic right, or is it a subcategory of the right to occupation? The majority opinion of the decision and the concurring opinion have different answers to this question. At the basis of such clash is the difference between an active interpretation of law and a text-oriented interpretation of law. The majority opinion can be explained by an active interpretation of law which focuses on the openness, abstractness and sociality of constitu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curring opinion can be explained by a text-oriented interpretation of law, which underscores the supremacy and stability of constitution as a legal base. Note that a text-oriented interpretation of law takes a non-originalistic view, unlike strict textualism. Based on this, interpreting the Constitution in text-oriented ways instead of active ways is more adequate to guarantee the predictability of the Constitution. On this perspective, the idea of the majority opinion to protect RAD as an independent basic right trespasses the rational range of interpreting Constitutional texts. The idea of the concurring opinion to protect RAD as a subcategory of the right to occupation is more justifiable, adding that RAD deserves a stronger protection than other typical categories of the right to occupation. Plus, according to the discussion above, the dissenting opinion, which protects RAD only as a statutory right, has a weak ground. These are the reasons why this paper conceptualizes RAD as a special subcategory of the right to occupation. Article 5 of the Administrative Rule on Participation of Attorneys in Interrogation of Defendants, enacted by the Prosecutors’ Office, infringes such right and is therefore unconstitutional. The Article has a binding force to the claimant who filed this case and all the other attorneys who defend their defendants. This means that the Article is indeed a direct exertion of public force to the claimant. As a result,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proceed to decide whether the Article is constitutional or not, and declare the unconstitutionality of it because it violates the principles of statutory reservation and proportionality. On the contrary, the Constitutional Court dismissed the claim against the Article in this case; it is an undue avoidance of the critical judgment on the constitutional value of RAD.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컨텐츠기반 영어교육에 관한 연구

        윤혜원 ( Hye Won Yoo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를 위한 영어교육으로 도입할 수 있는 요리활동을 컨텐츠기반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컨텐츠 기반 관련연구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의사소통 능력(BICS)과 학문적 능력, 즉 요리관련 용어 개념이해능력(CALP)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FL 환경인 우리나라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영어교육이 컨텐츠기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컨텐츠기반 관련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컨텐츠기반 연구의 시작은 LA통합교육국의 KDLP(Korean/English Dual Language Program, 한/영이중언어프로그램)을 들 수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이중언어에 대한 제반 연구의 증거와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고 1992년 이후 계속 발전하고 있다. 그 역사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학문적 요소와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다음으로 의사소통능력(BICS)과 학문적 능력, 즉 요리관련 용어 개념 이해능력(CALP)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의사소통능력(BICS)이란 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로서 기본적 대인의사소통기술, 즉 의사소통영어 혹은 생활영어를 의미한다. 이 영어 능력은 영어를 구사하는 사회에서는 놀이터에서 습득되는 표현들이라고 해서 놀이터영어라고도 말한다. 생활영어는 제2언어인 경우에 ‘6개월에서 2년의 세월’이 소요되는 반면에, 학문적 능력, 즉 요리관련 용어 개념이해능력(CALP)이란 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로서 인지 학문적 언어 능숙, 즉 요리관련 용어 개념이해영어를 의미한다. 학문적 영어능력은 학문을 하고 토의하는데 필요한 영어능력으로 제2언어로서 학습하는 경우에 적어도 ‘5년의 세월’이 소요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FL 환경인 우리나라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영어교육은 컨텐츠기반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피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cooking activity for early childhood cent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ddresse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 1. What is trend of study related to contents based program? 2. What is young children`s BICS and CALP related cook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o view of English education must be conducted contents based for a communication in EFL environment in Korea.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beginning of study related to contents based is KDLP(Korean/English Dual Language Program) from LAUSD-LA. This program is grounded of related to bilingual studies and has advanced since 1992. The history of contents based has more to do with social, economical, political, and academic factors. Second, The CALP is reviewed in this study. BICS means 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and basic communication English or spoken English. This ability of command a English named ‘play-ground English’ because it is acquired at play- ground. Generally, spoken English takes time form 6 month to 2 years as second language. Meanwhile CALP(named 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needed to ability of discuss about academic issue and takes time at least 5 years. In this reason, this study addressed English education must be conducted by content-based as communication in korea.

      • KCI등재

        뒤집힌 교실(Flipped Classroom) 기반 언어-수학의 융합 방향

        윤혜원(Yoon, Hye-W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3

        본 연구는 교육적 산물이 풍부한 스마트사회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산출된 뒤집힌 교실(flipped classroom)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교육개혁에 영향을 주는 미국국가공통기준(CCSS)에서 강조되는 언어 기준이 다른 영역에서도 강조되므로, 이에 비추어 우리나라에서 적용 가능한 언어-수학 융합의 방향을 모색한다. 뒤집힌 교실(flipped classroom)은 기존의 강의중심과 교사중심에서 탈피한 것으로서 학습자는 집에서 온라인 혹은 흥미 있는 자료를 보고 지식을 구성하며, 학교에서는 실험이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실 상황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이는 컴퓨터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이 가능하여 생성된 자연발생적 미디어 세계의 구성주의 프로그램의 성격이 있다. 그리고 교육비 절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꾸준히 연구되고 실제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자연발생적 실천 모형이다. 이 교육 방안은 아직 전통적 방법에 익숙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유아단계에서 언어교육이 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되어,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스토리텔링 수학과의 연계성(articulation)을 위해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뒤집힌 교실의 의미와 다양성을 살펴보고, 2014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미국 국가공통기준(CCSS)에서 언어 기준을 살펴보며, 자연히 언어-수학 융합교육의 방향이 모색된다. 이에 의거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육과 초등학교를 연계하는 언어-수학 융합교육 방향이 산출될 수 있어 그 모형을 구상하여 예시한다. 이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실시되는 스토리텔링 수학으로 접근을 쉽게 하여 유아들이 좌절하지 않게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This study’s aim is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a “flipped classroom,” which was developed due to smart society"s rich internet products. The study also tried to find out if Korean kindergartens could find a direction for a language arts-math blended model based on a flipped classroom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were reviewed for the study. A flipped classroom is called as such because the whole classroom paradigm is “flipped.” What used to be classroom work is done at home via interesting internet materials to construct knowledge, and then children engage in hands-on experiments or projects at school as part of the ongoing curriculum. Because the flipped classroom uses on-line student-centered learning, it"s characteristic aspect has a constructive viewpoint. Because it has the advantages of saving expenses and increasing productivity, the flipped classroom is an experimental model. It can be utilized at the kindergarten level in conjunction with storytelling math especially for promoting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articulation. Therefore as the meaning of a flipped classroom is examined, the ways of a flipped classroom and language arts standards in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are examined, and then a language arts-math blended model can be found. Based on the study, a case is drawn and presented for the direction of a language arts-math blended model.

      • KCI등재

        그림책 인쇄물 읽기와 디지털 읽기 두 매체 간 관계맺기의 효과 - ‘여름이 온다’ 사례 -

        윤혜원(Yoon, Hye Won),이경우(Lee, Kyung Woo)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4

        본 연구는 그림책 인쇄물 읽기와 디지털 읽기 두 매체 간 관계맺기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수지의 ‘여름이 온다’를 연구 매체로 선정하여 만5세 남아에게 적용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두꺼운 그림책‘여름이 온다’표지 읽기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표지를 보고 제목을 읽으면서 물놀이를 인지하며 그림책의 크기에 놀라 옆에 있지도 않은 친구에게 크기에 대해 질문하는 것처럼 감탄했다. 책을 읽어가는 유아의 호기심은 더스트커버의 그림에 집중하고 어제 왔던 태풍과 연결하며 실생활 경험과 그림책의 세계를 넘나들었다. 둘째, ‘여름이 온다’ 내용에 대한 유아의 이해는 성인이 해설을 해주고 음악을 틀어주자, 오히려“쉿! 음악을 들으면서 그림을 보니까 읽지 마세요!”라고 말하며 저자와 교류하는 것처럼 책 읽기에 몰두했다. 상호작용적 질문으로 기억나는 단어를 써보자는 요구에 아직 글을 쓸 줄 몰라 그림으로 장면들을 그려 인지적 구성과정을 나타냈다. 셋째, ‘여름이 온다’에 있는 QR코드는 두 매체 읽기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는 먼저 그림책을 깊게 읽고 비판적 사고를 유지하며, QR코드로 연결된 비디오로 음악과 그림책이 살아 움직이는 영상으로 연결, 감상하면서 디지털 감성과 함께 디지털 지혜도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QR코드가 있는‘여름이 온다’는 Biliterate Deep Reading으로 그림책 깊이 읽기와 디지털 읽기에서 두 매체를 연결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매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dia of picture book reading and digital reading. To this end, Lee Suzys ‘Summer is Coming’ was selected and applied to a 5-year-old boy. As a result, first, the boys response to reading the cover of the thick picture book ‘Summer is Coming’ impressed by the size of book, as if asking a friend who was not next to him about the size. The curiosity of reading the book focused on dustcovers paintings and connected them with the typhoon that came yesterday, crossing the real-life experience and the world of the picture book. Second, the boys understanding of the picture book is when the adult read with music, Shh! Dont read the picture while listening to music! and immersed himself in reading books as if interacting with the author. When asked to write words, he drew in pictures to express the cognitive construciting proc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QR code in Summer is Coming plays a role establishing reading of two media. Children read picture books deeply and maintain critical thinking, and connecting and appreciating music and picture books with videos connected by QR code finally, digital wisdom was construct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Summer is Coming’ with QR code is a medium that can connect and satisfy the two media, in picture book and digital reading by Biliterate Deep Reading.

      • KCI등재

        가압류이후장기간본압류가이루어지지아니한 구상금 채권 처리방안 검토

        윤혜원(Yoon Hye Won) 한국보험법학회 2018 보험법연구 Vol.12 No.1

        Under the Guarantee of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Act, the government pays compensation within the coverage of liability insurance to a victim by an uninsured or unidentified motorist and, on behalf of the victim,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Regarding a damage claim meeting certain criteria set forth by the Guarantee of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Act, e.g. the maturity of extinctive prescription or impossible to recovery compensation, the deficit disposal should be made by a resolution of the Rehabilitation Facility Deliberative Committee. However, since the adoption of the “effective plan for managing an indemnity bond of compensation project” on 22nd Sep 2017 by the Rehabilitation Facility Deliberative Committee, the claim right for damages with the matured extinctive prescription has been principally decided without considering any circumstance as deficit disposal.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demand to strictly review the claim right for damages subrogated by the government, ie, the maturity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an indemnity bond. However, since then, the Rehabilitation Facility Deliberative Committee finally decided to continue the subrogation as the prescription period principally continues to be suspended as long as the decision of provisional attachment lasts, according to the present Supreme Court precedent; and the indemnity bond which lasted longer than 10years in the following case was reviewed to claim the deficit disposal due to the maturity of extinctive prescription, but the deficit disposal cannot be made: a damage insurer (creditor) entrusted with the compensation project by the government holds the indemnity bond as the conserved right for only provisional attachment, or does not take measures to transfer the provisional attachment to attachment while winning the case and achieving the provisional attachment. This study deals with the discussion on the need for how to manage and dispose the indemnity bond i) that has not been proceeded with the actual attachment as unable to win the case over more than 10 years since given, or ii) that the provisional attachment has not been transferred to the attachment for more than 10 years despite of achieving the provisional attachment and winning the case. In case of not proceeding with the attachment of the object after achieving the provisional attachment, it is desirable to have the indemnity bond as deficit disposal for the prescription expiry by checking if the indemnity bond has not been expired as the prescription re-proceeds due to the extinction of affective preservation of provisional attachment If the creditor does not proceed with the attachment despite that the prescription of the indemnity bond still remains, the deficit disposal should be reviewed if it is proposed through strict assessment of realized value of the objective property for provisional attachment and possibility to recover. Should the fact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to recover casts a doubt without any clear evidence of worthless value of the property, the creditor should further recover any available property, bringing an action of attachment. The deficit should be made if the creditor has not found any other property of the debtor (other than the object of the provisional attachment) for a long time (more than 10 years) after the judgment of the provisional attachment or the judgment of the principal when there is obviously no realized value of the object of the provisional attachment despite of the remaining extinctive prescription. 정부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 따라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사고 또는 불상자에 의한 자동차사고로 피해를 입은 자에게 책임보험 한도 내에서 보상금을 지급하고, 피해자가 가해자에 대하여 가지는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행사한다. 그리고 소멸시효가 완성되었거나 회수가능성이 없는 등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 정하는 일정 요건을 충족한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하여는 자동차손해배상 채권정리위원회의 의결을 통해 결손처분을 한다. 그런데 2017.9.22. 자동차손해배상 채권정리위원회의 “보장사업구상채권관리효율화방안”이 채택된 이후, 소멸시효가 완성된 손해배상청구권은 원칙적으로 다른 사정을 고려함이 없이 결손처분하기로 결의하였고, 이에 정부가 대위행사하는 손해배상청구권, 즉 구상금 채권의 소멸시효 완성 여부를 엄밀히 검토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그런데 그 후 채권정리위원회에는, 정부로부터 보장사업을 위탁받은 손해보험사(채권자)가 구상금 채권을 피보전권리로 하여 가압류결정만 받거나, 가압류결정 및 본안 승소판결만을 득한 채, 가압류를 본압류로 이전하는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그러한 상태가 10년 이상 장기간 경과한 구상금 채권에 대해 소멸시효 완성을 원인으로 결손처분을 구하는 안건이 상정되어 검토하였으나, 현재 가압류 시효중단 계속설을 취하는 현재의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가압류결정이 존속하는 이상 원칙적으로 시효는 계속 중단되어 있다고 보아야 하므로, 해당 안건들에서 제시된 구상금 채권에 대하여 결손처분을 할 수 없으므로, 결국 청구권 대위행사를 계속하기로 의결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채권정리위원회에서는 (i) 가압류결정만 받은 이후 10년 이상 장기간 본안 승소판결을 득하지 않아 본압류에 나아가지 아니한 구상금 채권 (ii) 가압류결정 및 본안 승소판결을 득하였으나 그 후 10년 이상의 장기간이 경과하도록 가압류를 본압류로 이전하거나 기타 다른 강제집행 조치를 취하지 아니한 구상금 채권을 어떻게 관리 및 처분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바,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에 대한 의견을 담고 있다. 먼저 가압류결정을 득한 이후 가압류 목적물에 대한 본압류까지 나아가지 아니한 경우, 중도에 가압류의 집행보전의 효력이 소멸하는 등으로 인해 다시 시효가 진행되어 결국에는 구상금 채권이 시효로 소멸하지 않았는지 확인하여 시효로 소멸한 것은 “시효소멸”을 원인으로 결손처분함이 바람직하다. 여전히 구상금 채권의 시효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채권자가 본압류에 나아가지 아니한 것이라면, 채권자가 가압류 목적재산에 대한 환가가치 및 회수가능성을 엄밀히 평가하여 본압류에 나아가지 아니하고 결손처분 안건을 상정한 것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고, 만약 환가가치가 없다는 점이 근거자료로 명확히 소명되지 않는 등 회수가능성이 없다는 사실에 의문이 제기된다면 지금이라도 더 나아가 본안소송-본압류를 시도하여 회수가능성 있는 것은 회수해야 한다. 소멸시효는 남아 있으나 가압류목적물의 환가가치가 없음이 명백한 경우로서, 가압류나 본안판결 후 장기간(10년 이상) 동안 채권자가 채무자의 다른 재산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받을 가능성이 없는 경우’로 보아 결손처분해야 한다.

      • KCI등재

        방과 후 요리활동으로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념적 모형

        윤혜원(Yoon Hye-W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되는 방과후 요리활동을 컨텐츠기반에 의거하여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설정하였다. 1. 방과후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요리활동 개발을 위한 틀을 어떠한가? 2. 영어 요리활동 개발의 틀에 의거한 방과후 유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FL 환경인 우리나라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영어교육은 컨텐츠기반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피력하면서 방과후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요리활동의 방향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출판사에 의해서 개발된 자료가 주로 문법번역식과 청화식 교육방법으로 이루어져서 비교육적인데 비하여 컨텐츠기반 영어교육의 자료는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과정을 영어로 배우면서 영어도 습득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틀에 의거하여 방과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회 및 개인의 요구→프로그램의 목적→프로그램의 내용→교수 학습 전략 및 활동계획→프로그램 실시→프로그램 평가→프로그램 수정 개발로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요리활동 개발의 틀에 의거한 방과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은 섞는, 열을 가하는, 얼리는, 꾸미는 요리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영어활동으로 BICS와 CALP의 영어능력 발달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였다. 즉, BICS에서는 요리순서 등 의사소통에 대하여, CALP에서는 요리의 이름, 재료의 이름, 재료의 이름, 도구의 이름 등 개념과 단어에 초점을 두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after school cooking activity that is connected to kindergarten curriculum and based on content-based. To meet The study purpos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et up two big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framework for the after school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f cooking program? 2. What is the conceptual early childhood after school English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framework? This study, th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tent-based after school program for EFL society like and recommended cooking activity for the after school program. The author of this study mentioned that most English texts by publishers are grammar-translation and audio-lingual methods which will hinder communicative English ability. Compared to these, the content-based program will do the job of acquisition of content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English ability both in BICS(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ve Skill) and CALP(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The author of this study drew up the framework for the after school English education of cooking program as "Need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Program Purpose→Program Conten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Activity Pla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rogram Evaluation and Modification→ Final Product." Based on this framework, the author designed the conceptual cooking activities within four different types: cooking activities that are mixing, heating, freezing, and decorating. This study is limited to 12 activities to start. However, longitudinal after school cooking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many different models.

      • 유아영어교육에서 컨텐츠 기반과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윤혜원(Yoon, Hye-Won) 한국한부모가정학회 2012 한국한부모가정학 Vol.5 No.1

        본 연구는 국제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라는 특징을 보이는 현대사회에서 유아들이 이 시대에 보다 잘 적응해 나가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인 언어를 잘 익힐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국제공용어인 영어에 되도록 일찍 노출시킴으로써 영어를 익히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도록 하고, 유아영어교육의 교수방법 중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유아영어 교수법을 제안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영어교육에 있어서 대표적인 교수방법으로 볼 수 있는 컨텐츠기반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유아를 위한 영어교육의 의의,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수업원리 및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수업원리에 대하여 언어의 중요성, 영어능력의 역할, 조기 외국어교육의 특성, 영어교육기관의 특성 등을 상세하게 살펴봄으로써 유아영어교육의 대표적인 교수법이라고 볼 수 있는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라는 현대사회의 아이콘에 걸맞는 언어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국제어인 영어에 어린 시기부터 노출되는 것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영어교육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교수법 중에서 컨텐츠기반 및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적합하고 효과적인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liberalization era characterized by modern society seems to infants at this age can learn the language the way for one of the better adapted Exit to be the international language of English to help learn English by early exposure to suggested that the basis of how a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ypically utilized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and the grammar translation english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looking for a more efficient infants go, and bolstering the ability to utilize teaching English aims to provide material to To this end,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grammar translation program that you can see the typical teaching methods and content-based program specifically examined. In other words, the significance of English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grammar translation equation principle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of classes and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of classes on the principles and the importance of language, the role of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foreign language education, English language training institutions by examining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transla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viewed as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s an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In this study, noted the need to equip icon worthy of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and the liberalization era of modern society, language skills, what is exposed from an early age in English, Interlingua, Follow-up study of pedagogy, content-based, and grammar-translation program being used in English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to look for the appropriate and effective tha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should expect to be contin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