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측성 신발생이상 환아에 동반된 반대측 방광요관역류

        오성욱,이재승,김명준,한상원,배기수,Oh Sung-Wook,Lee Jae-Seung,Kim Myoung-Jun,Han Sang-Won,Bae Ki-Soo 대한소아신장학회 199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 No.1

        목적 : 한쪽 신장이 완전히 기능이 없는 무형성신이나 거의 기능이 없는 다낭성이형성신 환아에서 하나 남은 신장마저 방광요관역류가 동반되어 손상되는 사례가 최근 많이 보고되고 있어 일측성 무형성신, 저형성신, 다낭성이형성신을 일측성 신발생 이상이라는 하나의 군으로 묶어 일측성 신발생 이상 반대측으로 방광요관역류가 잘 동반되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87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세브란스 병원, 영동 세브란스 병원에서, 또 1994년 1월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아주대학 병원에서 일측성 무형성신, 저형성신, 다낭성이형성신으로 진단받은 96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진단은 방사선 소견에 근거하였으며, 96명의 대상 환아 중 48명의 환아가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일측성 신발생 이상을 가진 96명 환아군의 성별 분포는 남아가 58명으로 60%였고, 여아가 38명으로 40%였다. 2. 일측성 신발생 이상의 분포는 좌측이 45례로 47%였고, 우측이 51례로 53%였다. 3. 일측성 신발생 이상을 진단받게 된 동기를 보면 총 96례 중 산전 진단에 의한 경우가 41례로 가장 많았으며, 요로 감염의 검사 도중이나 다른 동반 기형의 평가 도중 발견된 경우가 각각 18례, 16례로 많았다. 질환별로 볼 때 일측성 무형성신이나 저형성신은 요로 감염의 검사 도중이나 다른 동반 기형의 평가 도중 발견된 경우가 많았으나 다낭성이형성신은 산전 진단으로 발견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4.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시행한 환아들의 경우 일측성 신발생 이상의 진단 연령은 $1.8{\pm}3.3$세였고, 배뇨성방광요도 조영술의 시행 연령은 $2.5{\pm}3.8$세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격차가 있었다(P<0.01). 5. 일측성 무형성신으로 진단받은 18명의 환아 중 9명, 일측성 저형성신으로 진단받은 11명의 환아 중 5명, 일측성 다낭성이형성신으로 진단받은 19명의 환아 중 3명에서 반대측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다. 6.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환아들은 역류의 정도가 평균 3등급 이상으로 중등도 이상이었다. 반대측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17명의 환아 중 3명은 만성 신부전 상태에 있었고, 6명은 방광요관문합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한쪽 신장의 기능이 없거나 거의 없다고 여겨지는 일측성 신발생 이상 환아에서 반대측 방광요관역류를 조기에 발견하기위해 선별적 검사로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ere have been many recent reports that unilateral renal agenesis and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s are accompanied by contra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leading to its injury. We grouped the children with unilateral renal agenesis, renal hypoplasia,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into abnormal unilateral renal development and investigated whether it was accompanied with contra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We retrospectively reviewed 96 pediatric cases of unilateral renal agenesis, hypoplasia,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diagnosed at Shinchon Severance Hospital, Yongdong Severance Hospital from 1987 to 1996 and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1994 to 1996. Diagnosis was based on radiological findings, renal hypoplasia being defined as small renal size with no apparent renal scarring and no irregularity of the calyceopelvic system on abdominal sonography or intravenous pyelography. Among the 96 cases,48 cases carried out voiding cystourethrography. 58 cases were male(60%) and 38 cases were female(40%). The cases of abnormal unilateral development on the left side were 45(47%) and that on the right side were 51(53%). Although there were diverse reasons leading to diagnosis, the major ones included were prenatal sonography, urinary tract infection, and other congenital anomalies. In cases of unilateral renal agenesis & hypoplasia the leading factors were urinary tract infection & other congenital anomalies and in cases of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that was prenatal sonography. There was a chronological gap between the mean age of diagnosis(1.8 year) and voiding cystouerthrography(2.5 year, P < 0.01). 9 of the 18 unilateral renal agenesis cases, 5 of the 11 unilateral renal hypoplasia cases, and 3 of the 19 unilateral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cases showed contra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Average reflux grade was above G III.Among the 17 children who had contra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3 children had chronic renal failure and ureteroneocystostomy was carried out in 6 children.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 that screening voiding cystourethrography should be performed in children with abnormal unilateral renal development for early detection of vesicoureteral reflux in the contralateral kidney.

      • KCI등재

        어거스틴과 도나투스파의 교회론적 논쟁 연구

        오성욱(Sung Wook Oh)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5 No.-

        교회론을 연구함에 있어서 도나투스파 논쟁은 중요한 실증적 자료가 된다. 교회의 가치를 순결함에 둘 것인가 아니면 하나 됨에 둘 것인가를 고민하는 성도들에게 교회의 하나 됨의 가치가 더 큰 가치임을 귀한 가르침을 준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어거스틴의 신학적 입장에서 도나투스파 운동을 전망하고 평가한 자료에 의존한 연구들이 쉽게 내는 결론이다. 본 연구는 틸리의 연구 방법론을 가지고 도나투스파 운동을 조망해 본다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이미 정의된 신학이념의 관점으로 도나투스파 운동을 전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적이고 언어문화적인 차원에서 도나투스파 운동을 분석해 볼 때, 도나투스파 운동은 단순히 교회 안의 분쟁이 아니라, 아프리카 민족주의의 발로임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도나투스파 교회가 생성한 문서를 중심으로 도나투스파 운동을 연구한다면, 교회와 민족을 지키는 방식이 왜 교회의 순결성을 강조해야 하는지를 잘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그 목적이 정당하다고 해도, 폭력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목적에 도달한다면 그 목적은 이미 오염된 것임을 키르쿰켈리온 운동은 잘 보여준다 The Donatists could not accept the notion of the Church, supported by the state power. As so, the Donatists struggled to preserve the purity of the Church through the separ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other words, the Donatists preferred “the purity of the Church and the authority of the Bible” rather than “the unity of the Church and the authority of the Tradition,” escorted by the state power. To make a proper judgment over the controversy between Augustine and the Donatist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as well as the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addition to the theological debate, the Donatists’ realization of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of African nationalism was a great factor of the Donatist movement. This movement was not a small and local revolt, but a popular cultural phenomenon. Despite this, however, the Donatists did not give up their religious identity. Unfortunately, the Donatist movement has been reviewed by written material that was created by the very hands of the people who were against the Donatists. Most of the written material that they made distorted the real nature of the Donatist movement which was in search of the survival of the religious sect based on the Bible in the changing world. Augustine, who investigated the Donatist controversy from the theological and doctrinal perspective, easily identified the Donatists as a schismatic heresy. This view of Augustine has been accepted as a theory that belongs to Christian orthodoxy. Based on W.H.C Frend and Maureen A. Tilley, this paper focuses on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Donatists and uses the original sources produced by the Donatists. This paper also suggests that Augustine’s critique of the Donatists was too unilateral. It argues that the Donatist movement was one of a wide variety of Christian movements that strove to restore the purity of the Church, follow the teaching of the Bible, and preserve the Bible-centered community in the changing world.

      • KCI등재

        칼 바르트 신학 속에 내재된 교회와 사회의 관계성에 대한 현대신학의 제(諸)이해: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읽기

        오성욱 ( Oh Sung Wook ) 한국조직신학회 2016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5 No.-

        본 논문은 북미 칼 바르트(Karl Barth) 신학 연구가들 사이에서회자되고 거명되는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중에서 대표적인 해석을 살펴보고, 각각의 해석들이 지니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필자는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읽기"를 제안한다. 바르트가 이해한 교회와 사회에 대한 관계성은 다양한 해석의여지를 남겨 놓고 있다. 그래서 헐버그(Will Herberg)는 상응의 관계로, 마르크바르트(Friedrich-Wilhelm Marquardt)는 갈등과 대립의 관계로, 요다(John Howard Yoder)는 배타적인 무관심(평화 공존)의 관계로 그리고 벤더(Kimlyn J. Bender)는 비대칭적 기독론중심주의의관계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를 해석하고 있다. 상술한 학자들이 제출한 해석은 상당한 강점을 지닌 해석임에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재론적 계층 구조"라는 또 다른 틀로 바르트가 이해한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전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싶다.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를이해한다는 것은 교회와 사회에 있어서 존재론적으로 교회에 우선순위가 매겨져 있는 존재론적 차이를 바탕으로 엮이어 있으며, 동시에 조화적 공존을 지향해야 하는 관계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회와 사회 사이의 존재론적 위계질서를 전제하고 사회에 대한 교회의 우선성을 인정한다면, 교회는 사회에 대한 비폭력적 감독자이며, 실천적 본보기와 평화적 조정자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는바르트의 주장이 한결 수월하게 이해될 것이다. 동시에 교회의 간섭과 향도(響導)가 전제되지 않고 자신만의 자율성을 가진 세속적인영역은 결코 존재할 수 없다는 결론에까지 이르게 된다. 필자가 주장하는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읽기``는 어느 특정 시기의 어느 특정 저서에만 나타난 바르트의 관점이 아니라 바르트 신학 전체의 기저에 흐르는, 희미하지만 일관된관점이라는 논지이기 때문에 이 논지를 증명하기 바르트의 대표적인 저서들 속에 나타난 ``야곱의 교회와 에서의 교회,`` ``그리스도인공동체와 시민 공동체`` 그리고 ``형제애적 그리스도의 통치``라는 개념의 배후에 놓여있는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존재론적 계층 구조``의 관점에서 집중탐구해야 한다. 존재론적 계층 구조라는 관점으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읽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신학적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기독론중심주의라고 알려진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Neo-Orthodoxy)는 교회론중심주의 신학이라고 규정된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와 교회론적 대화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견지에서 볼 때 기독론 중심주의 신학과 교회론 중심주의 신학이 서로 만나서 대화하고 소통할 때, 더욱 건설적인 신학체계가 수립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기독론이 씨앗이라면, 그 씨앗이 줄기와 가지를 내고꽃을 피워 맺은 열매가 ``그리스도의 몸``, 곧 교회라고 말할 수 있기때문이다. Karl Barth`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has been interpreted from many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Will. Herberg suggests that Barth understands this relationship as a correspondent, Friedrich-Wilhelm Marquardt argues the constant conflict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the theology of Karl Barth. On the other hand, John Howard Yoder portray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as "both a mutual indifferent and a peaceful coexistent." Kimlyn J. Bend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from the "asymmetrical Christocentric" perspective. Bender`s asymmetrical Christocentric perspective focuses on Barth`s venn diagram which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s theology: At the center Jesus Christ is fixed, inner circle is the church, and outer circle is a secondary society. In this structure, the Church plays an important role of the bridge between Jesus Christ as the center and society, and the Church has a priority over the society. Hence, The Church and society in Karl Barth are an "asymmetrical Christocentric" relationship. Based on Bender`s asymmetrical Christocentrism, however, I would like to propose the relationship of the ontological hierarchy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Karl Barth. In the God`s redemptive economy, society is ontologically next to the Church. This ontological hierarchy max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and illumines Church`s ontological responsibility for the society. This means that the Church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ocio-political issues raised by society. In the process of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hurch into society, the Church should show a good model for society and serve as a peaceful superintenden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ontological hierarchy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this paper intends to reinterpret Barth`s theology from the Christocentric perspective to the ecclesio-centric perspective. In additions, This paper also seeks to find the nature of Radical Orthodoxy within Barth`s neo-Orthodoxy.

      • KCI등재후보

        제1클레멘트서의 해석학 이해

        오성욱 ( Sung Wook Oh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0 神學과 宣敎 Vol.59 No.-

        제1 클레멘트서는 초대교회의 구약성서 인용과 사용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제1 클레멘트서는 구약을 해석함에 있어서 철저하게 문자적 해석을 견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구약 성서에 기반한 내용을 교리화하고 의례화하며 송영화 하여, 사용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클레멘트서의 구약해석과 인용 방식을 통해서 독자들은 초대교회가 구약성서와 유대적 전통을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하고 수용했는지를 알 수 있다. 즉, 제1클레멘트서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생생한 음성을 담고 있는 것으로 구약을 이해하고 해석한 제1클레멘트서를 통해서, 초대교회의 다양한 신학적 흐름 속에 구약성경을 높이 평가했으며 적극적으로 수용했던 하나의 신학적 흐름이 분명히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동시대의 바나바 서신과는 대배되는 구약해석을 보여주고 있는 데, 바나바 서신이 보여주는 알레고리적 해석에 반하여 제1클레멘트서는 철저하게 문자적 해석에 경도되어 있음을 할 수 있다. 구약에 대한 문자적 해석을 강하게 보여 줌으로써, 제1클레멘트서는 구약과 신약의 강한 연대성과 신약의 교회에서도 구약은 여전히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굳건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서, 제1클레멘트서는 유대교 전통에 기원된 테스티모니아를 사용함으로써 구약성서 밖의 유대교 전통도 강하게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대교회가 구약의 유대전통을 어떻게 평가하고 수용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증례가 되는 초대교회 신앙작품이다. For the early church,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form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decide on the degree of accepting the Old Testament, and decide on hermeneutics of the Old Testament. Among many writings, 1 Clement in the early Church s hows the i ntimacy b etween t he Old T es tament and t he New Testament. Beyond this, 1 Clement boldly suggests that the vivid voice of Jesus Christ resounded in the Old Testament. 1 Clement proposed the literal interpretation as the proper hermeneutics of Christianity for the Old Testament. While the reader can find a typological and allegorical interpretation in 1 Clement, we cannot deny that the overall hermeneutic of the Old Testament of 1 Clement can be called a literal interpretation.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1 Clement was strongly supported by the use of introductory formulae, the use of testimonia, and the use of Sanctus and doxology based on the Old Testament. While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T in Barnabas tends to ignore the canonical value of the OT and the historical succession between the OT and the NT,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1 Clement shows the strong the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OT and the NT, the eulogy for the OT in the early Christian Church, and the practice of the Jewish tradition outside the O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조용기 박사와 몰트만 박사의 구원의 서정 (Ordo Salutis)에 관한 구속론적 대화: 『오중복음과 삼중축복』과 『생명의 영』을 중심으로

        오성욱 ( Sung Wook Oh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7

        조용기 박사와 몰트만 박사는 서로 다른 신앙적 전통과 맥락 가운데, 각각 자신들의 고유한 목회와 신학을 전개하고 있는 목회자와 신학자의 대명사이다. 그런데 그들은 서로 다른 신앙적 입장과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매우 유사한 신앙의 여정(Ordo Salutis)을 제출하고 있다. 특히, 조용기 박사의 『오중복음과 삼중축복』과 몰트만 박사의 『생명의 영』을 비교 분석해 보면, 양자는 ‘차이’보다는 ‘유사함’을 드러내준다. 이유는 이들의 방법론에 있다. 조용기 박사는 오순절적 성령론에 기초한 오중복음과 삼중축복을 신학적으로 전망한다면, 몰트만 박사는 삼위일체론적 성령론으로 자신의 신학을 펼쳐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양자는 매우 유사한 신앙의 서정(Ordo Salutis)을 제출하고 있다. 조용기 박사와 몰트만 박사의 신학을 비교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는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조용기 박사와 여의도 순복음 교회는 성령의 직접적인 역사와 증거와 표적이 경험적으로 상당 부분 축적되어 있다. 반면, 몰트만 박사는 그의 예리한 신학적 지성으로 성령론 연구에 관한 이론적인 방법론을 그의 저서 『생명의 영』에서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조용기 박사가 오중복음을 보다 정교하게 신학화하고 이론화하기 위해, 몰트만 박사의 성령론적 방법론을 선용하는 것이 유익이 된다면, 몰트만 박사는 조용기 박사의 신학과 목회 속에 축적되어 있는 성령의 경험적 증거들을 자신의 이론에 적용할 때, 양자 모두는 보다 풍성한 성령론적 신학을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r. Yonggi Cho and Dr. Jurgen Moltmann are highly honored pastortheologians with entirely different cultural and theological backgrounds. This study examines a few of their works to draw a comparison of the Ordo Salutis between them. Dr. Cho’s The Five-Fold Gospel and The Three-Fold Blessing, as well as Dr. Moltmann’s The Spirit of Life, will be the primary concern of this article. A careful analysis of these volumes will reveal that Dr. Cho and Dr. Moltmann propose substantially similar orders of salvation, which are based on Trinitarian and experience-oriented pneumatology. Fostering dialogue between the two theologians demonstrates that Dr. Cho’s Fivefold Gospel can be theoretically supported by Dr. Moltmann’s theological works. In contrast, Dr. Moltmann can employ various spiritual experiences that have accompanied Dr. Cho’s Pentecostal Fivefold Gospel (Full Gospel) movement in his theological contemplations. Hence, while Dr. Moltmann’s theology may provide a theoretical ground for Dr. Cho’s Pentecostal theology, Dr. Cho’s Yoido Full Gospel Church can provide Dr. Moltmann’s trinitarian pneumatological theology with vivid pieces of evidence of the Holy Spirit.

      • KCI등재후보

        칼 바르트와 위르겐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적 차이에 관한 탐구

        오성욱 ( Sung Wook Oh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위르겐 몰트만은 칼 바르트의 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신학적 자리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전개한 탁월한 신학자이다. 그러나 삼위일체론과 관련하여,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은 바르트의 삼위일체론적 강조점을 “단일 군주론”으로 비판하고, 성령의 인격성에 관한 진지한 성찰의 부재를 문제 삼고 있다. 몰트만은 성령의 인격성이 담보된 내재적 삼위일체를 탐구하는 길의 시작을 경세적 삼위일체로 지목하는 새로운 방향성 즉, 군주론적, 역사적, 그리고 성만찬적 삼위일체에서 삼위일체론적 영광송으로 향하는 초월과 신비를 제시했다. 이러한 삼위일체론의 탐구방향성에서 인간의 경험과 역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르트가 은유적으로 주장하는 “하나님의 반복”으로서 삼위일체는 내재적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시사건이 삼위일체를 탐구하는 토대가 되고 방향성이 된다. 이러한 방향성에서는 인간의 경험과 역사는 삼위일체 탐구의 일차적 자료가 될 수 없다. 본 논문은 바르트와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적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이 삼위일체론적 차이는 옳고 그름, 혹은 보수와 진보라는 내용에 관한 차이를 넘어서 삼위일체론이 지향하는 방향성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 차이를 내용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면밀하게 검토해 보면, 그 차이가 보다 명확해 진다. 내용과 구조적인 관점에서 전망해 보면 서로 다른 견해를 제출하고 있지만, 양자택일의 관점에서 바르트와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을 전망하지 말고, 양자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여 복음주의 삼위일체론의 수립을 위한 진지한 대화의 파트너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이를 기반으로 할 때, 삼위일체 교리가 현대 신앙인들에게 여전히 살아있는 믿음의 비밀과 신앙의 기준이 될 수 있는 포괄적이면서도 종합적인 복음주의 삼위일체론의 모색에 착념할 수 있을 것이다. Jürgen Moltmann positively imbibed the theological perspective of Karl Barth, newly interpreted Barth’s theology from his Sitz Im Leben, and proposed his own specific theological thoughts. Concerning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owever, Moltmann castigated Barth’s Trinitarian perspective as Monarchianism, pointing out that there is no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in hi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Instead, Moltmann suggested that we should begin with the economic Trinity to arrive at the immanent Trinity, which includes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That is to say, we can understand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Monarchial, historical, eucharistic Trinity to the doxological Trinity, transcending the economic Trinity. 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Karl Barth’s and Jurgen Moltmann’s perspectives of the Trinity. While Barth focuses on the divine unity of the Three Persons found in the jargons of the “three modes” and “repetition of God,” Moltmann strives to interpret the Trinity from the perspectives of pneumatology, anthropology, Christology, soteriology, ecology, eschatology. Such a comprehensive Trinity challenges us to review the immanent Trin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nomic Trinity. We must synthesize these strong points of the Trinity proposed by these two theologians. Moreover, through forming a dialogue between Barth/Moltmann and other evangelical theologians, the Christian community strongly stands on a Trinitarian basis.

      • KCI등재후보

        연수 침범이 동반된 교중앙탈수초증 1 례

        오성욱, 고창준(Sung Wook Oh, Chang Jun Coe)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About 10% of cases of central pontine myelinolysis are associated with extrapontine lesions in the medulla, spinal cord, basal ganglia, cerebellum, cerebral cortex, thalamus. We experienced a case of central pontine myelinolysis accompanied with medullary invasion who had been transfered from a local hospital presented with stuporous mental state, respiratory difficulty, abnormal eyeball and eyelid movements. Rare to diagnose central pontine myelinolysis with medullary invasion during one's life time, we report the case with the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저자들은 혼미한 의식 상태, 호흡 곤란, 안구의 불수의적 운동을 주소로 외부 병원에서 전원된 환아에서 연수 침범이 동반된 중앙교탈수초중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 KCI등재

        Analysis of the Christocentric Message in the Fourfold Gospel for Evangelizing College Students -A Reconsideration of the Munus Triplex in the Fourfold Gospel from Karl Barth’s Perspective -

        오성욱 ( Sung Wook Oh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8 대학과 선교 Vol.36 No.-

        본 논문은 19세기 미국의 급진적 성결운동의 흐름이 일본을 경유하여 한국에서 사중복음이라는 이름으로 사역을 전개하면서 놀라운 부흥을 경험한 성결교회가 전도표제와 신학으로 중시하고 있는 사중복음에 관한 기독론적 일고이다. 특히, 사중복음이 품고 있는 기독론 중심적 메시지 속에 녹아있는 그리스도의 삼중직에 관하여 세밀하게 탐구하고 있다. 필자는 사중복음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삼중직을 해명함에 있어서, 최인식의 제안을 수용하여 중생과 성결을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으로, 신유를 그리스도의 왕직으로, 그리고 재림을 그리스도의 선지자 직으로 해석했다. 더 나아가서 그리스도의 제자장직을 통해 중생과 성결을 체험한 성도들은 오순절 성령을 통하여 새로운 존재가 되며, 그리스도의 왕직을 통해 신유를 경험한 성도들은 그리스도의 사랑과 공의로 세상을 다스리는 왕의 자녀가 되고, 그리스도의 선지자 직을 통해서 임박한 재림의 기대 앞에 선 성도들은 사도적 증언자들로 세상을 향해 하나님의 공의와 심판을 외치는 자들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해석을 근거로 하여, 본 논문은 사중복음과 칼 바르트 사이의 기독론적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사중복음은 기독교대한성결교회라는 교단의 전도표제와 신학이다. 그런데 본 논문은 전도표제와 신학으로서 사중복음에 대한 기독론적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이 캠퍼스 전도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독론 중심적 전도 메시지를 제시하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캠퍼스 전도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에서, 강력한 기독론 중심적 메시지를 충분히 숙지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is thesis is aiming at the investigation into the Christology of the Fourfold Gospel Theology in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whose theological roots are traced back to the Wesleyan-Holiness tradition in the 19<sup>th</sup> American revival era. The Christocentric message of the Fourfold Gospel has played a revival role of the KEHC, and the KEHC has understood Jesus Christ from the perspective of Munus Triplex. In this thesis,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are related to Christ’s office of the Priest, Healing is connected to the Christ’s office of the King, and finally, the second coming is correlated with Christ’s office of the Prophet. Within this threefold structure of Christ’s office, the believer in the Fourfold Gospel becomes a new being possessed by the Pentecostal Spirit, a child of the King, and an apostolic witness of the eschatological Prophet. This understanding of the Munus Triplex in the Fourfold Gospel can be ex-pected to form a Christological dialogue between the Fourfold Gospel and Karl Barth. The Fourfold Gospel as one of the mottos for evangelizational catch phrases belongs to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Beyond this de-nomination, however,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Fourfold Gospel can play an important role of evangelization for college students because it is based on the strong Christocentric message.

      • KCI등재

        변사자 부패체액에서 전자코를 이용한 사망추정시간 연구

        오성욱(Oh Sung Wook),이종걸(Lee Jong Geol),이무형(Lee Moo Hyeong),박현도(Park Hyun Do) 한국민간경비학회 202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0 No.1

        실내에서 사망한 변사자의 몸에서 나오는 체액의 냄새를 전자코 분석시스템으로 측정하여 사망경과시간을 추정하고 냄새의 주요 성분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시료는 실내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변사자의 몸 주변에 흘러나온 부패체액을 6월과 7월에 6개를 채취하였으며 분석을 실시하기 전까지 냉동 상태로 보관하였다. 전자코 분석시스템으로 부패체액을 분석하여 부패냄새의 주요 성분은 프로페놀(Propenol)이 가장 많았고 2-부탄놀 (2-Butanol)이 그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패체액의 냄새를 이용하여 사망시간을 추정할 경우, 사망 6일 이후에 채취한 시료의 냄새가 변화되는 양상이 6일 이전의 시료 보다는 작게 나타나는 분석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냄새의 변화가 작아지는 6일 이후의 시료보다는 이전의 시료를 더 많이 분석한다면 보다 정확한 사망시간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ostmortem interval of death by measuring the odor of body fluid from the body of a deceased person indoors with an electronic nose analysis system and to find out the main components of the odor. Samples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6 pieces of decaying body fluid flowing around the body of a stool died from a disease indoors in June and July, and stored in a frozen state until analysis. By analyzing the spoiled body fluid with an electronic nose analysis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main component of the spoiled odor was propenol, followed by 2-butanol. In the case of estimating the time of death using the odor of the decaying body flui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change in the odor of the sample collected after 6 days of death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ample before 6 days of death.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eath time more accurately if the previous sample is analyzed more than the sample after 6 days when the change in odor is sm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