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일주기유형과 우울한 기분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오규수,이혜경,이건석,Oh, Kyu Soo,Lee, Hye-Kyung,Lee, Kounseok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6 생물정신의학 Vol.23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ircadian types, depressive mood and internet addiction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mood between circadian types and internet addic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632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 (CSM),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net Addiction Test (KIAT).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CSM sco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HQ-9 score (r = -0.226, p < 0.001) and the KIAT score (r = -0.218, p < 0.001). The eveningness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depressive mood and internet addiction than the morningness group (p < 0.001). Depressive mood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ircadian types and internet addiction (${\beta}=0.255$, p < 0.001). Conclusions Internet addiction was associated with circadian types and depressive m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on and circadian rhythm management w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internet addiction.

      • 기업체에서의 CALS 적용방향

        규수,Kim, Gyu-Su 한국정보통신집흥협회 1994 정보화사회 Vol.79 No.-

        우리협회는 지난 5월 26일 한국방위산업진흥회 회의실에서 CALS 분과위원회 발족에 따른 홍보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에 한국EDI협회의 CALS분과위원장인 김규수씨의 주제발표 내용을 전제한다.

      • KCI등재

        전자칠판을 활용한 전자책 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규수(Kyu Soo Kim),김성재(Sung Jae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닌 전자칠판을 활용한 전자책 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을 실시하여, 유아들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일한 글과 그림으로 된 창작동화를 사용하여,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전자칠판을 활용한 전자책 이야기 완성하기가, 비교집단에는 인쇄유형의 종이책 이야기 완성하기가 동일한 시간대에 주 2회 8주간 총16회의 활동이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채미영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 평가 도구가 사용되었고, 연구 결과, 전자칠판을 활용한 전자책 이야기 완성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종이책 이야기 완성하기를 실시한 비교집단 간의 t검증 사후검사 결과, 이야기 꾸미기 능력과 이야기 꾸미기 능력의 하위개념들인 이야기 구조 능력, 상상력, 어휘력, 문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전자칠판을 활용한 전자책 이야기 완성하기가 이야기 꾸미기 능력과 그 하위개념 요소들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an interactive whiteboard with multimedia functions on the story-ma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using a creative young children’s story with the same story and pictures, young children in an experimental group were assigned to complete an e-book version using an interactive whiteboard and young children in a comparison group were assigned to complete a printed book version during a total of 16 sessions held twice a week at the same time for both groups over the course of 8 weeks. The story making ability evaluation tool of Chae Mi-young(2003)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ost test results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mpleted an e-book version using an interactive whiteboard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completed a printed book version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story-making ability and also subconcepts of story-making ability such as story structuring, imagination, vocabulary and writing skills, and showed that e-book story making that used interactive whiteboard influenced both story-making ability and also its subconcept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규수(Kyu Soo Kim),김선혜(Seon Hae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20명이며 8주에 걸쳐 16회 실험 처치하였다. 유아의 분노와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ㆍ사후검사에서 동일하게 유명주(2004)의 분노표현검사와 전인경(2005)의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분노와 공격성의 수준이 감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r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anger-control program on the reduction of anger and aggressiven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what effect does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children's anger? Second, what effect does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children's aggressiv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who live in 1 city. Children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with 20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with 20.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n anger and aggressiveness test instrument and analysed by t-test using SPSS 12.0 software. The result shows that the young children's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their anger and aggressiveness.

      • KCI등재

        우울 아동의 치료와 부모의 역할

        규수 한국놀이치료학회 200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3 No.2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examiming the causes and symptoms of children's depression, and the parents treatment for their children's depression. This study investigates and understanding, attitude and technics of therapy for parents. The causes of children's depression are biologic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Social factors have structural forces(parent's SES, mental disease of family, and so on.) and functional forces(parent rearing attitude and behavior). The symptoms of children's depression were that the children showed both an unhappy mood and a sense of self-depression, and following symptoms : aggressive behavior, sleep disturbance, loss usual energy, poor appetite, self-reproach, diminished ability to think and concentrate, and suicidal behavior. The propositions for helping depressed children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parent-child communication is very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econd, this study demands that the permissive and lovely parent rearing attitude and behavior. Third, the programs of filial therapy are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parent participates actively collateral work with therapist.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와 전망

        규수 ( Kyu Soo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당위성 및 실효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를 짚어보고 앞으로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의 근거는 유치원교육과정 해설서 총론에 제시되고 있으며, 각 유치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교육의 효율성, 적합성, 교원의 자율성과 전문성의 신장을 위해서 그리고 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유치원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아교육과정 자율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구성원들의 확고한 의지가 요구된다. 둘째, 원장과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정부와 교육청 그리고 단위 유치원의 역할 분담이 잘 이루어지고 이들의 상호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서 교사의 책무성이 요구된다. 한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해 전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다. 둘째, 정부의 책무성 역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는 획일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준비와 역량이 된 유치원부터 점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수준과 질에 대한 평가가 수행될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 자율화 추세는 유·초등 연계 교육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draw a picture for the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background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based on the summary section of Handbook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erences indicate that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and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e problem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w understanding on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firm persistency of stake holders are needed. Seco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taffs is needed. Third,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educational district, and individual kindergarten is needed. Fourth, strong accountability of teacher is required. Prospects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increased. Second, the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will be increased. Third,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dministrated from the qualified kindergarten. Fourth, the quality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evaluated.

      • KCI등재

        정 열모 문법론의 특징

        규수 한글학회 2008 한글 Vol.- No.281

        This paper discussed Jeong(1927-8, 1946)'s Korean grammar. The ideas of Jeong's grammar was summarized briefly as ‘formalism based on logic,’ that is, he focused on the linguistic forms which is come into view completely, and analyzed them with logical concepts. First, he set up ‘nat-ttet(낱뜻), gam-mal(감말), sentence(월),’ the definitions of these units is similar to the definitions of ‘morpheme, root, affix, phrase’ of structural grammar in U.S.A. Secondly, he classified verbs and analysed sentences with reducing the relations of multi-terms to the relations of two- terms, the method of his discussion was similar to categorial grammar. Third, he explained the relations of the constituents as ‘depended- command’ which is endocentric, and captured the order between the constituents which cannot form phrases with new or old information. Forth, Jeong(1927-8, 1946) succeeded to traditional grammar, but at the same time was influenced by structural grammar. 이 논문에서는 정 열모(1927-8)의 논의를 참고하면서, 정 열모(1946)의 문법론의 특징을 살폈다. 정 열모(1946)는 철저하게 겉으로 드러난 언어의 형식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들을 논리학의 개념으로 분석하고, 문법의 단위들을 철저하게 분포와 그것들의 관계에 따라 정의하고 있다. 그는 문법의 단위로 ‘낱뜻, 감말, 월’을 설정했는데, 낱뜻이나 월의 정의가 미국의 구조주의의 단위인 ‘형태소, 어근, 접사, 구, 문장’을 정의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그리고 동사와 논항의 다항 관계를 2항 관계로 환원하여 동사를 분류하고 문장의 구조를 분석했는데, 이러한 분석 방식은 범주문법을 연상하게 된다. 정 열모(1946)는 한편으로는 주 시경(1910), 김 두봉(1916), 이 극로(1935)와 관련된 전통문법의 맥을 이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구조주의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