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국어학사

        최규수 국립국어연구원 1996 국어학 연감 Vol.1996 No.-

        1994년은 외솔 최현배 선생과 한결 김윤경 선생이 나신 지 100돌이 되는 해였고, 1995년은 10월 문화의 인물로 한결 김윤경이 선정된 해였다. 이러한 사정으로 1995년에는 한결과 외솔의 연구 업적을 다룬 글들이 많았다.

      • KCI등재

        <영삼별곡>에 나타난 탐문의 특징적 형상화와 의미

        崔圭穗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8 No.-

        기행가사의 경우 18세기 이후에 작품 유형이 정립되고 19세기에 들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여, 기행가사에 관한 기왕의 논의들은 대체로 18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변모의 징후에 주목하는 경향이 컸다. <영삼별곡> 역시 대부분의 기행가사의 후기적 변모상을 보여주는 징표로서 관심의 집중을 받아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기행가사의 변화상을 보이는 사적 궤도하에 둠으로써 전기와 달라지고 있는 후기적 변모상에 대한 단서에의 주목을 강조하는 그간의 논의 경향은, 한 작품의 이해에 큰 조망을 열어줄 수는 있어도 작품의 겹겹이 싸인 특질을 낱낱이 헤아려 주기에는 미진한 감이 없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영삼별곡>의 경우 기행가사의 전개과정에서 기행가사가 지닌 관습적 틀의 지속성과 개성적 변이의 과정을 동시에 보여준다 생각할 때 그 구체적인 지점을 찾아내는 일은 의미 있는 이후 작업을 열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영삼별곡>이 18세기 기행가사의 변모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그 변화라는 것도 어디까지나 전대와의 지속성 위에서 실현되는 것이므로 지속과 변화의 양 측면을 아우르는 시각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속성의 근거는 다름 아닌 자연미 탐색의 기본 시각을 탐문의 형식으로 보여주는 지점들에서 충분히 찾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 탐문의 형식을 중요시한 이유 역시 탐문의 특정적 형상화를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기왕의 논의에서 주목한, <영삼별곡>이 지닌 18세기 기행가사로서의 변모 징후가 보다 확연해질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도로 살펴본 바 <영삼별곡>에서는 탐문이라는 방식이 흥미롭게 표출되고 있었는데, 대상지역의 기행에서 그때그때 탐문을 가능케 하는 인물의 등장이 바로 그것으로, 이 글에서는 이를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폈다. 이러한 실경적 인물의 다양한 활용은 결국, 기행의 여정을 좇아가며 대상 지역을 감상하는 서술이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으로 드러나고 있음은 분명하나 자의식의 표출이라는 측면에서 개인과 사회의 역사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끊임없이 나타내려는 의욕 또한 강한 편임을 내비치는 중요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Previous debates on ‘Kihang Gasa’ showed a tendency to focus on changes since 18C on the ground that the pattern of ‘Kihang Gasa’ works has been settled after 18C and the song started development from 19C. <Youngsam Byulkok> has also become the center of interest in most discussions as a sign showing the aspects of transition on ‘Kihang Gasa’ Nevertheless, the tendency of discussion which stresses focusing in changes in latter period that is differentiating from the former period by putting this work in the historical orbit of transition of ‘Kihang Gasa’ is somewhat unsatisfied to explain in detail even thought it may open the view to understanding of a literary work. As <Youngsam Byulkok> shows both the continuity of conventional frame and characteristic transition process that are intrinsic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Kihang Gasa’, finding the specific point is the very important key to opening of significant work. In this point of view, though <Youngsam Byulkok> shows the changes of 18C ‘Kihang Gasa’, it is still important to put together both continuity and changes because the changes become realities on the basis of continuity with the former period. And the ground of this continuity is can be found at the place where basic viewpoint of seeking natural beauty is shown by the type of questioning. In this intention, we can find an interesting expression of questioning in <Youngsam Byulkok>. It is the appearance of a character who make it possible to inquire at the journey of object area. I will review this in two aspect in this thesis. This various application of characters is a important point which continuously shows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bout individual, society and history in terms of exposure of self-consciousness.

      • 한국어의 통어적 가지에 대한 몇 가지 문제

        최규수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3 한국민족문화 Vol.21 No.-

        This paper discussed some issues of syntactic affixes in Korean Grammar, and it is summarized as follow. 6.1. Syntactic affixes discussed recently in Korean Transformational Grammar are the category to explain the function of all inflectional forms and some derivational forms. They must be explained not only in Transformational Grammar but also in all the theories of grammar. Then, we must focus the functions (grammatical informations) of syntactic affixes, not its structural position. 6.2. In the discussion of these issues, some of Korean Transformational Grammar have tried to alter the system of affix wholly. But this attempt has the problems in the historical nature of Linguistics and the generalization of the system of grammar. The functions of syntactic affixes can be explained with an established system of affix with trivial revision of its functional definition in Descriptive Linguistics. 6.3 I discussed the list of Korean syntactic affixes and the sentence structure having them, and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i-(-이-) and -katad(같-) is stems, not syntactic affixes. -i(-이) in nop-i(높이), ppal-i(발리), kkeunimeup-i(,끊임없이) can be dealt with lexical affixes. -keori-(-거리-), -dae-(-대-) is not syntactic affix, and they can function as main verbs, on the analogy of bound verb -dae-(-대-). 6.4. Finally, I analyzed the syntactic and morphological informations of Korean syntactic affixes, in terms of Sadock(1991)'s Autolexical Syntax.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