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봄철 환절기 사양관리-한번 본 계사 다시 한번 보자

        연제영,Yeon, Je-Yeong 대한양계협회 2007 월간 양계 Vol.39 No.3

        우리나라의 환경은 사계절이 뚜렷하여 겨울에는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덥고 다습한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환절기인 봄에는 기온차가 심하여 환기관리를 잘못하면 심각한 손실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환기관리에 특히 신경을 써야할 계절이라 하겠다. 그 외에도 건강한 병아리, 최적 수준의 사료, 정성어린 사육관리등 여러 가지 필수 요건이 있으나 이중 봄철, 한해의 입추를 준비하면서 농장에서 충분히 조절할 수 있는 사양관리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 KCI등재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자외선차단지수(SPF)와 자외선A차단등급(PA)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연제영,서정민,배준태,이청희,이상길,표형배,홍진태,Yeon, Jae-Young,Seo, Jeong-Min,Bae, Jun-Tae,Lee, Cheong-Hee,Lee, Sang-Gil,Pyo, Hyeong-Bae,Hong, Jin-Tae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오일의 극성도, 에멀젼의 종류, 제품의 점도, 증점제의 종류 그리고 광안정제 등이 자외선 차단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높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높게 측정되었으며(Butyloctyl salicylate: SPF 44.10, PA 7.93), 반대로 오일의 극성도가 낮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낮게 측정되었다(Dimethicone: SPF 16.40, PA 5.57). 에멀젼의 종류는 O/W 에멀젼보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외상에 존재하는 W/O 에멀젼에서 자외선 차단 효율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제품의 점도는 높아질수록 자외선 차단 효율이 비례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점제의 종류 및 유화입자 크기는 자외선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또한 광안정제의 함유 여부도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외선 차단제의 추가적인 증량이 없어도 자외선 차단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으로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 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effects of UV protection efficiency of the polarity of oil, the type of emulsion, the viscosity of product, the type of thickener and light stabilizer in sunscreen. As a result, even higher polarity of the oil, UV protection efficiency is measured high (Butyloctyl salicylate: SPF 44.10, PA 7.93). In case of low, it was measured low conversely (Dimethicone: SPF 16.40, PA 5.57). In case of emulsion types, UV protection efficiency of W/O emulsion which organic sunscreen agent is based in the outer phase is measured higher than O/W emulsion. According to increasing of viscosity, UV protection efficiency tends to increase proportionally. However, the size of emulsion particles and the kinds of thickener has no effect to UV protection efficiency. Also light stabilizer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UV protection efficiency. As a result, it is able to improve UV protection efficiency and it has potential which improve the economical effect of the sunscreen without increasing sunscreen agents.

      • KCI등재

        성견 일벽성 치주 결손부에 이식한 biphasic calcium phosphate의 조직계측학적 평가

        연제영,김동진,홍성배,홍지연,김성태,이용호,조규성,김종관,최성호,Yon, Je-Young,Kim, Dong-Jin,Hong, Sung-Bae,Hong, Ji-Yeon,Kim, Sung-Tae,Lee, Yong-Ho,Cho, Kyu-Sung,Kim, Chong-Kwan,Choi, Seong-Ho 대한치주과학회 2008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8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biphasic calcium phosphate applied in surgically created 1-wall periodontal intrabony defects in dogs by histometrical analysis. Material and Method: Critical sized($4\;mm\;{\times}\;4\;mm$), one wall periodontal intrabony defects were surgically produced at the proximal aspect of mandibular premolars in either right and left jaw quadrants in four canines.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debridement alone, and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debridement and biphasic calcium phosphate application. The healing processes were histologically and histometrically observed after 8 weeks. Results: In biphasic calcium phosphate group, more new bone and cementum formation, less epithelium and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ere observed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ough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not be found, it seemed that there was more new bone and cementum formation with applying biphasic calcium phosphate in 1 wall intrabony defects in dogs by preventing junctional epithelium migration.

      • 봄철 육계 사양관리 -환기관리로 유독가스 제거에 노력-

        연제영,Yeon, Je-Yeong 대한양계협회 2006 월간 양계 Vol.38 No.3

        우리나라의 환경조건은 봄가을철에는 18~22℃ 정도이고 겨울은 매우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고열다습한 매우 뚜렷한 사계절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계사의 온도조절이 필수라 하겠다. 그러나 그에 앞서 어느 계절에나 필수이자 의무인 3요소가 있으니 ①우수한 초생추 병아리의 구입이 최우선 되어야 하며 ②농장에서의 적절한 육계사양관리가 필요하고, ③성장을 충분히 받쳐주는 양질의 사료가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3요소만 충족시킨다면 대부분의 경우 우수한 성적으로 육계를 키울수 있다고 믿는다. 이중 농장에서 직접할 수 있는 육계의 사양관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KCI등재

        옥수수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미강 추출물의 효과

        연제영(Jeyeong Yeon),이선미(Seon Mi Lee),양진우(Jinwoo Yang),곽지은(Jieun Kwak),김영화(Youngwha Kim),정헌상(Heon 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0

        옥수수유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고자 미강 추출물을 옥수수유에 첨가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 공액이중산가 그리고 비타민 E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미강 추출물은 추출방법에 따라 USM(unsaponifiable matter of the rice bran), MEO(methanolic extract of the rice bran oil) 및 MEDR(methanolic extract of the defatted rice bran)로 분류한 3가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과산화물의 경우 미강 추출물 중 MEDR은 저장 9일까지 BHT의 수준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추출물보다 과산화물 생성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산화안정성이 증가하였다. 공액이중산가의 경우 MEDR은 저장 12일까지는 BHT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다가 저장 15일부터 급격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E의 경우 α-토코페롤(T)과 α-토코트리에놀(T3) 함량 변화는 저장 초기와 비교하여 USM은 약 85%, MEO는 약 67%, MEDR은 약 59%가 감소했지만, γ-T와 γ-T3의 함량 변화는 저장 초기와 비교하여 USM은 약 25%, MEO은 약 29%, MEDR은 약 15%로 α-T와 α-T3보다 감소율이 현저히 낮았다. 결과적으로 미강 추출물은 MEDR> MEO> USM 순으로 산화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다산과 일품 품종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미강 추출물 중 MEDR은 천연 항산화제로 그 이용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Rice bran contains high amounts of fiber and various phytochemicals, including vitamin E, γ-oryzanol, and phenolic acids. The oxidative stabilities of corn oil added with three rice bran extracts from two rice cultivars (Dasan 1 and Ilpum) were evaluated. The three rice bran extracts were unsaponifiable matter of rice bran (USM), methanolic extract of rice bran oil (MEO), and methanolic extract of defatted rice bran (MEDR). Each sample was stored at 50°C for 24 days. Oxidation of these samples was determined every 3 days by measuring the peroxide value (POV) and conjugated diene value (CDV). Vitamin E content was analyzed on day 0 and day 24. The results show that the POV and CDV values of samples increased gradually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order of oxidative stability was shown as BHT> MEDR> MEO> USM> control, regardless of cultivars. In the case of vitamin E, α-T, γ-T, α-T3, and γ-T3 contents decreased by 89%, 31%, 83%, and 32% after storage for 24 days, respectively. In conclusion, MEDR showed higher oxidative stability and may have potential as a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in the oil industry.

      • KCI등재후보

        유화제의 HLB에 따른 O/W 및 W/S 에멀젼의 유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연제영 ( Jae Young Yeon ),신보람 ( Bo Ram Shin ),김타곤 ( Ta Gon Kim ),서정민 ( Jeong Min Seo ),이청희 ( Cheong Hee Lee ),이상길 ( Sang Gil Lee ),표형배 ( Hyeong Bae Pyo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친유성 계면활성제가 조합된 다양한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을 갖는 유화 시스템의 조건에서, required HLB 값이 각기 다른 오일들을 적용하여 제조한 O/W 및 W/S 에멀젼들의 특성 및 유화 안정성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O/W 에멀젼은 유화제의 HLB 값이 낮을수록 점도가 높고, 유화입자는 작고 조밀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원심분리에서도 더 안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W/S 에멀젼은 유화제의 HLB 값이 높을수록 유화입자는 작고 조밀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원심분리에서도 더 안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W/S 에멀젼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유화제의 HLB 조건에서 점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나 장기 안정도에서는 불안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O/W 에멀젼은 HLB값이 높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적용이 적합하며 W/S 에멀젼은 HLB 값이 낮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적용이 적합하다는 기본 이론과 상반되는 결과로서 앞으로의 화장품 연구 개발 시 유용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O/W and W/S emulsions were prepared by combining oils having different required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HLB) values under the diverse conditions of HLB values composed of a hydrophilic surfactant and a lipophilic surfactant and their stability was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viscosity of O/W emulsions was as the lower the HLB value of emulsifier and emulsion particle showed a tendency to be a smaller and compact and stabler in centrifugal filtration. W/S emulsions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be a smaller and compact as HLB values of emulsifier was higher and stabler in centrifugal filtration. However, the viscosity of W/S emulsion tended to get lower in HLB conditions of all emulsifiers as the time passed. This indicated that the emulsions had an unstable feature in long-term stabil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opposite to the known theory that O/W emulsion is proper to be applied by nonionic surfactant with a high HLB value and W/S emulsion to be applied by nonionic surfactant with a low HLB value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cosmetics research and related areas.

      • KCI등재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과 용해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율의 비교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연제영 ( Jae Young Yeon ),홍승덕 ( Seung Deok Hong ),최세범 ( Se Bum Choi ),김타곤 ( Ta Gon Kim ),이청희 ( Cheong Hee Lee ),이상길 ( Sang Gil Lee ),표형배 ( Hyeong Bae Pyo ) 대한화장품학회 201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유기 자외선 흡수제와 오일들 간의 용해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의 안정성과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따른 이들의 자외선 차단 효율 변화를 조사하여 보다 안정하고 효율이 높은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일의 종류, 농도 그리고 보관 조건에 따라서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도 및 안정성이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에멀젼상에서도 자외선 차단지수에 영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흡광도가 측정되었으며, 조합 시 각각의 자체 흡광도보다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있었고, 특정 성분과의 조합 시에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보관 조건에 따라서도 자외선 흡광도는 상이하게 측정되어,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sunscreens based on the solubility of organic UV absorbers in the oil and sun protection efficacy of the product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organic UV absorbers to develop more stable and efficient sunscreen products. Results showed that the solubility of the organic UV absorber and stability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storage conditions and concentration of oil. It was also observed from the products in the emulsion type. Various UV absorbances were determined to the products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organic UV absorbers. In some combinations, a synergistic effect was observed to make an increase in absorbance compared to a single component. In other cases, specific synergistic effect was displayed only when combined with the particular component. In addition, the storage condition also affected the sunscreen efficac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factors which could affect the UV-blocking efficiency of sunscreen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