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Wi-Fi 핑거프린트 기반 실내 이동 경로 데이터 생성 방법

        윤창표(Chang-Pyo Yoon),황치곤(Chi-Gon Hwa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정확한 서비스를 위해 Wi-Fi 핑거프린트 기반의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딥러닝 모델 중에서 과거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RNN 모델은 실내측위에서 연속된 움직임을 기억할 수 있어 측위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때 학습 데이터로서 연속적인 순차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Wi-Fi 핑거프린트 데이터의 경우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들만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RNN 모델의 학습데이터로 사용이 부적절하다. 본 논문은 RNN 모델의 순차적인 입력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클러스터링을 통한 영역 데이터로 확장된 Wi-Fi 핑거프린트 데이터 기반 이동 경로의 예측을 통한 경로 생성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Recently, researches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based on Wi-Fi fingerprints have been conducted for accurate services in indoor location-based services. Among the deep learning models, an RNN model that can store information from the past can store continuous movements in indoor positioning, thereby reducing positioning errors. At this time, continuous sequential data is required as training data. However, since Wi-Fi fingerprint data is generally managed only with signals for a specific location, it is inappropriate to use it as training data for an RNN model. This paper proposes a path generation method through prediction of a moving path based on Wi-Fi fingerprint data extended to region data through clustering to generate sequential input data of the RNN model.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의 ADHD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양길석 ( Yang Kil-seok ),이상훈 ( Lee Sang-ho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이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최근 ADHD 연구의 경향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특수교육 분야 학술지 5종에 게재된 140편의 관련논문을 전체 시기와 전반기(2011년∼2015년)와 후반기(2016년∼2020년)로 구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년 동안의 ADHD 연구 경향을 대표하는 핵심 키워드는 사회적 기술, 과잉행동, 문제행동, 부모교육, 아동, 주의력결핍, 위험군, 주의집중력, 실행기능, 인지 등으로 나타났고 시기별로 상이한 연구경향을 보인다. 둘째, ADHD 연구는 ADHD로 진단된 아동의 증상과 학업 및 행동에 대한 인지, 예술치료적 중재에 초점을 둔 실험연구와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게재논문의 수는 다소 감소하고 있으나 ADHD 위험집단과 ADHD 성인, 기능 증진, 부모교육 등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ADHD 아동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특수교육 분야에서 ADHD 학생들의 진단과 행동중재, 학업성취를 포함한 교육적 성취를 적극 지원할 뿐만 아니라 특별한 교육적 어려움을 가지는 ADHD 학생들이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되어 정당한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그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연구 노력 또한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DHD research trends of academic journals of special education field over a recent 10 year period by utiliz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key words of 140 papers from 5 journals of special education field published in 2011∼2020 were analyzed by dividing published papers into the first half (2011∼2015) and the second half (2016∼2020). Also 140 papers were analyzed in research subjects, theme, types, methods, independent & dependent variables, and intervention period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e keywords representing the research trend in the last 10 years were social skills, hyperactivity, problem behavior, parental education, children, attention deficit, risk group, attentional concentration, executive function, and cognition. Second, ADHD research is centered on experimental and research studies focusing on cognitive and artistic therapy interventions for symptoms, schoolwork and behavior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Although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has recently decreased somewhat, interest in ADHD risk groups, ADHD adults, function enhancement, and parental education tends to increase. Therefor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at is most closely related to ADHD childre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ADHD students' diagnosis, behavioral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addition, research efforts on the necessity and legitimacy of ADHD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difficulties should be selected as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provided with reasonable accommodation.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동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를 중심으로

        양길석 ( Yang Kil Seok ),이상훈 ( Lee Sang Ho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최근 경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가 발간하는「정서·행동장애연구」에 2010년부터 게재된 논문 697편을 전반기(2010년∼2014년)와 후반기(2015∼2020년) 그리고 전기(2015년∼2017년)와 후기(2018년∼2020년)로 구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전·후반기 공통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 긍정적 행동지원 등이었다. 전반기의 정서·행동장애, 아스퍼거장애, 정서·행동 문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후반기의 우울, 청소년, 대학생 등의 키워드는 시기별 연구 경향을 나타낸다. 전·후기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우울, 사회적 기술, 대학생, 문제행동 등이었고 전기의 회복탄력성, 문헌연구, 청소년과 후기의 긍정적 행동지원, 발달장애, 사회불안은 연구경향의 부분적 변화를 시사한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18년 이후 게재 논문은 감소 추세이며 전체적으로 특수교육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학령기 아동들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프로그램 관련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에는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임상적으로 진단되지 않은 대학생과 성인의 우울이나 불안에 대한 이론·가설탐색 목적의 조사연구가 활성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정서·행동장애 특수교육대상자의 감소 및 위험집단에 대한 관심 증대, 학회 명칭 개칭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order to clarify the tend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 this study analyzed 697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0 in th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JEBD」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KSEB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dividing papers into the first half (2010∼2014) and the second half (2015∼2020), and the second half was divide the former (2015∼2017) and the latter (2018∼2020) perio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common core keywords i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ere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DHD, problem behavior, social skill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Core keywords in the first half were EBD, asperger disorder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SD, and core keywords in the second half were depressi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This shows the trends in research by period. Core keywords in the former and latter periods were ASD, ADHD, depression, social skills, college students, and problem behavior. Resilience, literature research, and PBS in the former periods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ocial anxiety in the latter periods suggest partial changes in research trends. Second, from the aspect of content analysi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for 「JEBD」has been decreasing slightly since 2018. Overall,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programs on ASD in school-age children have been mainly conducted b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recently, survey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ories and hypotheses about depression or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nd adults who have not been clinically diagnosed tend to be activated by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This can be attributed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EBD, an increase in interest in risk groups, and a change in the name of the KSEBD.

      • KCI등재

        의학교육 학생평가의 객관성에 대한 쟁점

        민경석,양길석,Min, Kyung-Seok,Yang, Kil-Seok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3 의학교육논단 Vol.15 No.3

        This paper addressed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objectivity of student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The objectivity of assessment was related to all the steps of test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results reporting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Specifically, the objectivity of item formats, representativeness of test content, standardization of test administration, consistency of scoring procedures, and appropriateness of reporting test results were discussed by comparing performance assessment with traditional paper-and-pencil tests. The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current measurement theories such as standards-based assessment, evidencebased design, and outcome-based assessment. Further, based on Shepard's propositions (2006), the objectivity of student assessment could be achieved by improving the concordance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and assessment components such as item types, test contents, and test administration, scoring, and reporting.

      • KCI등재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진단 검사지 개발 연구

        고호경 ( Ho Kyoung Ko ),양길석 ( Kil-seok Yang ),이환철 ( Hwan Chul Lee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논문집 Vol.29 No.4

        본 연구는 수학학습 상담 시 활용할 사전 진단 검사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을 진단하기 위한 발문들을 도출해 내어 검사지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실시하여 초등 5~6학년용과 중등 1~2학년용의 진단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검사지는 총 3부로 나누어, 1부 수학학습심리, 2부 수학학습 방법, 3부 수학학습개인 성향으로 구성하였다. 수학학습심리는 ``수학학습능력 자신감``, ``수학불안``, ``수학학습 태도`` 요인으로, 수학학습 방법은 ``수학학습 자기관리``와 ``수학학습 전략`` 요인으로, 수학학습 개인 성향은 ``수학학습 습관``과 ``수학학습 관리 방법``, ``동기``, ``성향``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진단 검사지는 학생들의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preliminary diagnostic worksheet for use in consultations for learning mathematic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worksheet was constructed with questions designed to assess the students. Through standardization, diagnostic worksheet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 and 6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7 and 8 were produced. The diagnostic worksheet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consisting of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in section 1, the methodology in learning mathematics in section 2, and personal preferences in learning mathematics in section 3.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was composed of questions on factors such as, "confidence in math learning ability," "math anxiety," and "attitude in learning mathematics." Moreover, factors in methodology in learning mathematics were "self-management in learning mathematics" and "math learning strategies." Those for personal preferences in learning mathematics asked about "motivation" and "preferences" with questions about "math learning habits" and "management methods for learning math." This diagnostic worksheet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 in consulting students on learning mathematic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읽기 텍스트 난이도 판별분석

        구민지 ( Min Ji Koo ),양길석 ( Kil Seok Yang ) 이중언어학회 2013 이중언어학 Vol.52 No.-

        This study is about the method of measuring text difficulty and readability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factor would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ext difficulty, how accurately these factors could judge text difficulty and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f these readability factors were applied together. For this purpose, four factors of Koo, M. J.(2013) are used which are word difficulty, grammatical unit, sentence length and adorning expression. As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the three factors except sentence length are meaningful and two discriminant functions are elicited. The first function can explain approximately 98.5% of group discriminant, and word difficulty factor show the strongest influence. The second function can explain 1.5%, the adorning expression factor show bigger influence than other factor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above discriminant functions using three factors can verify the level of texts in current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Korean textbooks for foreigners. Also, they can be used in developing texts of Korean reading education.(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KCI등재

        평가 쟁점에 따른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방안 탐색

        이명애 ( Lee Myungae ),성경희 ( Sung Kyunghee ),양길석 ( Yang Kil-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교육평가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선결 과제들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평가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평가 측면에서의 쟁점을 도출하고, 이 쟁점을 중심으로 연구・선도학교 교사 및 시‧도교육청 담당자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평가 방안으로 필수 과목(군)과 선택 과목(군)에 따른 ‘two track 접근’ 체제를 제안하였다. ‘two track 접근’은 고교학점제가 교육 현장에 안정적,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현실과 이상 사이의 절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수정‧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구안된 평가 방안이다. 이 평가 방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향후 학점제형 새 교육과정을 마련할 때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의 의미 명확화가 요구되며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의 편성 기준 및 배정 비율 차이 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수업별‧교사별 평가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교과협의회와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역할 강화 등을 통한 평가 결과의 타당성‧신뢰성 제고 노력과 지속적인 교사의 평가 전문성 확보 방안 마련을 통한 교사 평가 결과에 대한 사회적 신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table establish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drawing tasks to be predetermined and improved from the evaluation aspect and by offering specific suggestions for educational assessment. First, issue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rom the evaluation aspect were drawn from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about the purpose and int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by conducting the focus group surveys, the ‘two track approach’ is drawn as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two track approach’ is an evaluation method which allows diverse implementations for the compulsive or elective su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ur key evaluation issue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two track approach’ is highly effective as making mediations and combin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s possible while taking the ideal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into consideration. To apply the ‘two track approach’ in school education, meaning of the compulsive and elective subjects has to be clarified in the new curriculum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lso a multi-faced study on organizational requirement and allocation ratios of the compulsive and elective subjects is needed.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teacher-specific evaluation in terms of class units, the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ults by strengthening of the role of the curriculum council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management committee. Also, the efforts to secure social trust in teachers’ evaluation by enhancing teachers’ evaluation expertise is needed.

      • KCI등재

        학교평가에서의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 방안

        김신영(Kim, Shin Young),강태훈(Kang, Taehoon),김정민(Kim, Jung Min),양길석(Yang, Kil Seo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1

        학교평가에서 학교의 교육성과를 확인․점검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자료 중 하나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이다.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결과가 학교의 교육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지표로 활용될 경우, 학교가 획득한 당해 연도의 학업 성취, 학교가 주어진 여건에서 노력하고 성장한 정도, 그리고 이 둘 모두의 반영에 있어서, 각각 어떠한 방식으로 요약․제시될 수 있는 지에 대한 통계적 방법을 모색하였다.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학교교육의 책무성 검토를 위한 평균모형, 지위모형, 향상도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각 모형 하에서 산출되는 각 학교평가 지표의 역할은 학교들의 서열화보다는 학교에 대한 이해 및 지원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하여 점수 방식보다는 등급화를 통한 결과 제시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학업성취도 수준을 가진 임의의 학교들을 선택하여 이러한 평가 지표들이 실제로 어떻게 제시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였고, 추가로 학교 여건에 따라서 평가 결과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였다. In school evaluation, students' achievement data will be one of the most critical and essential resources to check the school-level educational accomplishment. This study examines several statistical approaches that can be used to monitor the schools'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ement. Also, a method to evaluate both of them together was suggested. Based on real large-scale achievement data, the utilization schemes of status model, improvement model, and mean model were explored to provide various evaluation indices for school evaluation. It was highlighted that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methods to school evaluation should serve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rather than school-ranking.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evaluation results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iven conditions of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