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인 임신성 당뇨병의 임상적 특성

        안광진(Kwang Jin Ahn),정윤석(Yoon Sok Chung),이현철(Hyun Chul Lee),허갑범(Kap Bum Huh),김유리(Yoo Lee Kim),안명옥(Myong Ock Ahn),김문종(Moon Jong Kim),차경섭(Kyung Sub Cha),정춘희(Choon Hee Chung),곽인평(In Pyung Kwak)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3 No.6

        N/A Backgrou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is defined as carbohydrate intolerance of variable severity with onset or first recognition during the present pregnancy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insulin is used for treatment or the condition persist after delivery. Little has been know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DM in Korean wiomen.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GDM of Korean women. Methods: Screening test was performed on pregnant women between 24th and the 28th week of gestational age or when showing glycosuria. Venous plasma glucose was measured 1 hour after 50 gm oral glucose load, A value of 130 mg/dl or above was indicated for 100 gm 3-hou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fter standard preparation. According to O`Sullivan and Mahan`s criteria, 45 women were diagnosed as having GDM. Results: Maternal age and parity of GDM patients (31.7±4.5, 0,66±0,6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s (28.6±3.4, 0.21±0,07). Pregnant body weight of GDM patients (109.3±16.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92.6±27.04). The incidence of macrosomic infant (≥ 4kg) was 26,8% in GDM patients and 6. 5% in controls. Among 35 GDM patients 7 showed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6 showed overt diabetes mellitus 6 weeks after delivery. The fasting blood sugar at diagnosis of GDM were higher in those patients whose glucose intolerance persist than in the patients whose glucose intolerance recovered to normal 6 weeks after delivery (126.8±70. 0 vs 79.9+±7,7). Conclusion: Screening test for GDM is needed to all pregnant women and to investigate clinical course of GDM, further follow up study is needed.

      • KCI등재
      •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률에 관한 연구

        김유리,조용욱,박석원,홍은경,조윤경,이화영,전혜선,송유봉,안명옥,김세현,이상종 대한당뇨병학회 2001 임상당뇨병 Vol.2 No.1

        연구배경: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여성에서 다음 임신시 임신성 당뇨병이 재발할 가능성은 30%에서 60% 이상으로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임신성 당뇨병 환자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률과 재발에 관한 위험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분만한 후 다음 임신의 산전관리와 분만을 본원에서 한 임신부 65명을 대상으로 두 번째 임신 중 임신성 당뇨명의 재발률을 조사하였다.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은 National Diabetes Data Group의 기준에 따랐다. 기준 임신시 임신부의 연령, 신장, 임신전 체중과 체질량지수, 진단 당시의 재태 연령, 신생아의 체중, 당뇨병의 가족력, 임신중 시행한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선별 검사와 당부하검사의 혈당농도, 임신중 혈당을 조절하면서 측정한 공복시와 식후 1시간 혈당농도의 평균 등과 다음 임신과의 사이에 체중변화와 간격을 조사하여 임신성 당뇨병이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 간에 비교하였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각 임상 인자들은 재발에 대한 비교위험도를 구하였다. 또한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통해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률은 47.7%였고 임신성 당뇨병이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군의 연령, 분만 횟수, 당뇨병의 가족력 및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재태 연령, 임신간의 체중변화, 임신간격 등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기준 임신시 재발군의 체질량지수(22.4±3.4 vs 20.6±1.9㎏/㎡, p=0.011), 신생아의 체중(3.5±0.6 vs 3.2±0.4㎏, p=0.017), 그리고 거대아 분만빈도(19.4 vs 2.9%, p=0.033)가 재발하지 않은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의 혈당이 재발군에서 9.9± 1.7 mmol/L로 재발하지 않은 군의 8.4±0.9mmol/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00) 100g 경구당부하검사의 혈당 반응 곡선아래 면적이 재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 받고 혈당 조절을 하면서 측정한 공복 혈당과 식후 1시간 혈당도 재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임신성 당뇨병 재발에 대한 비교위험도는 선별 검사의 혈당이 9.45 mmol/L 이상인 경우 17.0 (p=0.000) 거대아를 분만한 경우 7.9(p=0.047), 임신간에 6kg이상 체중이 증가한 경우 9.6(p=0.046)이었다.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기준 임신시의 임신성 당뇨병 선별 검사의 혈당으로 나타났다(Expβ 3.2, 95% CI 1.6∼6.3, p=0.0007). 결론: 한국인 임신부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율은 47.7% 이고 임신중의 고혈당 정도, 거대아 분만, 임신간의 과다한 체중증가가 재발 위험을 높이는 인자이며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 인자로는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의 혈당 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currence rate of GDM and to find out risk factors for recurrence in pregnant women.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5 patients whose index pregnancy was complicated by GDM and subsequent consecutive pregnancy was managed at CHA General Hospital between 1996 and 2000. Diagnosis of GDM was based on the criteria recommended by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During consecutive pregnancy all subjects peformed 100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ithout regard to the result of GDM screening test. Results: Thirty one (47.7%) of the 65 women had recurrence of GDM. Patients with recurrent GDM had higher prepregnancy BMI(22.4±3.4 vs 20.6±1.9㎏/㎡, p=0.011), higher plasma glucose level on GDM screening test (9.9±1.7 vs 8.4±0.9 mmol/L, P=O.000), higher area under the glucose response curve on 100 g OGTT (1694.1± 186.3 vs 1593.4±85.9 mmol/Lㆍmin, p=0.006), delivered heavier baby (3.5 ±0.6 vs 3.2±0.4㎏, p=0.017), and had higher incidence of giant baby (19.4 vs 2.9%, p=0.033) in their index pregnancy compared to patients who had normal subsequent pregnancy. Maternal age, parity, family history of diabetes,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of GDM, and interval between pregnanci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Relative risks for recurrence associated with plasma glucose on GDM screening test ≥9.45 mmol/L, delivery of giant baby in index pregnancy, and weight gain more than 6㎏ between pregnancy were 17.0 (p=0.000), 7.9 (p=0.047), and 9.6 (p=0.046) respectively. Plasma glucose level on GDM screening test was unique independe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pβ 3.2, 95% CI 1.6-6.3, p=0.0007). Conclusion: Recurrence rate of GDM in this study was 47.7%. Hyperglycemia and heavier infant birth weight in index pregnancy, excessive weight gain between pregnancies wer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GDM.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was plasma glucose level on GDM screening test in index pre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