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도현,쩐밍,이종민,박재희,Ahn, Dohyun,Minh, Tran,Lee, Jongmin,Park, Jaehee 한국센서학회 2017 센서학회지 Vol.26 No.4
This paper presents a respiration measurement sleeping pillow based on pressure sensors. The respiration measurement sleeping pillow system consists of a sleeping pillow, an interface circuit, a respiration measurement system, and four force-sensitive resistor(FSR) sensors attached at the bottom of the sleeping pillow. The FSR sensors are used to detect the respiration signals induced by the body movement while breathing. The respiration signals of a twenty health man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utilizing the respiration measurement sleeping pillow system. The pillow system could detect the respiration signals and ha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chest type BIOPAC respiration sensor used by medical doctors. The respiration rates of ten subjects were also measured. The average measurement accuracy was about 98.8%.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is pillow system can be used to detect and analyze the respiration signal when sleeping for the better sleep management.
안도현,Ahn. Dohyun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3 No.1
동기화 초점(motivation focus)은 주의 초점을 타인 혹은 자신에게 돌리는 경향을 말한다. 자신에게 주의 초점을 돌리는 자기 초점 동기화(self-focused motivation)와 타인에게 주의 초점을 돌리는 타인 초점 동기화(other-focused motivation)로 구분된다. 자기애나 자부심 등과 같은 자기지향성이 자기 초점 동기화가 작동된 상태다. 과도한 자기지향성은 주의 초점을 자신에만 돌리게 하기 때문에 적절한 사회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되며, 불행한 삶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 지지됐다. 외로움이 과도한 자기지향성과 행복감의 감소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대한 건강커뮤니케이션의 함의가 논의됐다. Motivational focus refers to individuals’ tendency to direct their attention to the self or others. When individuals direct their attention to the self, it is self-focused motivation, whereas when individuals direct their attention to others, it is other-focused motivation. Self-orientation such as narcissism or pride is the case of self-focused motivation. Excessive self-orientation makes individuals to focus only on their own selves, which typically results in social isolation, which in turn leads them to feel unhappy. This rationale has been supported by this study; Loneliness mediated the effects of excessive self-orientation on the decreased sense of happines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이끼를 활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개발 및 이끼별 공기정화 능력 평가
안도현(DoHyun Ahn),최현우(Hyeunwoo Choi),이종민(JongMin Lee),허성필(SungPhil Heo) 한국산업정보학회 202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7 No.3
미세먼지는 대기를 타고 호흡기를 거쳐 폐 혹은 혈관에 침투한다. 최근 미세먼지 문제때문에 국내에 공기청정기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끼는 가장 오래된 지상식물로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본 연구진은 이를 활용하여 화학적 필터를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끼와 기존 화학적 필터(Hepa)의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1 ㎥의 큐브를 제작하고 통제된 환경하에서 미세먼지의 감소량을 비교하였다. 미세먼지 상황 하에서 우산 이끼 필터, 쥐꼬리 이끼 필터, 깃털 이끼 필터, 비단 이끼 필터등을 삽입한 4가지 상황별로 각각 10회씩 총 40회의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미세먼지 감소량을 비교한 결과 미세먼지 양과 30분후의 감소량의 차이는 모든 필터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필터별 차이는 확인 결과 미세먼지, 혼합 가스, CO₂, O₂ 모두 필터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에 알려진 이끼의 산소 발생의 효과는 거의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이끼의 종류와 관계없이 미세먼지 감소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개선을 통해 기존 공기정화기의 화학 필터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Fine dust enters the lungs or blood vessels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through the air. Recently, due to the fine dust problem, the demand for air purifiers in Korea is also increasing rapidly. Moss is the oldest terrestrial plant, and it is known that it has the property of adsorbing and decomposing heavy metals and fine dust. To compare the effect of reducing fine dust between moss and the existing chemical filter (Hepa), a cube of 1 ㎥ was manufactured and the amount of fine dust reduction under a controlled environment was compared. Under the fine dust conditions, an umbrella moss filter, rat tail moss filter, feather moss filter, and silk moss filter were inserted for a total of 40 experiments, 10 times each in 4 different situ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after 30 minu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filters. However,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lters for fine dust, mixed gas, CO₂, and O₂.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viously claimed effect of oxygen generation was almost nonexistent. Through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uction of fine dust is effective regardless of the species view of moss, and it is expected to replace or supplement the chemical filter of the existing air purifier through future improvement.
안도현(Dohyun A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6
미세먼지는 대기를 타고 호흡기를 거쳐 폐 혹은 혈관에 침투 한다. 최근 미세먼지 문제 때문에 국내에 공기청정기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끼는 가장 오래된 지상식물로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본 연구진은 이를 활용하여 화학적 필터를 대체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끼와 기존 화학적 필터(Hepa)의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1㎥의 큐브를 제작하고 통제된 환경하에서 미세먼지의 감소량을 비교하였다. 미세먼지 상황 하에서 이끼, 헤파, 무필터를 탑재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각 30회씩 총 90회 가동 하였고 각각의 미세먼지 감소량 및 감소율을 비교한 결과 감소량은 미세먼지 이끼필터를 사용한 평균이 138.93으로 헤파필터를 사용한 평균 76.57과 무필터 상태의 평균인 0.10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감소율의 평균 역시 이끼필터를 사용한 경우 0.2379로 헤파필터를 사용한 경우의 0.1298이나 무필터인 0.006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 결과를 통해 이끼의 미세먼지 감소효과를 확인하였고 향후 개선을 통해 기존 공기정화기의 화학필터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Fine dust aerated in the atomsphere penetrates our lungs and blood lines through respiratory. Recent fine dust problems in Korea leads to development of various air purifiers. The researchers used this to study systems that could replace chemical filters.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reduction of moss and conventional chemical filter(Hepa), a 1 cubic meter cube was prepared and the amount of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reduction was compared under controlled environment. Under the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a test was done to figure out the reduction rat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y using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moss, hepa, and no filter. The air purification system(moss, hepa, and no filter) were operated 90 times in total, 30 times each. The test explains that the reduction of the fine dust amount and the rate of fine dust concentration.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reduction of the amount fine dust was 138.93 after using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moss filter. In contrast, the usage of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hepa filter reduced the amount of fine dust to 76.57. And the air purification with no filter shows that the slight reduction of fine dust amount at 0.10. In the rate of fine dust concentration, moss fil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epa, no filter (0.2379, 0.1298 and 0.0063 each). The results have confirmed that moss is effective in reducing fine dust concentr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with further improvement it can be used as a means to replace or supplement existing chemical filters in air purifier.
안도현(Dohyun Ah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2
우리가 알고 있는 위험은 위험 그 자체(실재)가 아니라 우리 마음속에 비친 위험의 그림자(모형)이다. 위험에 대한 모형은 위험을 반영하지만 실재와 온전하게 일치하지 않으며, 실재와 모형 사이의 불일치에서 오는 피해는 위험 자체보다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위험에 대한 정교하고도 정확한 소통 및 문제해결을 위해 유해·위해·위험·피해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고, 실체적 위해의 유무와 위해에 대한 지각유무 등 2개 차원을 적용해 위험을 4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피해가능성이 있고 위해로 지각하는 위험1유형(진양성), 피해가능성이 없고 위해로 지각하지 않는 위험4유형(진음성), 피해가능성이 없는데 위해로 지각하는 위험2유형(위양성), 피해가능성이 있는데 위해로 지각하지 않는 위험3유형(위음성) 등이다. 위험2유형은 실재하지 않는 위해를 위해로 지각하기 때문에 유령위험이다. 위험3유형은 실재하는 위해에 대해 위해성을 지각하지 않기 때문에 무시된 위해다. 이 연구는 인식론, 과학철학, 인지과학, 독성학, 심리학 등의 성과를 소통학의 틀에서 종합해 실재와 인식의 괴리가 발생하는 이유와 기제에 대해 상술하고, 유령위험과 무시된 위해의 사례를 제시했다. Risk that we know is not risk itself, but the shadow(i.e., model) of risk in people"s minds. The model of risk reflects the reality of risk, but the model is not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reality. This study, for accurate and elaborate communication, defines the concepts of harm, hazard, risk, and damage, and classifies risk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ctual hazard and perception of hazard. Type 1 risk and Type 4 risk are risks of which reality and of which perception are consistent. Type 4 risk is not actual risk because there is no damage. Type 2 risk and Type 3 risk are risks of which reality and of which perception are not consistent. Type 2 risk is phantom risk perceived to have damaging influence from where there is no damage. Type 3 risk is ignored hazard perceived to have no damaging influence from where there is damage. This study, grounding on toxicology and cognitive science literature, presents underlying logics and mechanisms for the occurrence of the disparity between reality and perception of hazard and provides cases for phantom risk and ignored hazard.
안도현(Dohyun Ah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3
이 연구는 행위자를 효용에 따라 행동하는 합리적 행위자와 의미에 따라 행동하는 지향 적 행위자로 분류했다. 이를 토대로, 기존의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통상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해 ‘인간처럼 행동하는 행위자’로 여긴 것과 달리, 이 연구는 인공지능을 합리적 행위자로서 ‘합리적으로 목적을 달성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능력’으로 정의했다. 인간지능에 대해서는 지향적 행위자로서 ‘다양한 환경에서 복잡한 의사결정의 문 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정의했다. 또한 사회적 존재를 협력의 딜레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향적 행위자로 정의함으로써, 사회적 존재인 인간지능과 달리 인공지능은 도 구임을 명확히 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을 ‘인간과 같은 지능’이라는 정의에서 비롯되는 한계와 혼란을 극복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했다. This study classifies agents as rational agents who act on utility and as intentional agents who act on meaning. Based on above classification, unlike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ers who commonly consider artificial intelligence as "agents acting humanly," this study presents artificial intelligence as rational agents, defined as the ability of software or hardware to achieve goals rationally. Human intelligence, as intentional agents,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solve complex decision-making problems in various environments. Further, by defining social beings as intentional agents who can solve the dilemma of cooperation, this study clarifie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unlike human intelligence which are social beings, are tools. Such clarification enables this study to present a foundation for overcoming limitations and confusion arising from the defi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human-like intelligence.
Toward Resolving the Paradoxical Enjoyment of Tragic Drama
Dohyun Ahn(안도현) SBS 201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9 No.4
슬픔을 유발하는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픈 드라마 즐김의 역설, 즉 비극적 내용의 미디어 소비를 통한 즐거움의 경험에 대한 기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 역설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선택에 관련된 역설이다. 사람들이 슬픈 내용을 선택하는 이유가 분명하지 않다. 특히, 슬픈 영화나 드라마가 외로운 사람들에게 어필하는 현상이 역설적이다. 둘째 슬픈 드라마를 소비한 후 느끼는 슬픔이 해당 미디어 즐김과 정의 관계라는 점 역시 역설적이다. 슬픈 영화의 선택은 삶의 의미를 추구, 관계의 욕구 충족, 혹은 공감능력 향상 등과 같은 타인을 고려하는 동기로 설명될 수 있다. 슬픔과 즐김의 정의 관계는 비극적 사건에 대한 인지적인 재평가와 비극적 주인공에 대한 동정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생리적으로, 미주신경이 단기적 고통에 유발된 부정적 각성을 조절하는데, 이 조절작용은 내재적으로 보상이 주어진다. Despite the popularity of sad entertainment,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njoyment of consuming tragic entertainment remain unclear. Two questions arise from this challenge: (1) why do people, particularly lonely individuals, select tragic content (2) why is the intensity of sadnes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enjoyment of negatively valenced content? The selection of sad films can be explained by other-regarding motivations such as pursuing eudaimonia (i.e., meaning in life), gratifying the need of relatedness, or building a capacity of empathy, which lead viewers to select sad films.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adness and enjoyment can be resolved cognitively by reappraisal of tragic events and affectively by feeling compassion toward tragic protagonists. Physiologically, the vagus nerve enables individuals to regulate negative arousal induced by short-term pain, and such regulation is intrinsically rewar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