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온도상승이 고추의 생육양상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송은영 ( Eunyoung Song ),문경환 ( Kyunghwan Moon ),손인창 ( Inchang Son ),위승환 ( Seunghwan Wi ),김천환 ( Chunhwan Kim ),임찬규 ( Chankyu Lim ),오순자 ( Soonja Oh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온도를 노지채소인 고추에 적용하여 환경제어챔 버에서 재배하였을 때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챔버내 온도는 노지고추 주산지인 안동지역의 평년(1971~2000; 30년) 5월 1일부터 7월30일까지의 일평균 기온자료를 토대로 IT (Intraday temperature: 기준온도), IT+2℃, IT+4℃, IT+6℃ 등 4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대조구인 일평균온도보다 고온에서 재배하였을 때 초장도 길었고, 분지수, 엽수와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IT+2℃(평균온도 22.8℃)에서 정식 후 30~60일간의 개화수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개체당 착과수 및 과실 생체중은 IT+2℃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과중은 적었고 과장도 짧아졌으며 과경도 줄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안동지역에서 현재의 일일 온도변화 주기가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온도가 평년기온보다 2℃ 상승하였을 때, 과실 수량이 증가되고 품질도 유지되겠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확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emperature elevated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in walk-in plant growth chambers. The intraday temperatures of climate normal years (IT) were determined using intraday mean temperatures of climatic normal years (1971~2000) in the Andong Province during the growing season (May 1~July 30). Red pepper plants were cultiva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starting at IT rise by up to 6℃, 2℃ increment). Plant height, stem diameter, branch number, leaf numb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increased under the temperatures higher than IT. The number of flower was the greatest under IT+2℃ (mean temperature at 22.8℃). The total number and the weight of fruits were the highest under IT+2℃. While the fruit weight, fruit length and fruit diameter decreased more than IT+2℃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gradually.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in condition that the current diurnal temperature change cycle is maintained in Andong area, in 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when the temperature rise 2℃ higher than intraday temperature of Andong area the quantity of pepper fruits will increase while maintaining quality, but increases more than that degree yields are expec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fruit yield could increase under IT+2℃ and fruit quality could maintain great, but the fruit yield could decrease under the temperatures higher than IT+2℃.

      • KCI등재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적용한 디자인 프로젝트 수업 모형연구

        송은영(Eunyoung S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토대를 다지기 위해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의 디자인학부 전공기초 수업인 ‘디자인과 윤리’ 교과목에 인간 중심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의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적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프로젝트 수업 방법은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질문구성, 영감수집, 아이디어 생성, 프로토타입, 평가 및 개선의 5 단계로 진행하였다. 수업 결과는 학습이해도,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학습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인간 중심적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경험하는 기회가 되었다.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는 인간의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전문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이 구성되었으며, 팀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고 문제해결의 새로운 방법으로 창의적인 문제해결 역량 함양이라는 시대적 교육의 요구를 충족시킨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다학제간 융합, 정부 기관, 민간 기업 및 사회적 기업들과의 연계로 실질적인 사회적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role of design, this study developed a teaching model that applied a project-based design thinking process for solving human-centered social problems to the “Design and Ethics” course, which is a basic major class in the Department of Desig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project teaching method consisted of five stages: frame a question, gather inspiration, generate ideas, prototype, test to learn, and improvement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results of the class showed positive learning satisfaction in terms of learning comprehension,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 human-centered problem-solving process. The systematic curriculum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role of design was organized to effectively utilize specialized technology as a means for solving human social problems,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met the demand for education of the times, which includes sharing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eam project classes and cultivating a new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it will develop into a practical social design education program by linking it with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government agencies, private companies, and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현대 소비문화의 연구현황과 과제

        송은영(Song, Eunyoung)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3

        한국 현대사 연구에서 소비문화는 특정 분야에서 한정된 연구대상을 바탕으로 간헐적·산발적으로 연구되어왔을 뿐, 방대한 연구성과를 축적하거나 합의된 역사인식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앞으로 소비문화 연구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소비 연구와 관련된 주제들이 역사 연구의 여러 영역에 걸쳐 광범위하고 다채롭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역사적 과거 속의 소비들을 재평가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앞으로 소비 연구가 도전해야 할 풍부한 영역들의 가능성과 미래를 드러내기 위해 문제제기와 아이디어들을 던지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 다룬 대중소비사회의 형성과 소비의 사회사, 정책사, 담론사라는 문제, 그리고 의식주와 같은 생활필수 소비재의 문제, 사치품 소비와 문화적 상징체계의 문제, 여가문화와 대중문화의 문제, 소비자라는 주체의 문제 등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성과들은 향후 한국 역사학계의 소비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들을 암시해준다. In the research of modern Korean history, consumption culture has been studied intermittently in the limited materials and specific areas, and vast research achievements have not been accumulated nor has an agreed historical recognition been reached.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consumption culture research, this thesis shows the fact that the topics related to consumption research are broad and diverse, and raises the need to re-evaluate consumption in the historical past.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I tried to raise questions and throw ideas to fully reveal the possibilities and future of the rich areas that research needs to be challenged: such as the making of mass-consumption society, the policy and discourse of consumption, the social history of consumer goods for daily necessities, luxury consumption and cultural symbolism, leisur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and the problem of the subject as a consumer.

      • KCI등재

        사이키델릭 문학, 그리고 변방 히피들의 뒤틀린 성

        송은영(Song, Eunyoung) 역사비평사 2018 역사비평 Vol.- No.123

        South Korea was alleged to be isolated with May 1968 Movement and international fierce demonstrations in the street although many journalists and intellectuals tried to introduce the contemporary overseas trends. However, it was evident in terms of cultural influence that Korean society accepted ’68 spirit mingled with counter-culture under the influence by American hippies’ revolutionary lifestyle and culture. Before Youth Culture of the mid-1970s’ Korea exploded under the influence upon the Western counter-culture, there had been good examples, such as essays by a poet Hwang Dong-kyu, a critic Kim Byung-ik, and especially a short story “The Other’s Room” by Choi Inho which was the first and only psychedelic literature in Korean literary history. And many writers tried to not only destroy the hierarchy between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through actively writing popular literature, but also realize sexual freedom by means of vulgar representation of free sex. Even if their efforts was restricted to the patriarchy and morals of the male-oriented society, their counter-cultural practices by literary representation of sexual freedom in popular stories showed the cultural influence by ’68 spirit and the subversive character of fighting the Establishment.

      • KCI등재

        하비프러너(Hobby-preneur) 사례를 통해 본 일-삶 균형(WLB)의 의미 연구

        설동준(Seol, Dongjun),하선민(Ha, Sunmin),송은영(Song, Eunyoung),윤내리(Yoon, Naeree) 한국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4

        일-삶 균형(WLB) 연구는 일-가정 ‘갈등’(WFC)에서 출발해 ‘균형’에 대한 담론으로, 가정 외 여가(leisure), 성장(growth) 등을 포함하는 삶(life) 전반을 다루는 분야로 확장되어왔다. 또, 최근에는 ICT의 발달로 원격-유연근무가 확대되고, 1인 창업이 활성화되는 등 일을 둘러싼 환경이 변하면서 일-삶 균형에 대한 지속적인 재해석이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삶 균형이 당대의 일과 삶의 양태를 반영하는 동시대적 개념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여가의 의미와 중요성이 커지는 지금 시대의 맹아적 현상인 취미를 직업으로 발전시킨 하비프러너(hobby-preneur)를 통해, 일-삶 균형의 현재적 의미를 탐색해보았다. 특히 하비프러너는 좋아서 하는 여가와 직업으로서의 일이 내용상 중첩되는 사례인데, 이로부터 외견상 같은 활동 안에서 일과 삶(여가)의 경계는 어디인지, 균형의 의미는 무엇이고, 일의 본질은 무엇인지에 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하비프러너에 해당하는 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기법으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현상학적 방법론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4가지 주제묶음과 12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삶 균형 경험의 본질은 일과 삶의 물리적 균형이 아닌, 내용적, 가치적 통합 상태에 있다. 둘째, 이와 같은 일-삶의 내용적, 가치적 통합을 만드는 데 있어서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과 삶에 대한 통제력의 소유 유무이다. 셋째, 이처럼 일-삶의 내용적, 가치적 통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성장(growth)의 의미와 여가의 의미도 그 본질에 가까운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그 외 최근에 학술지에 처음 소개된 하비프러너의 개념에 관한 재해석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WLB) has been expanded from work-family conflict (WFC) to discourse on balance including life, leisure, and growth. Recently, the change in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remote and flexible working, solo-entrepreneur emerged from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thus continuous reinterpretation of work-life balance is being carried out. This study explores the present meaning of work-life balance through Hobby-preneur who developed hobby as a profession. Hobby-preneur can be interpreted as a embryonic figure of life in the present era which expand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leisure, given that work-life balance is a contemporary concept that reflects daily work-life style. Hence, Hobby-preneur is a case of whose work is the same as life (leisure) activity.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look deeply from the internal experience of the parties on where the boundary between work and life is, what is the meaning of balance, and what is the essence of wo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four themes and 12 meaning units by collecting qualitative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and analyzing data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or four participants who can be named as Hobby-preneu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essence of work-life balance (WLB) experience is in a state of content and value integration, not a physical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Second, the determinant factor in creating such content and value integration of work-life is whether they have the control over work and life. Third,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state of work-life, the meaning of individual growth and the meaning of leisure also change in the direction close to its essence. The study includes a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Hobby-preneur,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a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고랭지 여름배추 주산지의 기온을 기준으로 한 수준별 온도가 배추“춘광”의 생육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손인창 ( Inchang Son ),문경환 ( Kyunghwan Moon ),송은영 ( Eunyoung Song ),오순자 ( Soonja Oh ),서형호 ( Hyeongho Seo ),문영일 ( Youngeel Moon ),양진영 ( Jinyoung Y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5가지 온도처리가 ‘춘광’ 배추의 생육, 품질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2.0℃ (I), 평년온도(II), +2.0℃ (III), +4.0℃ (IV), +6.0℃ (V) 등 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생체중, 엽수 및 엽면적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결구 이전에는 고온처리구인 IV, V처리구가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결구기 이후 현저히 감소하여 정식 후 70일에는 고온처리 구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추 내부의 무름 증상은 V처리구가 85.7%로 가장 높았으며, IV (64.3%), III (28.6%), II (14.3%), I (7.1%)순으로 감소하였다. 광합성률을 측정한 결과, 정식 후 30일전에는 III, IV, V처리구의 광합성률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생육후 반에는 크게 감소한 반면, I, II처리구는 크게 증산량과 기공전도도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정식 후 50일의 엽록소 형광반응을 비교한 결과, Fv/Fm은 I처리구가 8.04로 처리구 중 가장 높았으며 IV처리구가 7.15로 가장 낮았다. Changes of the growth, quality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Chinese cabbage cv ‘Chunkwang’ in response to five different temperature treatment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treatments consisted of normal year temperature -2.0℃ (I), normal year temperature (II; Control group), normal year temperature +2.0℃ (III), normal year temperature +4.0℃ (IV), and normal year temperature +6.0℃ (V). Regarding fresh weight, number of leaves, and leaf area were high in group IV, and V before the head formation stage, but it has decreased during the later growth period. Rate of frangibleness sympton was the highest in group V as 85.7%, and it was decreased in group IV (64.3%), group III (28.6%), group II (14.3%), and group I (7.1%). Regarding photosynthetic rate, group III, IV, and V showed relatively high photosynthetic rate at 20 DAP but it was reduced dramatically during the later growth period. Transpiration and stomatal conductance showed the similar trend with the photosynthetic rate. When comparing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reaction of each treatment group at 50 DAP, Fv/Fm in group I was highest as 8.04 among all treatment groups and the lowest in group IV as 7.1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