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공식적 학습기회 효과에 대한 연구 분석

        송경오,허은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교육개혁의 핵심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는 교사의 학습기회에 대한 효과성 검토가 OECD를 비롯하여 국외에서는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에서 교사학습기회에 대한 논의와 실증적 검토는 현실에서 제공되는 공식적인 학습기회의 규모에 비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공식적 학습기회 효과 연구에 대한 동향 고찰을 통해 그동안 학문적 관심이 낮았던 공식적 학습기회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연수와 장학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특정 교과에 제한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선행연구 중 효과성에 관한 실증연구만을 간추려 비교분석한 결과, 교사 학습기회의 효과 영역을 단순히 지식과 기술 습득에 한정하지 않고, 활용능력과 정의적 능력까지 포함하였고, 단순 빈도분석을 넘어서서 집단 간 비교분석을 통해 효과분석을 시도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실증연구들의 대부분은 데이터 수집의 지역적 한계와 공식적 학습기회에 대한 효과성 검증에 있어 상반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다. 셋째, 공식적 학습기회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메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수보다 장학의 효과가 다소 크고, 정의적 능력에 대한 효과가 가장 높았지만, 지식 및 기술의 습득은 중간 정도의 효과를, 그리고 지식 및 기술의 활용 면에서는 공식적 학습기회의 효과가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사의 학습기회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성, 공식적 학습기회에 대한 보다 엄밀한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 그리고 교사의 지식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식적 학습기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생 개인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탐색

        송경오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4

        This study was implemented with two problems in mind. First, few would disagree tha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students' happiness with school life, but most of the studies on school characteristics pay attention solely to students’ achievement. Second, despite the fact that schools are responsible for students' happy experience with schools, students’ happiness has been considered a personal issue and its importance has generally been neglected. Based on these problematic circumstances, we sugges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level of happiness in school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levels of happiness among schools? If so, what are the particular school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tudents’ happines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s that support students’ happiness and the schools that mainly support students’ achievemen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adopts positive self image, fun in classes, positive rappor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s the elements of student happiness.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se variables, school characteristics are categorized based upon organizational & structural characteristics, curricular characteristics,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urther analyzed using the 2-level HLM.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while student happiness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chools’ organiza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students’ achievement is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curr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tudents’ happiness with school life and the school characteristics that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두 가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첫째, 우리는 흔히 학생의 학업성취가 높다고 해서 학생의 학교생활이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주장에 대해서 쉽게 동의하지만, 학교특성에 관한 대다수의 연구들은 학생의 학업성취에만 주된 관심을 기울여 왔다. 둘째, 학생의 학교에서 행복한 경험은 학교가 달성해야 하는 중요한 임무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학생의 행복은 개인적 특성으로 간주해버리고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교에서의 행복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학생의 행복 수준은 학교간에 차이가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은 무엇인가? 특히, 학생의 행복과 학업성취를 지원하는 학교특성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학생 행복의 하위요소를 자아긍정성, 수업의 즐거움, 긍정적 관계형성, 학교생활만족도로 구분하여 학생 행복의 수준을 기술통계 분석한 후, 2수준 위계선형모형(2-level HLM)을 활용하여 학교특성을 조직·구조적 특성, 교육과정상의 특성, 그리고 사회·심리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행복은 주로 학교 조직·구조적 특성, 그리고 사회·심리적 특성과 관련이 높은 반면,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학교의 교육과정적 특성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학생이 행복을 느끼는 학교의 특성과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의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Ethionine 長期投與 白鼠에 있어서의 各臟器의 形態學的變化와 組織鐵에 關한 硏究

        宋慶五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68 慶北醫大誌 Vol.9 No.1

        The author studied morphological changes in various organs and tissue storage irons in albino rats (body weight: 100~200gm) fed with basal diet and additionally 0.5% DL-ethionine for one, two and three months respectively,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Body weight: The growing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markedly comparing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fed basal diet only). The body weight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e weight at the first week showed most marked decrease reaching 10.4% loss and thereafter the weight increased gradually reaching to the initial weight at the tenth week. 2) Organ weight: The weights of the liver and sple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eavi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 weight of the submaxillary gland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lightly and the weight of the testes decreased markedly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3) Liver: Histologically, the liver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central necrosis, fatty change, increased regenerative activity of the liver cells, marked proliferation of the bile duct epithelium, slight fibrosis and mild inflammatory infiltrate. 4) Testis: Histologically, marked atrophic change in the seminiferous tubules was observed, the degree of which was more prominent as the period of feeding with ethionine longer. 5) Salivary gland and pancreas: In both organs shrinkage and degenerative changes of the acinar cells were remarkable and slight regenerative change appeared as the experimental period longer. 6) Spleen: Histologically, the spleen revealed moderate degree of pulp cell proliferation, marked congestion and mild iron reaction. 7) Kidney: Histologically, slight degree of calcium deposit in renal tubules, mild fibrosis of glomeruli and regenerative change of tubular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8) Serum iron and tissue storage irons: The serum iron of the experimental group rat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hemosiderin and ferritin irons in the hepatic and duodenal tissues showed no mark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orage iron of the testicl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lightly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교사의 학습기회가 교직신념 및 교수법 활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송경오,허은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교사의 교직신념과 교수법 향상을 위해 교사들이 어떠한 학습기회를 가져야하고, 이러한 학습기회들이 과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우리나라 교사들의 학습기회 수준이 어떠한지 그 실태를 살펴보고, 교사의 공식적․비공식적 학습기회가 어떻게 교직신념과 교수법 변화를 이끌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실태자료 중 2007년 6,131명의 중학교 교사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들은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교사연수와 같은 공식적인 학습기회 뿐 아니라 인터넷 활용, 동료나 친구와의 대화 등의 비공식적 학습기회를 상당부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공식적ㆍ비공식적 학습기회는 교사의 교직신념과 혁신적 교수법을 활용하는 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공식적 학습기회 중 ‘교육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연수시간’이, 그리고 비공식 학습기회 중에서 ‘교육목표 공유’가 교직신념과 혁신적 교수법 활용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그리고 비공식 학습기회 중 ‘협력 활동’은 혁신적 교수법 활용을 이끄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의 신념을 변화시키고 행동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습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공식적 학습기회는 교육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개발되어야 하며, 학교 안에서 비공식적인 학습기회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비공식적 학습기회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들이 동료교사와의 단순한 대화를 넘어서서 학교교육에 대한 목표 공유를 전제로 협력활동을 할 때, 교사들은 교직에 대한 신념을 변화시키고 수업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level of learning opportunities, 2) influence of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on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innovative teaching skill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dataset of the 2007 middle school in Actual Condition of School Education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hich comprise 6,131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tend to use not only 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like teacher training but also in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such as using internet, conversations with peers as major methods of getting knowledge. Secondly,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influen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innovative teaching skills directly. Thirdly, 'training hours directly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is only meaningful variables among 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The 'shared vision'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about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innovative teaching skills in in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And 'cooperation about educational activities' influences on innovative teaching skills. Based on these results of analysis ,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in different ways to teachers for guiding the change such as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skills. 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should be developed,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And it is important for in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to be encouraged in school sites.

      • KCI등재

        교수집단의 정치행태 양상과 원인 분석

        송경오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litical behaviors of college professors and the reasoning behind their political ac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hich includes th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and the interview with college professors, this study identified four different types of college professors’political behaviors. Firstly, there are cases where college professors capitalize on the election process and policy participation in their favor. Secondly, some prioritize the interests of the groups they are involved with against public interests. Thirdly, some abide by their moral principles to sustain universal values. Fourthly, some demonstrate political apathy and avoidance even though they know perfectly well that such behaviors may bring about negative consequences. A few accounts for the college professors’political behaviors can be suggested. First of all,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hange of political system and college evaluation system in the age of neo-liberalism seem to weaken the identity of college professors as social activists while in turn, it enhances the view that college professorship is one of the career paths one can choose. At the same time, internal factors within the community of college professors also play a role. Firstly, a strong tendency that the community of college professors is turning into an interest group is well noted. Secondly, it has been accepted as almost customary in the academic circle that college professors' involvement in policy making does not necessarily entail moral responsibilities. Thirdly, the role of academic circles as a knowledge community where knowledge is constructed for shared goals has been constantly weakening in Korea. 이 연구는 학계에서 그간 다루지 않았던 교수집단의 정치행태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고등교육체제에 경쟁 메카니즘 도입으로 인해 교수들은 전문적 권위를 도전받고 자율성이 위태로워지고 있지만 교수집단의 행위가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은 여전히 크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교수집단의 정치행태를 드러내고, 왜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지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교수집단의 정치적 행태와 관련된 논란을 풀어가기 위한 화두를 마련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관련 신문기사 및 전문서적 등 문헌 고찰과 현실 참여를 경험한 중견교수들과의 면담을 토대로 교수집단의 정치행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교수집단은 공익에 반하더라도 교수 개인이나 자신이 소속된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정치행태를 보인다. 이와 달리 일부 교수집단은 사적 이익과 관련이 없어도 보편적 가치 추구를 위해 도덕적 신념을 따르는 정치행태를 나타낸다. 또한 위와 같은 적극적 정치행태와 달리 교수집단은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지라도 자신이 해야 할 행위를 하지 않는 회피와 무관심의 정치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수집단의 정치행태의 원인을 교수조직 내적 특성에서 찾아보았는데, 교수집단의 이익 집단화 경향 심화, 정책참여에 도의적 책임을 지지 않는 학계의 관행, 학계 내부의 비판적 학문공동체 기능 약화 등이 있다. 동시에 정치지형의 변화에 따른 교수의 사회적 역할이 감소되고, 고등교육 성격변화에 따라 교수의 정체성이 약화되었으며, 경쟁적 평가 도입에 따라 교수들이 신자유주의적 정체성을 내면화하는 과정을 원인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미국의 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송경오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이 연구는 지난 반세기 넘게 교사교육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된 미국 교사교육의 연 구동향을 탐색함으로써 한국 교사교육 연구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교사교육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오래된 학술지인 Journal of Teacher Education에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실린 논문 419편을 연구주제 측면과 연구방법 측면을 준거로 삼아 분 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주제 측면에서 미국 교사교육의 연구는 교사교육과 직접적으로 관련 된 연구주제를 세분화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탐구를 수행하였고, 교사교육에 관한 철학적 논 의와 교사교육 이론 및 방법론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방법 측면 에서 미국의 교사교육은 질적연구, 양적연구, 혼합연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특 히 질적 연구방법에 따른 미시적 접근이 다수를 이루었고, 경험연구 뿐만 아니라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탐색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한국 교사교육 연구의 경우 교사교육과 관 련된 이론 연구의 확대, 편향된 연구방법론의 극복, 그리고 교사교육의 정책적 담론을 주도해 야 한다는 과제를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by exploring research trends of teacher education in the U.S.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in U.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ver the last half century. In so doing, this study analyzed 419 research papers which was published i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from the year 2000 to 2013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design and research questions. It was found that when it comes to research questions, much mor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and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philosophical discussion, theories and methodologies of teacher education. When it comes to research design, a variety of research designs such as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research.

      • KCI등재

        우리나라 고등교육 정책의 정책수단(policy instrument) 유형 분석

        송경오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5

        이 연구는 이명박 정부 이후 고등교육 정책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각 정부에서 활용한 정책수단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McDonnell과 Elmore(1987)의 정책수단 유형을 적용하여 교육부에서 발표한 고등교육정책의 세부과제들을 대상으로 분야 및 수단별 유형 분류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이명박 정부 이후 우리나라 고등교육정책은 ‘규제’ 중심에서 점차 ‘유인’과 ‘역량구축’으로 서서히 전환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향에도 불구하고, 고등교육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학평가와 같은 정책과제에서는 이명박 정부나 박근혜 정부, 그리고 문재인 정부 모두 ‘규제’와 ‘유인’을 결합한 정책수단을 유지하였다. 정부의 대학평가결과에 따라 지원하는 예산의 액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대학들의 순응을 촉진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셋째, 시장주의 메카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권한이양’은 이명박 정부에서만 활용되었을 뿐,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 고등교육정책에서는 채택되지 않았다. 대학의 글로벌과 산학협력 분야에서 이명박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역량구축’의 정책수단을 꾸준히 도입한 사례는 상당히 고무적이었지만, 특성화나 경쟁력 제고 분야에서는 여전히 ‘규제’와 ‘유인’ 중심의 정책수단을 활용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instruments of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ies since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o this end, McDonnell and Elmore (1987)'s types of policy instruments were adopted and the higher education policy task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classified by sector and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y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shift from ‘mandates’ to ‘inducements’ and ‘capacity building’. Despite this trend, however, in policy tasks such as university evaluation, the Lee Myung-bak, Park Geun-hye,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s all maintained policy instruments that combine ‘mandates’ and ‘inducements’. Third, the ‘system change’ based on a market-oriented mechanism was used only i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was not adopted in the higher education policies of the Park Geun-hye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s. In the field of global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t universities, it is encouraging that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ve steadily introduced policy instrument of 'capacity building', but in the fields of specialization and competitiveness enhancement, policies centered on 'mandates' and 'inducements' was using the policy instru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