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유치원, 어린이집에서의 교통안전교육 실태 비교

        성은현,윤선화,정윤경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1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problems of the road safety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results. 121 teachers(49 in the primary school, 43 in the kindergarten, 29 in the child care center)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items such as frequency and materials of road safety education. The principal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only 40% of teachers respect the rules on the road safety education frequency per year. Second, the most required educational material in every institution is the artificial equipment. Finally, road safety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s is poorer than others.

      • KCI등재

        어머지의 내·외통제성과 자녀의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사고력과의 관계 : 아동학과ㆍ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성은현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이 자녀의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사고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동학과·유아교육과 학생 62명이 응답한 창의적 인성정사와 창의적 사고력 정사 및 그들의 어머니 62명으로부터 회수한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검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은 자녀의 창의적 인성 요인인 독자성, 개방성, 호기심과 창의적 인성 총점 그리고, 융통성, 독창성과 창의적 사고력 총점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어머니의 외적 통제성은 위의 어떤 요인과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은 자녀의 독자성, 개방성, 호기심과 창의적 인성 총점 그리고, 융통성, 독창성과 창의적 사고력 총점을 설명하는데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외적 통제성은 유의한 설명력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자녀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력 요인들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준 반면, 외적 통제성이 높은 집단과 맞은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데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 62 students majoring in child studi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to the autonomy, openness, curiosity and total score of creative personality of their daughters and sons. And it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flexibility, originality and total score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heir daughters and sons. But the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facto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utonomy, openness, curiosity and total score)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total score), while the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n't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ose factors. Finally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belonging to the high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ow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In contras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the low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in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facilitate their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 KCI등재

        창의성과 학업성적이 설계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은현,신문기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9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vergent thinking, the creative personality, the general knowledge,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and the ability of architectural design The 191 students majoring architecture In the university in Choong-Nam province participated In tin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grade (the junior and the senior group) and low grade one (the freshman and the sophomore group) Each group was divided again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architectural design ability, high ability group and low ability one We used i-test and stepwise multiple near regression for analysing the data of each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 the low grade group, the high ability of architectural design group gamed significantly high scores m the creative personality,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and the general knowledge than low ability group In the high grade group, the high ability of architectural design group gam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the creative personality, the divergent thinking,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and the general knowledges than low ability one Second, m the low grade group, the general knowledge and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ability of architectural design In the high grade group,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ability of architectural design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동서양의 창의성 차이 고찰 - 창의적 문화와 환경, 성격, 사고, 산물을 중심으로

        성은현(Sung Eun Hy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1

          서양의 문화는 개인주의, 자유주의 문화라 할 수 있는 반면, 동양의 문화는 집단주의, 유교주의 문화라 할 수 있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개인주의, 자유주의 문화인 서양 문화가 동양 문화보다 창의적인 환경과 창의적인 성격 형성에 유리하다고 한다. 그러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업적에서 서양인이 동양인보다 우수하다는 일관성 있는 증거는 없다. 창의적 환경과 창의적 성격 형성에서 서양인보다 불리한 입장에 있는 동양인이 창의적 사고력과 업적에서 상대적으로 열등하다고 말할 수 없는 이유는 동서양의 창의성이 어떤 부분에서 다르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즉, 동양인의 창의성은 수정과 적응이라면 서양인의 창의성은 독창성과 개성이 주된 본질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이렇다면 동양인의 창의성을 발현하는데 필요한 환경과 성격은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창의적 환경 및 성격 특성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각에서 그동안 국내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 있었던 동서양의 문화 간 차이를 고려한 창의성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동양의 창의성 모델 더 세부적으로 한국인의 창의성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sian societies have confucian/collectivistic cultures while western societies have liberal/individualistic cultures. According to early studies, liberal/individualistic cultures in the West have more advantages to shape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an Asian cultures. However there is not yet the convincing evidence demonstrating Westerners are superior to Asians in creative thinking ability. Rather it seems that the creativity of Asian people is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ers. We think that the creativity of Asian is the creativity of modification and adaptation while that of Westerner is the creativity of originality and individuality. If this hypothesis is right, the contents of environment and personality inducive to develope creativity might be different between Asian and Western socie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epen our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differences of creativity and also develope oriental and/or Korean model of creativity.

      • KCI등재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적 창의성의 통합 모형 탐구

        성은현(Sung, Eun Hyun),이정규(Lee, Jeong Kyu),한순미(Han, Soon-Mi),한윤영(Han, Yoon Young),하주현(Hah, Joo-Hy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창의성 연구에서 국가 간 문화적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문화적 변인을 고려한 통합적 창의성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미국에도 적용하여 한국의 모형 결과와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지, 성격, 환경, 문화를 포함하는 한국적 창의성 질문지를 한국과 미국에서 대학생 (한국:1208명; 미국:5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창의성의 인지, 성격, 환경, 문화를 포함하는 통합모형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를 환경 변인에 포함시키는 것 보다 환경과 독립된 변인으로 설정하는 것이 구조방정식모형에 더 적합하였고, 한국적 창의성 통합모형이 미국에서는 덜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중 특히 문화가 환경에 포함되기보다 환경과 독립된 변인으로 창의성에 작용한다는 연구결과는 창의성 연구에서 비교문화와 관련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integrative model of creativity including 4 factors, cognition, personality, culture and environment. Also we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model of creativity and US model.1208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511 college students in U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among four factors(cognition, personality, culture and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by using Equation Model(SEM)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t is adequate model in which the culture is dependent factor from environment. Second Korean integrative model of creativity is less adequate in U.S.A.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ltural studies are needed in the domain of creativity research.

      • KCI등재후보

        가정환경과 창의성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성은현(Eun-Hyun Sung),김누리(Noo Ree K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1 창의력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가정환경 중 월 소득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의 남ㆍ여학생에게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와 창의적 산물 검사를 실시하였고 국어, 영어, 수학, 음악과 미술과목의 학업성취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가정환경 진단 검사 중 사회경제적 변인에 관한 질문을 실시하였다. 응답 자료를 토대로 Perason 적률상관분석과, 일원변랑분석, Barron과 Kenney(1986)의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월 소득은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업성취 중 국어, 영어, 수학 성적과만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미술, 음악 성적과 창의적 산물은 월소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학업성취 중 수학과 미술 성적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창의적 산물은 어떠한 과목의 학업성적과도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월소득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로 수학과목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income, children’s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ne hundred twenty-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took tests of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product. We examin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scores (Korean, English, mathematics. music and art). Also their par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socio-economic environment. We analysed the data through Pearson correlation, one way ANOVA and Barron & Kenny’s mediation model by using SPSS 14.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mily income and creative environment. There a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mily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literature, english, mathematics score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s correlations between creative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nd arts. Third, there are no significants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product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family income influences mathematics score through creative family environment.

      • KCI등재

        건축설계 영역에서 창의성과 관련된 요인들의 관계

        성은현(Sung Eun-Hyun),신문기(Shin Moon-Ki)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8

        This research is aiming for stud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general knowledge,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s and the creativity of architectural design. 129 students, major in architectu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specialists of architectural design evaluated the students' creativity in their projects. The data of the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tes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We used Cronbach α test, factor analysis,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Pearsons's correlation test, and Barron and Kenny's mediate model to analyse data.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general knowledge,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creativity of architectural design. The sub-factors of extrinsic motivation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reativity of architectural design except the extrinsic motivation that has a synergy effect with intrinsic motivation.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the factors of the creative architectural design. Finally, the effect of the extrinsic motivation that has a synergy effect with intrinsic motivation on creativity was mediated by intrinsic mo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make efforts to elevate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and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recognition and rewards to develop creativity in the architectural design.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창의성 발현 및 저해 요인에 관한 암묵적 생각

        성은현(Eun Hyun Sung),한윤영(Yun Young Ha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발휘 정도와 창의성 발현 및 저해 요인에 대한 생각을 비교하여 국가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210명, 미국 대학생 514명, 총 1724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은 미국 대학생들에 비해 스스로 창의성을 덜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 모두 창의성 발현 요인으로 성격 특성을, 저해 요인으로 주입식 위주의 정형화된 교육방식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이것이 두 국가에서 창의성 교육을 위해 초점을 두어야할 이슈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한국 대학생들은 대학 입시위주의 교육과 자신감 결여와 같은 자신의 문제, 개성이 인정되지 않는 사회분위기를 창의성 저해 요인으로 많이 응답하여 입시교육 대책마련, 자신감 향상을 위한 노력, 창의적 사회분위기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반면 미국 대학생들은 경제적인 문제를 창의성 저해 요인으로 많이 응답하여 국가 간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미국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각 국가에 맞는 대책을 준비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are the components promoting or hampering creativity developm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in Korea (1210) and the US (514).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hink themselves less creative than the US students while the US students think themselves more creative than Korean students. Second, Both the Korean and the US students consider that personality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for promoting creativity development while cramming education is the worst component for it. From these results, it follows that creativity development education need to pay attention particularly to those two components in both countries. Third, the Korean students consider that educational system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ome personal problems such as a lack of self-confidence, and the conventional society are the most hampering components for creativity development, while the US students consider financial difficulties as the most hampering 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reativity hampering components differ between countries and thus each country needs to introduce proper measures for creativity development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