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서양의 창의성 차이 고찰 - 창의적 문화와 환경, 성격, 사고, 산물을 중심으로

        성은현(Sung Eun Hy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1

          서양의 문화는 개인주의, 자유주의 문화라 할 수 있는 반면, 동양의 문화는 집단주의, 유교주의 문화라 할 수 있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개인주의, 자유주의 문화인 서양 문화가 동양 문화보다 창의적인 환경과 창의적인 성격 형성에 유리하다고 한다. 그러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업적에서 서양인이 동양인보다 우수하다는 일관성 있는 증거는 없다. 창의적 환경과 창의적 성격 형성에서 서양인보다 불리한 입장에 있는 동양인이 창의적 사고력과 업적에서 상대적으로 열등하다고 말할 수 없는 이유는 동서양의 창의성이 어떤 부분에서 다르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즉, 동양인의 창의성은 수정과 적응이라면 서양인의 창의성은 독창성과 개성이 주된 본질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이렇다면 동양인의 창의성을 발현하는데 필요한 환경과 성격은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창의적 환경 및 성격 특성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각에서 그동안 국내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 있었던 동서양의 문화 간 차이를 고려한 창의성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동양의 창의성 모델 더 세부적으로 한국인의 창의성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sian societies have confucian/collectivistic cultures while western societies have liberal/individualistic cultures. According to early studies, liberal/individualistic cultures in the West have more advantages to shape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an Asian cultures. However there is not yet the convincing evidence demonstrating Westerners are superior to Asians in creative thinking ability. Rather it seems that the creativity of Asian people is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ers. We think that the creativity of Asian is the creativity of modification and adaptation while that of Westerner is the creativity of originality and individuality. If this hypothesis is right, the contents of environment and personality inducive to develope creativity might be different between Asian and Western socie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epen our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differences of creativity and also develope oriental and/or Korean model of creativity.

      • KCI우수등재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성은현(Eun Hyun Sung) 한국아동학회 2005 아동학회지 Vol.26 No.1

        The present study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general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responses of 113 university students on self-esteem, general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sca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Cronbach a tests,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general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Second,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creative personality were mediated by general self-efficacy.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lf-regulation and self-confi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general self-efficacy were good predictor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general self-efficacy in order to develop creative personality.

      • KCI등재후보

        가정환경과 창의성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성은현(Eun-Hyun Sung),김누리(Noo Ree K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1 창의력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가정환경 중 월 소득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의 남ㆍ여학생에게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와 창의적 산물 검사를 실시하였고 국어, 영어, 수학, 음악과 미술과목의 학업성취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가정환경 진단 검사 중 사회경제적 변인에 관한 질문을 실시하였다. 응답 자료를 토대로 Perason 적률상관분석과, 일원변랑분석, Barron과 Kenney(1986)의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월 소득은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업성취 중 국어, 영어, 수학 성적과만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미술, 음악 성적과 창의적 산물은 월소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학업성취 중 수학과 미술 성적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창의적 산물은 어떠한 과목의 학업성적과도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월소득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로 수학과목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income, children’s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ne hundred twenty-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took tests of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product. We examin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scores (Korean, English, mathematics. music and art). Also their par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socio-economic environment. We analysed the data through Pearson correlation, one way ANOVA and Barron & Kenny’s mediation model by using SPSS 14.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mily income and creative environment. There a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mily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literature, english, mathematics score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s correlations between creative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nd arts. Third, there are no significants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product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family income influences mathematics score through creative family environment.

      • KCI등재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적 창의성의 통합 모형 탐구

        성은현(Sung, Eun Hyun),이정규(Lee, Jeong Kyu),한순미(Han, Soon-Mi),한윤영(Han, Yoon Young),하주현(Hah, Joo-Hy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창의성 연구에서 국가 간 문화적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문화적 변인을 고려한 통합적 창의성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미국에도 적용하여 한국의 모형 결과와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지, 성격, 환경, 문화를 포함하는 한국적 창의성 질문지를 한국과 미국에서 대학생 (한국:1208명; 미국:5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창의성의 인지, 성격, 환경, 문화를 포함하는 통합모형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를 환경 변인에 포함시키는 것 보다 환경과 독립된 변인으로 설정하는 것이 구조방정식모형에 더 적합하였고, 한국적 창의성 통합모형이 미국에서는 덜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중 특히 문화가 환경에 포함되기보다 환경과 독립된 변인으로 창의성에 작용한다는 연구결과는 창의성 연구에서 비교문화와 관련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integrative model of creativity including 4 factors, cognition, personality, culture and environment. Also we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model of creativity and US model.1208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511 college students in U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among four factors(cognition, personality, culture and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by using Equation Model(SEM)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t is adequate model in which the culture is dependent factor from environment. Second Korean integrative model of creativity is less adequate in U.S.A.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ltural studies are needed in the domain of creativity research.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창의성 발현 및 저해 요인에 관한 암묵적 생각

        성은현(Eun Hyun Sung),한윤영(Yun Young Ha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발휘 정도와 창의성 발현 및 저해 요인에 대한 생각을 비교하여 국가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210명, 미국 대학생 514명, 총 1724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은 미국 대학생들에 비해 스스로 창의성을 덜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 모두 창의성 발현 요인으로 성격 특성을, 저해 요인으로 주입식 위주의 정형화된 교육방식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이것이 두 국가에서 창의성 교육을 위해 초점을 두어야할 이슈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한국 대학생들은 대학 입시위주의 교육과 자신감 결여와 같은 자신의 문제, 개성이 인정되지 않는 사회분위기를 창의성 저해 요인으로 많이 응답하여 입시교육 대책마련, 자신감 향상을 위한 노력, 창의적 사회분위기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반면 미국 대학생들은 경제적인 문제를 창의성 저해 요인으로 많이 응답하여 국가 간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미국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각 국가에 맞는 대책을 준비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are the components promoting or hampering creativity developm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in Korea (1210) and the US (514).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hink themselves less creative than the US students while the US students think themselves more creative than Korean students. Second, Both the Korean and the US students consider that personality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for promoting creativity development while cramming education is the worst component for it. From these results, it follows that creativity development education need to pay attention particularly to those two components in both countries. Third, the Korean students consider that educational system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ome personal problems such as a lack of self-confidence, and the conventional society are the most hampering components for creativity development, while the US students consider financial difficulties as the most hampering 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reativity hampering components differ between countries and thus each country needs to introduce proper measures for creativity development plan.

      • KCI등재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방향

        성은현(Eun Hyun Sung),이정규(Lee Jeong kyu)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에서 창의성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검토하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나아가야할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한국과 미국 모두 교 육제도가 창의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드러났고, 한국 대학생들이 미국 대학생들에 비해 창의성을 덜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학생이 미국학생에 비해 주입식 교육과 대학입시위주의 교육, 그리고 자신감 결여로 인해 창의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학교환경과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즉,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상상력을 지원하고, 전문 지식을 향상시키며, 미래사회의 가치에 대해 생 각하고, 영역특수적 창의성 요소를 고려하며, 융합적 사고를 하도록 유도 하고, 개방적인 태도와 인간에 대한 고민, 학생과 교사의 열정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ses the components for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the survey of previous studies, and proposes educational orientation to develop creative human being in Korea.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comparing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system appears itself more a hindrance than a help for creativity development in both of the two countries. Another study reports that American students show higher scores than Korean students in the question "Do you think you demonstrate creativity in your life?". In view of these studies, and studies about school environment and creativity education, we propose following educational orientations to develop creative human being: to support student's imagination, to improve domain-specific knowledge, to think about future value, to consider domain-specific creativity, to induce convergent thinking, to have open mind, to think about human being, and to support passion of students and teachers.

      • KCI등재

        건축설계 영역에서 창의성과 관련된 요인들의 관계

        성은현(Sung Eun-Hyun),신문기(Shin Moon-Ki)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8

        This research is aiming for stud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general knowledge,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s and the creativity of architectural design. 129 students, major in architectu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specialists of architectural design evaluated the students' creativity in their projects. The data of the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tes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We used Cronbach α test, factor analysis,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Pearsons's correlation test, and Barron and Kenny's mediate model to analyse data.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general knowledge,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creativity of architectural design. The sub-factors of extrinsic motivation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reativity of architectural design except the extrinsic motivation that has a synergy effect with intrinsic motivation.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the factors of the creative architectural design. Finally, the effect of the extrinsic motivation that has a synergy effect with intrinsic motivation on creativity was mediated by intrinsic mo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make efforts to elevate the knowledge of major field and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recognition and rewards to develop creativity in the architectural design.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용 창의적 수업환경 척도의 타당화

        성은현(Sung Eun Hyun),김누리(Kim Noo Ree),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된 창의적 수업환경 질문지를 고등학교 수업장면에서도 적용하기 위해 타당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의 고등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수업환경 질문지와 영역창의성 검사, 창의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대학생 집단과의 모형 동질성 검증, 상관분석,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창의적 수업환경에 대한 현재정도와 중요정도의 차이를 기반으로 대응표본 t 검증 및 Borich 공식을 사용하여 요구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용으로 개발되었던 질문지가 고등학생에게 적용하여 구인에 대한 요인을 탐색해 본 결과 이 역시 '교수학습 방법' 요인과 '교사의 태도 및 심리적 요인'의 두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구성요인에 대한 대학생 집단과 고등학생 집단 간의 구인에 대한 모형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개발된 질문지를 고등학생에게 적용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높은 창의적 수업환경을 가진 학생이 낮은 창의적 수업환경을 가진 학생보다 일상생활에서의 창의성, 학문적 창의성, 음악/문학에서의 창의성, 과학/공학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및 창의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고등학생 역시 창의적 수업환경의 현재 정도가 중요 정도에 비해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에서도 교사의 창의적 태도 및 수업방법이 창의적 수업환경 조성을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함이 제시되었고, 이밖에도 창의적 수업환경 조성을 위해 초점을 두어야할 점들이 논의점 및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제시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a questionnaire of creative class environment designed to focus on college class. The questionnaire for creative class environment(measuring both teacher's attitude/psychological factor an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Kaufman Domains of Creativity Scale(K-DOCS) and Creative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295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We used factor analysis, Similarity of Factorial Structure, Pearson correlation, t-test, paired t-test, Borich formula for data analysis.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about both their current creative class environment and their opinions on it's importance. We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current class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reative class environ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veloped simple creative class environment questionnaire consisting of 9 items to measur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eacher's attitude and psychological facto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uitable to apply to high school students conducte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validate the model homogeneity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ird, high creative class environment group achieved higher scores than low creative class environment group in the domains of Everyday, Scholarly, Writing and Music, Science and Engineering, Artistic creativ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Third, teaching-learning method was needed to promote a creative class environment. Fourth,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aware of the lack of enough importance compared to the current level of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Finally, we discussed the meaning and limits of this study.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창의적 수업환경과 창의성

        성은현(Eun-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20 영재와 영재교육 Vol.19 No.3

        본 연구는 창의적 수업환경과 영역별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한국과 미국의 창의적 수업환경을 비교하고 보완할 점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경남 지역의 4년제 대학교 학생 1174명과 미국의 주립대학교 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수업환경 질문지와 영역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의적 환경과 영역별 창의성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높은 창의적 수업환경을 가진 학생이 낮은 창의적 수업환경을 가진 학생보다 모든 영역의 창의성(일상생활에서의 창의성, 학문적 창의성, 음악/문학에서의 창의성, 기계/과학 창의성, 예술적 창의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미국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에 비해 좋은 창의적 수업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미국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에 비해 영역별 창의성에서 우수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한국에서 수업환경에 대한 요구는 “일반적이지 않은 질문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해주는 선생님이 있는”과 같은 교수의 태도 및 심리적인 요구가 높았으나 미국에서는 이에 대한 요구는 후순위였고 그보다 “수업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과 ,“토론 위주로 수업하는” 등 실생활적인 요구가 한국에 비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국이 창의적 수업환경 조성을 위해 초점을 두어야 할 점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ors attitude & psychological factor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related to creative class environment and domain specific creativity; to compare creative class environment in Korea and U.S.A., and to suggest complementary measures following the research.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surveyed 1174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city, Gyeongi, Chungnam and Gyeongnam provinces in Korea and 551 state university students in California, the United States. We asked the questionnaires about creative class environment and ran the domain specific creativity test.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environment and domain specific creativity. Second, the students with high creative class environment displayed higher scores at all areas of the domain-specific creativity (Self/Everyday, Scholarly, Writing/Music Performance, Mechanical/Scientific and Artistic) than the students with low creative class environment. Third, American students had a better creative class environment compared to the Korean students. Fourth, American students demonstrated superior ability in domain-specific creativity compared with the Korean students. Fifth, the need for the class environment in Korea is high on professors attitude & psychological needs ( having a professor who gives positive response even when a student asks uncommon questions ); while the need for it was low in the U.S.. Instead, the high priority rested on real practical needs ( a class that gives practical help in everyday life and a class that focuses on discussion ) in the U.S. than Korea. With these results in mind, this research discuses how to develop creative class environment in the two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