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체, 글쓰기의 ‘여성적’ 실천 : 식수(Cixous)의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e)에 대한 하나의 독해

        배지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This article trie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an and writing. This relationship necessarily connects to the language, the body and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problems. This work shows the conditions of the elaboration, and the production of women’s writing. It examines how women have begun to write by agitating the idea of the women and the signifier of lack. Firstly, the article proposes a critical overview of some different theories about women’s writing, discussing their evolution since the middle of 1970, then it analyses, through the texts of Cixous, the meaning of the voice, the body and the subject of ‘women’s writing’. Cixous enumerates these three points concerning the femininity in the writing: in the first place, a privilege of the voice, that is to say, an oralisation of language involving a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We can establish an report between the conception of the voice at Cixous and the linguistic modality which Kristeva call ‘the semiotics’ and that she sets against another modality. This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is outside the usual metaphor and the sublim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 kind of invention which disturbs the symbolic order. In the text of Cixous, the “mother” is not the sacrifiante mother sublimated by the male symbolic order. It is a word which has more than a sense as the invention by the writing; it disturbs the symbolic order. Secondly, Cixous privileges the body. The vision of Cixous is to revalue this report with body rather than to envisage it as a form of oppression, susceptible to disappear as the women who speak in their own bodies. Cixous tries to discover and to revalue the relationship in the body. The body is neither the nature, nor the other 이 글은 여성과 글쓰기의 관계에 대해서 성찰한다. ‘여성적 글쓰기’의 구성과 생산조건들을 보여주며, 어떻게 ‘여성’이 이상화된 여성과 부재의 기표로서의 여성에 저항하고 상징질서의 안과 밖에서 ‘글쓰기’에 이르는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형성된 ‘여성적 글쓰기’의 사회문화적 조건을 살펴본 후, 이를 하나의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역사적 현상으로 간주한다. 더 나아가 식수(Cixous)의 글쓰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글쓰기의 여성적 실천으로서 해체의 힘에 주목한다. ‘여성적 글쓰기’를 태동시킨 몇몇의 텍스트들에서, 식수는 ‘목소리, 몸, 열린 주체’를 글쓰기에서 ‘여성성’의 발현으로 보았다. ‘목소리’의 중요성은 ‘어머니’와 깊은 관련이 있다. 언어의 소리, 리듬, 운율 등의 의미역 밖의 언어의 창조성이 특화된다. 이는 크리스테바(Kristeva)의 기호계와 비교될 수 있다. 둘 사이에는 공통점과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식수의 텍스트에서 어머니는 남성 상징질서에서 숭고화된 희생적인 어머니가 아니다. ‘글쓰기’를 통한 일종의 발견으로 남성 상징질서를 흔드는, ‘하나 이상의 의미’를 지닌 단어이다. 식수는 ‘몸과의 관계’를 재평가하고 발견하려 한다. 여기서 ‘몸’은 자연도 타자도 아닌, 여성들의 ‘새로운 글쓰기의 장’이다. 여성은 타인을 향해 스스로를 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주체로서 식수에 의해 ‘열린 주체’로 특권화된다. 여성들은 ‘글쓰기라는 실천’을 통해서, 다른 여성들의 역사를 받아들이고 기억하고, 함께 쓰고 증언하면서 역사를 쓴다. 이와 같이 ‘여성적 글쓰기’는 해체의 실천으로서 ‘새로운 역사쓰기’이다.

      • Dalcroze와 Laban의 움직임 창작교육에 대한 연구

        배지선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07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Vol.1 No.2

        최근 창작교육은 통합적인 예능창작교육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문학, 미술, 음악, 무용, 연극 등 예술분야에서의 창작활동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경험을 체험하게 된다. 이런 창작활동은 인간의 신체활동 즉, 움직임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모든 표현이 움직임을 매개체로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움직임을 통한 창작교육은 움직이는 과정에서 생각하고 배울 수 있는 교육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신체를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하고 신체적, 지적, 정서적으로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창작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이 있지만 그 중 Dalcroze와 Laban은 움직임 이론을 체계화한 이론으로 잘 알려져 있다. Dalcroze는 잠재 능력을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훈련을 통한 신체 표현과 더불어 음악적 리듬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Laban은 창의적인 무용 활동이 학생들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고 주장하였다. 이상의 학자들이 주장한 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창의적인 교육은 움직임을 통한 교육이며, 움직임 창작 교육을 통해 잠재 능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것이 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Dalcroze의 유리드믹스와 Laban의 유키네틱스를 비교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움직임 창작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두 이론을 비교 연구한 결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리드믹스는 리듬을 통한 율동적 움직임의 리듬교육체계이며 유키네틱스는 움직임의 역동성에 관한 움직임교육체계이다. 둘째, 유리드믹스는 리듬을 신체의 움직임으로 느끼게 하는 과정이며, 유키네틱스는 내적 표현력의 향상과 더불어 역동적이고 표정이 풍부한 움직임을 구사하도록 한다. 셋째, 유리드믹스의 교육방법은 다양한 리듬의 체계적인 단계를 거쳐 그에 따른 움직임을 경험하게 하고, 유키네틱스의 교육방법은 공간, 시간, 무게, 힘의 요소를 통해 자유롭고 능동적인 움직임을 스스로 경험하여 명확한 움직임의 표현을 발견하게 한다. 넷째, Dalcroze의 연구는 무용, 오페라, 연극뿐 아니라 현재의 유아 음악교육 발전에 공헌했고, Laban은 독일의 표현주의 현대무용, 연극, 음악, 움직임에 관련된 모든 분야에 폭넓게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움직임에 대한 개념은 서로 다르지만 이 두 사람의 이론은 움직임 창작교육에 있어 창의성과 다양성을 길러주고 즉흥적인 창작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이론체계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Dalcroze의 유리드믹스와 Laban의 유키네틱스는 움직임창작교육의 기초로 무용가나 음악가와 같은 전문가 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필요한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움직임 창작이론은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이 두 이론을 활용한 움직임 창작교육에 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L'écriture autobiographique chez Derrida

        배지선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科學 Vol.102 No.-

        This article proposes an analysis on the question of autobiography from the classicalsense of its term, to arrive at a new approach to the autos and to the biography, andfinally to conceive the writing as the event. This article interrogates the "I" who knowsthe identification. Autobiography is an assembly of identities, which requires thereadability of oneself. However, the relationship to the language as much as oneself isaporetic because the "I" is placed between the impossibility of owning oneself andlanguage or of appropriating it all in forming some "I " in language and life. Everythinghappens necessarily in the language in which we were born, we grew up or to which wewere adapted; whatever the relationship builds, it must first go through the language. The construction of autobiography or autobiographical writing is necessarily related tothe language ; and it is subject to the law of language like "translation". It is not just thelaw of translation, but it is the law itself like translation; thus we are subject totranslation; thus the translation imposes.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is considered asa relationship in translation between "I", "I" and "language (s)," not as a homogeneousnarrative provided by the identity of the narrator and the author; here, it is put on trial. This writing is also considered as the desire of some totalization; keep all traces of lifeto think of it or write it, that's an impossible desire. Unable builds the event: the eventalways promises more than given. What is missing to arrive is probably keeping thememory under seals: the event can arrive without awareness. The philosophy buildsmachines to repeat; the literature is the power to say all; and (autobiogaphical) writingis placed between; the desire for totalization and its impossibility: an impossibleproject, but which do not concede to this impossibility itself.

      • KCI등재

        후두 아밀로이드증 3예

        배지선,김상윤,최승호,남순열,Bae, Ji-Seon,Kim, Sang-Yoon,Choi, Seung-Ho,Nam, Soon-Yuhl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0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1 No.1

        Amyloidosis is a diverse group of disorders that share the deposition of amyloid protein in various extracellular tissues. Systemic amyloidosis may involve any body part and about 9-15% of it is localized. In the head and neck, the larynx is known as most common involved site. A histological diagnosis of amyloidosis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finite diagnosis. Conservative surgery can be done for relieved airway obstruction or restored voice. We present three cases of patients with laryngeal amyloidosis that was treated with laryngeal microscopic surgery with laser.

      • KCI등재후보

        ‘자서전’(auto-bio-graphie) : 삶을 위한 삶 ― 글/쓰기(écriture) 계약

        배지선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5 탈경계인문학 Vol.8 No.2

        This article shows the conditions of the elaboration, and production, of writings. This work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s, the I, the self ―inseparable from the bios, life as an experience that the body goes through ―and the graphein, the act of writing, the written form, at once text and narrative. This article interrogates the “I” who knows the identification. Autobiography is an assembly of identities, which requires the readability of oneself. However, the relationship to the language as much as oneself is aporetic because the “I” is placed between the impossibility of owning oneself and language or of appropriating it all in forming some “I” in language and life.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is considered as a relationship in translation between “I,” “I” and writing, not as a homogeneous narrative provided by the identity of the narrator and the author. It concerns the analysis of the otobiographies through which Derrida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ing and the question of the proper name. This analysis is another approach to autobiographical writing. Autobiographical writing, an account of an individual’s story, reveals the writing of or/and for life.

      • SCOPUSKCI등재

        오랑우탄에서 E. coli에 의한 출혈성 폐렴 증례 보고

        배지선,김대용,박주연,유한상,신남식,권수완 한국임상수의학회 1999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16 No.1

        An 8-month-old male orangutan (Pongo pygmaeus) housed in Everland Zoo-logical Gardens died after having 10 day history of depression, anorexia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On necropsy, the lung failed to collapse and showed diffuse red consolidation. Microscopically, the alveoli were filled with large amounts of red blood cells, fibrin and varing number of hemosiderin-laden macrophages. The alveolar septa were thickened due to infiltrated mononuclear cells and congestion and are occasionally necrotic. Escherichia coli was isolated from the lung, spleen and kidney. The result of antibiotic sensitivity test of the isolated organism was also described.

      • KCI등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GUI 감성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스마트 폰 주 사용자인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배지선 ( Jee Seon Pae ),이규옥 ( Kyu 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인간은 다양한 사물과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경험과 문화를 통해 특정 감성을 사물에 대입시키게 되며, 이러한 감성은 기능적인 면에서 평준화를 이룬 제품 시장에서 소비자가 느끼게 되는 ``심플하다.``, ``아름답다.`` 등의 느낌으로 하드웨어적인 면과 더불어 새로운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논리에 큰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유저(User)의 감성에 대해 측정하고 특정 감성을 유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GUI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개발단계에 있어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행용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20대 사용자의 감성을 평가하고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GUI요소를 직교배열방법에 따라 조합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전문가 패널에 의해 선정된 여행 관련 소프트웨어에 적합한 감성 어휘를 추출하여 제작된 프로토타입을 자극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추출된 상위 감성 요인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GUI요소와 감성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요인분석결과로 얻어진 5개의 요인은 ``유쾌한(Fun)``, ``상쾌한(Refresh)``, ``모던한(Mordern)``, 유니크한(Unique) ``, ``에너지틱한(Energetic)``이었으며, 여행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쾌한 감성을 유도하는 GUI요소로는 입체형 아이콘이, 상쾌한 감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평면형 아이콘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던한 감성을 느끼게 하는 주된 요소로는 유사색상의 배합이, 유니크하고 에너지틱한 감성을 유도하는 중심 요인은 반대색상의 강렬한 색상 배합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행용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사용자 감성에 따라 고려해야할 디자인 요소를 알아보았다. Humans have learned to substitute certain feelings to a situation or an object from exposure to various stimuli in their cultural environment. Strategies such as emotional marketing and emotional engineering that enhance market competitiveness by meeting consumers` emotional needs are common these day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booming smart phone market is undermining the emotional factors when designing applications. Application developers still rely heavily on their own instincts and interpretations of what consumers want. This study, by measuring phone users` emotional demands and establishing which GUI arouses which emotion, provides a guideline to application developers and designers about what to consider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development. The study centers on the evaluation of phone users` emotional demands specifically when traveling. To make the specification, the GUI factors that were found in previous studies were recombined prototypes and 17 words were extracted. It was made sure that the extracted words are suitable for the travel related software selected by expert panels. Then the established 18 prototypes and the 17 sentimental words were tested on the level of arousal of the certain sentiments. The extracted super ordinate sensibility factors were us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to look at the correlation between application GUI and sentiment quantitatively.

      • KCI등재

        Fitz-High-Curtis Syndrome으로 진단복강경수술을 시행한 젊은 가임기 여성에서의 나팔관 소통성 분석

        배지선 ( Ji Seon Bae ),최연재 ( Yeon Jae Choe ),정민형 ( Min Hyung J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Fitz-High-Curtis Syndrome (FHCS)으로 조기 진단 복강경 수술을 시행한 젊은 가임기 여성에서 가임력에 중요한 난관의 소통성을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5년 3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급성 골반염 의증으로 진단적 복강경수술을 받은 젊은 여성들의 임상병리학적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이 중 진단복강경수술 중 난관절제술 등을 시행하지 않아 양측 난관을 보존한 19-29세의 환자를 본 연구에 포함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중 난관 소통성 검사를 위해 색소 검사 (chromopertubation test)를 시행하였고 수술 후 3개월 후에 자궁난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26명의 환자 중에서 FHCS로 진단된 환자 8명 중 6명이 수술 전 복부 CT를 촬영했으나 수술 전 진단된 환자는 2명뿐이었으며 나머지 4명은 진단복강경 수술소견을 통해 진단되었다. FHCS군과 non-FHCS군 간의 평균연령, 평균 재원기간, 분만력, 인공임신중절의 과거력, 입원 당시 검사한 chlamydia 감염 및 gonococci 감염의 빈도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진단복강경수술 중 시행한 chromopertubation test에서는 난관 폐색의 소견의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외래에서 3개월 후 시행한 자궁난관조영술 검사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용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Non-FHCS군보다 FHCS군에서 난관폐색의 빈도가 높으며 난관폐색의 진단에 있어 진단복강경수술 중 시행한 chromopertubation test의 신뢰도는 낮았다. 따라서 FHCS 환자에 있어 향후 가임력 평가에는 자궁난관조영술이 더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o analyze the tubal patency in the young-aged women underwent diagnostic laparoscopy with Fitz-High-Curtis Syndrome (FHCS). Methods: Clinicopathologic results of young-aged women who underwent diagnostic laparoscopy with pelvic inflammatory disease from March 2005 through April 2007 were reviewed. Twenty six patients aged 19-29 years old and preserved their both tubes after diagnostic laparosco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were underwent chromopertubation test (CPT) during laparoscopy and postoperative hysterosalpingography (HSG) 3 months later. Results: Of 26 patients, eight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FHCS and the others were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age, mean hospitalization days, and frequency in past-history of parturition, abortion, chlamydia and gonococci infection between patients with FHCS and with non-FHC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of tubal obstruction in laparoscopic CPT (P> 0.05) but not in postoperative outpatient HSG (P<0.05). Conclusion: The tubal obstruction may be more frequent in FHCS than non-FHCS and the reliability of laparoscopic CPT for diagnosing the tubal obstruction is supposed to be low. Therefore, as for FHCS patients, HSG should be executed to investigate tubal factor which is helpful to forecast the fer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