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체제전환국에서의 국가배상법 제정 동향과 향후 전망

        배덕현(Bae Duk hyoun)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27 No.2

        Since Reforming and opening up in 1979, China has made effort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to guarantee the rights and property of the citizen by promoting the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system. In particular, in 1995 Law of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on State Compensation ,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ate Compensation law , has been enacted. It has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protection of citizen s rights and property over the past two decades.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evaluations, the current “State Compensation Law” seems to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scope of the State compensation liability is still narrow, so the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is not faithful to the original role of “State Compensation Law”. Second, the procedure for claiming State compensation is too complicated, which lowers citizen s access to state compensation systems. Third, the compensation is not still enough, and it is not meeting the expectation of the people claiming State compensation. In 2014,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emphasized the ‘pushing forward rule of law’ and ‘administration by law’ as one of the key national strategies to cope with the upcoming New Normal era. Depending on the strong commitment of the Chinese government, “State Compensation Law” will be expected to improve further in the direction of protecting basic rights.

      • KCI등재
      • KCI등재

        「중화인민공화국 감찰법」의 주요내용과 평가 및 전망

        배덕현 ( Bae Duk-hyun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8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6 No.3

        At the 13th National People’s Congress held in March 2018,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bill on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Supervisory Committee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upervision Act, which embodied it, were deliberated and confirmed. These National Supervisory Committees are generally perceived as a means to root out corruptions which have been threaten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ina. However, in spite of its good intentions,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there has been excessive human rights abuse because of several clauses including arbitrary detention(so called “Liuzhi”), the restriction of right to legal counsel and notification, and the ambiguity of state-compensation and so on. Therefore, not only to successively achieve “anti-corruption work” which President Xi has been emphasizing since his inauguration of the year 2013, but also to improve human rights record of China, it is required to ame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upervision Act, and it is the only way that chinese “Yifazhiguo” can advance from rule by law to rule of law.

      • KCI등재

        데이터 거래제도 구축에 대한 중국의 구상과 전망 -관련 정책에 대한 연혁적 검토를 중심으로-

        배덕현 ( Duk-hyoun Bae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4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거래 제도 구축에 대한 중국의 전략을 지난 10년간 발표된 관련 정책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국은 탐색기(2015-2016), 휴지기(2017-2019), 재정비기(2020), 제도구상기(2021-2022), 초보적 제도구축기(2023-2025)를 거치면서 데이터 거래 제도에 대한 전략과 구상을 가다듬어 왔는데, 그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은 데이터 거래 제도를 단순한 산업정책이나 기술정책이 아닌 ‘국가 차원의 전략’으로 인식하고, 중국공산당이 데이터 거래제의 구축을 직접 챙기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데이터 거래제를 ‘디지털 경제 구현의 핵심적인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데이터 거래제가 데이터의 가치화와 데이터 가치의 발산 모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는 데이터 거래 제도를 ‘실물경제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마지막으로는 국내적 차원의 순환과 국외적 차원의 순환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쌍순환의 중심축’으로 여기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중국의 데이터 거래 시장은 대규모 언어모델과 범용인공지능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된다. 그리고 중국의 이러한 선행사례는 데이터 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우리에게도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s China’s strategy for building a data trading system through an analysis of relevant policies spanning the past decade. China has undergone a series of phases in refining its strategies and plans for the data trading system: the Exploration Period (2015-2016), Three Year Hiatus (2017-2019), Reorganization Period (2020), Designing System Period (2021-2022), and Preliminary System Building period (2023-2025). Summarizing the contents, the following key points emerge: First, China conceives of the data trading system as a national-level strategy rather than merely an industry or technology strategy, with direct involvement from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in its construction. Second, it is regarded as a crucial means for realizing the digital economy due to its pivotal role in both the process of valuing data and the release of its value. Third, the data trading system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means to stimulate the real economy. Final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China views the system as the central axis of domestic-international dual data circulation. In the future, China’s data trading market is expected to flourish significantly, propelled by the rapid advancement of Large-scale Language Models (LLMs) and General Artificial Intelligence (GAI).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hina’s precedents and experiences related to building a data trading system could serve as valuable references for South Korea, which is also activel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its data trading market.

      • KCI등재

        입법을 통해 살펴본 데이터에 대한 중국의 인식 연구 -「중화인민공화국 데이터보안법」을 중심으로-

        배덕현 ( Bae Duk Hyun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2021년 9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중국 「데이터보안법」의 주요내용을 살펴본 후, 이에 기초하여 중국이 데이터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우리에 대한 간단한 시사점도 도출해 보았다. 먼저 중국은 데이터를 재산적 가치 내지 속성을 가지고 있는 담지체로 바라보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에 대한 재산권화도 모색하고 있었다. 두 번째로는 데이터를 국가의 기본적인 전략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등급별 분류 보호 및 보안심사 제도 등의 여러 제도들을 통해 데이터가 가지는 전략자산으로서의 가치를 뒷받침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 정부는 데이터를 국가안보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요인으로도 바라보고 있었는데, 데이터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권위주의의 구현으로 연결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국은 데이터를 미ㆍ중간 과학기술 패권 경쟁에 있어서의 중요한 Game changer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데이터보안법」 역시 데이터의 이러한 위상을 반영한 제도들을 잘 마련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향후 데이터 분야에서의 대중 협력과 경쟁 모든 면에서 우리의 합리적 판단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China’s stand on data by examining Data Security Act of PRC which has been in force since September 1, 2021, and to look for its im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Data is deemed something with property value and planned to be protected by property right. Secondly, China thinks of data as one of the crucial national strategic assets, and tries to maintain its values with some legal devices such as the categorized and hierarchical data protection system, the data security review system, and the export control measure etc. Thirdly, chinese government regards data as the potential threat to national security, this is related to digital authoritarianism. Fourthly, Data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game changer of U.S.-China Competi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rea.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ositively serve the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data industry field.

      • KCI등재

        중국의 약관규제 관련 법제 연구

        배덕현(Bae dukhyun),이충훈(LEE Choonghoo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1 No.2

        우리나라는 1986년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약관에 의한 계약체결을 규율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약관을 규율하기 위하여 특별법이 아닌 중국 「계약법」에서 약관과 관련된 규정을 두고 있다. 중국의 경우 약관과 관련된 규정이 3개의 조문을 두고 있기에 중국 내에서도 이 규정의 해석에 관하여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계약법 제39조제2항에서는 약관의 개념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고, 제39조제1항에서는 계약편입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약관의 개념은 우리나라와 크게 차이점은 없다. 명시·설명의무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사업자에게 명시·설명의무를 부과하고 있다는 점에는 양국이 동일하다. 하지만 이를 위반한 경우 우리나라 약관규제법은 계약의 내용이 되지 않는다고 명문으로 규정하여 무효로 보고 있는 것과 달리 중국은 명시·설명의무 위반에 대한 명문의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중국의 최고인민법원에서는 상대방이 취소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중국계약법 제40조에서는 계약의 내용통제와 관련하여 중국계약법 제52조와 제53조에 해당하는 사항이 있는 경우에 무효가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계약의 일반적인 무효사유와 면책조항의 일반적인 무효사유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양식화조항은 무효가 된다는 방식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불공정조항에 해당하는 양식화조항의 효력에 관하여도 중국계약법에서는 명시적인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중국 내에서도 비판적인 견해가 다수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중국의 입법제도의 미비에서 비롯된다고 할 것이다. 중국내에서도 입법적 미비를 인정하여 향후 제정될 민법전에 양식화조항과 관련된 입법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우리나라의 약관규제법과 같은 특별법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향후 중국의 약관관련 규정의 정비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약관규제법이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While, since 1986, Korea has regulated standard form contracts with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China has regulated those contracts with some provisions in Contract Code. Moreover, because Chinese Contract Code has only three provisions about adhesive contracts,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se provisions. In Chinese Contract Code, Section 39(2) of defines standard form contracts and section 39(1) regulates incorporation controls. Al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in definition of standard form contracts and a provision about the duty to indicate and explain standard term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ct,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e Korean Act provides a specific provision to invalidate the standard terms which does not obey the duty to indicate and explain the terms and conditions, but because China Contract Code does not have any specific provision not to obey the duty of businesses, there are some problems even though Chinese Supreme Court has decided customers may cancel the standard form contract. Section 40 of Chinese Contract Code on content control invalidates the terms and conditions about sections 52 and 53. In other words, standard form contracts about general terms of contract and general exemption clause are void under Chinese Contract Code. Some scholars have critical opinions because there are no specific provisions about the effect of standard terms in Contract Code. Chinese Contract Code is characterized by invalidating standard form contracts including general void terms in Contract and in exemption clauses are void. Moreover, because there is no specific provis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unfair clauses in standard forms, there are some critical opinions. These problems are based on the lack of those provisions in Chinese Contract Code. Therefore, some scholars have argued the provisions which regulate standard terms are required in future Civil Code and others have argued ad hoc legal system such as Korea, Germany. I believe Korean Act will be the important reference to amend the provisions or to make new law regulating standard terms in China.

      • KCI등재

        사이버공간의 정의와 특징

        배덕현(Deuk hyun Ba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흔히 가상공간과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이버공간이라는 용어에 대해 정의하고, 그 성격이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사이버공간은 가상공간의 하위개념으로, 컴퓨터ㆍ전자기술로 인해 만들어졌으며 사람들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남에 따라 각종 문화현상이 일어나는 공간을 말한다. 사이버공간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현실세계에 존재하지 않지만 분명히 실재하고 있으며, 그것은 가짜나 현실의 모사가 아닌 또 다른 실재이다. 2) 접근성과 이동성이 뛰어나지만 저소득자나 교육받지 못한 사람들을 배제한다. 3) 의미로 가득 찬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비선형적이고 입체적인 하이퍼텍스트적 성격을 가지고있다. 4) 감시와 통제가 용이하며, 그 방식 또한 고도화된 공간이다. 본문에서 제시된, 사이버공간에서 일어난 몇가지 사건들은 이러한 사이버공간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문화현상의 예가 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Cyberspace, a concept that belongs to virtual space, is made with the help of computer and electronic technologies, and lots of communication and cultural phenomena are occurring inside the space. Cyberspace has following features: 1) It is physically non-existence in real world, but it does not mean 'no exist in everywhere.' It is another reality, not mirroring or copying of the real world. 2) It has accessibility and mobility, but it excludes poor and uneducated people. 3) It is composed of texts that are full of meaning and has non-linear, dimensional hypertext features. 4) It is easy to watch and control. Some incidents, occurred in cyberspace, is a good example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 KCI등재SCOPUS

        K-Means Clustering 기법과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탄소기반 글로벌 해양 생태구역 분류

        김영준,배덕,임정호,정시훈,추민기,한대,Young Jun Kim,Dukwon Bae,Jungho Im,Sihun Jung,Minki Choo,Daehyeon Han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5

        An acceleration of climate change in recent years has led to increased attention towards 'blue carbon' which refers to the carbon captured by the ocean. However, our comprehension of marine ecosystems is still incomplete.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global marine eco-provinces using k-means clustering considering carbon cycling. We utilized five input variables during the past 20 years (2001-2020): Carbon-based Productivity Model (CbPM) Net Primary Production (NPP), particulate inorganic and organic carbon (PIC and POC), sea surface salinity (SSS),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 total of nine eco-provinces were classified through an optimization proces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province were analyzed. Among them, five provinces showed characteristics of open oceans, while four provinces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coastal and high-latitude regions. Furthermore, a qualitative comparison was conducted with previous studies regarding marine ecological zones to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the features of nine eco-provinces considering carbon cycling. Finally, we examined the changes in nine eco-provinces for four periods in the past (2001-2005, 2006-2010, 2011-2015, and 2016-2020). Rapid changes in coastal ecosystems were observed, and especi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eco-provinces having higher productivity by large freshwater inflow were identified. Our findings can serve as valuable reference material for marine ecosystem classification and coastal management, with consideration of carbon cycling and ongoing climate changes. The findings can also be employed i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vulnerable coastal regions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국의 스마트시티 정책을 사례로

        이승욱(Lee, Seung-Ook),배덕현(Bae, Duk Hyun),김성온(Kim, Soung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9 공간과 사회 Vol.29 No.4

        이 연구는 스마트시티 개발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이자 민주주의 고양으로 당연시하는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시선을 비판하고자 한다. 특히 스마트시티를 통해 투명한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고 민주주의를 도시생활에서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기존의 담론에 문제를 제기함과 동시에, 오히려 스마트시티가 가져올 부정적인 정치적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스마트시티에서의 통치 문제, 즉 거버넌스 및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스마트시티에 대한 서구의 비판적 논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도시 기업가주의의 고착화, 기술통치체제(Technocracy)의 확장, 디지털 감시체제의 일상화 이상 세 가지 측면에서 스마트시티 거버넌스가 가지는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다. 둘째, 중국의 스마트시티 정책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확대가 단지 효율성, 편리성, 지속가능성, 시민들의 정치 참여 확장으로만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위협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특히 중국의 현실에 대한 분석은 스마트시티를 정부의 전략적 목표로 선정하면서 각종 지원과 혜택을 약속하고 있는 우리 현실에 유의미한 성찰의 기회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riticize the dominant vision in our society that a smart city will serve as a new growth engine and facilitate democrac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we question the existing discourses that smart cities will create a transparent governance system and substantially realize democracy in urban society, and pay attention to negative political impacts. For this, we review the western literature on smart city governance and democracy, and identify three problems in terms of smart city governance: consolidation of urban entrepreneurialism, expansion of technocracy, and routinization of digital surveillance. In addition, we examine China’s smart city policies as a case to specifically reveal these problems and claim that the expansion of smart cities will not lead to the enhancement of efficiency, convenience, sustainability and civil participation in politics but become a new threat to democracy.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hinese case will provide us with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reflection upon our reality to prioritize and privilege smart cities and promise a variety of benefits and support.

      • 요하지통 환자에서 두 개의 캐눌라를 이용한 박동성 고주파 신경근 응고술의 임상 연구

        김천숙,배재영,배덕,강규식,안기량,권진형,김지은,유시 순천향의학연구소 2003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9 No.1

        Dorsal root ganglion(DRG) block by the local anesthetics and steroids which has done classically in low back pain(LBP) patients with radiculopathy has high incidence of recurrence rate and side effects of steroids. Recently a new technique of pulsed radiofrequency thermocoagulation(P-RFTC) was introduced and substituted for it because of the benefits such as relatively low recurrence rate, low risk of nerve injury and comfort during the procedure. We experienced 15 patients who had LBP with radiculopathy and no or little response to epidural steroid injection. When we performed DR ganglionotomy by P- RFTC under the C-arm guide in these patients, we tried to approach the exact DR ganglion using tow cannulas - the one for obtaining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and injection of contrast dye, the other for making a RF lesioning after identifying the impedance of sensory and motor stimulation. In conclusion, DR ganglionotomy by P- RFTC using two cannulas in LBP patients is an easy and safe procedure with satisfactor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