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라북도 4개 도립공원 탐방로의 훼손실태 및 관리방안 -마이산도립공원을 중심으로-

        박종민 ( Chong Mi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1. 서론 마이산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과 마령면에 걸쳐 있고, 많은 역사ㆍ문화ㆍ종교 관련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으며, 산봉의 특이한 형상과 돌탑군으로 인하여 탐방객이 많은 명승지이다. 탐방객이 많은 만큼 등산로가 많이 형성되어 있고, 등산로의 훼손도 심한 편이다. 우리나라의 탐방로는 잘 계획된 노선이 아니라 험준한 산악지형에서 신속히 정상에 도달할 목적으로 단거리, 급경사를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성립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탐방로에서 발생하는 각종훼손은 자연훼손을 고려하지 않은 노선체계에다 강우를 비롯한 국지적 기상과 토질 등의 환경적인 취약성을 바탕으로 과밀이용과 무질서한 이용행태가 가세하면서 발생되며, 보수ㆍ정비의 미흡 또는 지연, 자원 및 이용자 관리체계의 미비등으로 인해 훼손이 더욱 심화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산도립공원 구역에 형성되어 있는 등산로의 현황과훼손실태를 파악하고, 공원자원의 관리 차원에서 등산로의 복원 및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2. 연구방법 및 내용현장조사는 2012년 3월부터 5월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공원구역내에 형성되어 있는 지정 탐방로와 비지정 탐방로를 모두 포함하였다. 조사방법은 구간별 훼손지점을 전체적으로 조사하는 전체조사법과 일정한 간격마다구분하여 조사하는 신속조사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야장은 GPS 현장조사야장과 숲길(등산로)훼손/환경피해도 조사야장을 이용하고 훼손지 조사항목은 GPS장비를 이용하여 조사구간, 구간길이, 조사지점 등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였다. 환경피해 조사항목은 노폭 및 나지폭, 뿌리노출, 암석노출, 침식깊이, 노폭확대, 노면침식 등으로 구분하여 훼손등급 및 유형 등을 기재하였다. 기존 공원계획에 반영되지 않은 비지정 탐방로를 GPS와 GIS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DB를 구축하였으며, 구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GIS와AutoCAD 상에서 탐방로 훼손지의 위치도를 수치지형도(1/25,000)로 작성하였다. 등산로 복원방법의 하나로서 기존 노선계획과 공원 자연자원 및 공원시설의 연계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신설노선을 검토하였고, 나아가 훼손된 등산로의 복원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3. 결과1) 탐방로의 현황마이산도립공원 탐방로는 총 19개 노선으로 분류되었고, 총연장은 37.5km이었다. 이것을 수치지형도로 작성한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이 가운데 16개 노선은 지정노선이고, 3개는 비지정노선(17, 18, 19 노선)이다. 비지정노선 중에서 17번 노선은 8번 노선에서 탕금봉을 경유하여 전망대(비룡대) 방향으로 가는 길이고, 18번 노선은 탐방객이 자유롭게 산책할 수 있도록 2006년 6월 ‘연인의 길’로 지정한 아스팔트 포장의 산책로로서 등산로 형태의 탐방로는 아니며, 19번 노선은 마령면 강정리 월운마을을 시점으로 태자굴과 광대봉 갈림길을 통과하여 정상으로 가는 탐방로로서 마이산 자락에서 가장 깨끗한 물이 흘러 마을 주민들이 이를 보호하기 위해 탐방로로 지정하지 않은 노선이다. 2)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및 이용영향 총 19개 노선에서 추출된 유효측점은 142개로 이들 조사지점으로부터 관측한 각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을 평균치로 표시하면, 노폭은 1.6m, 나지폭은 1.1m, 최대침식 및 등산로 물매는 각각 13.6cm와 18.4%이다. 각 노선별로 지형적요인 및 이용강도에 따라 물리적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탐방로 훼손의 특성19개 탐방로의 총 142개 지점에서 조사된 각종 훼손유형 및 발생빈도를 각 구간별로 집계한 결과 나지화는 진행되지만 지표침식이나 뿌리노출현상은 발견되지 않은 4등급이 전체의 80.3%, 나지로서 지표침식이나 뿌리노출현상이 나타난 5등급이 전체의 18.3%, 극심하게 침식이 이루어진 6등급에 해당하는 탐방로는 1.4%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노선에서 훼손등급이 다소 낮은 건전지점으로 분류되었고, 주요 탐방 코스인 일부 구간(3번, 7번, 8번)에서 훼손등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복원이 우선시되는 6등급이 2개소 출현하였는데, 이는 6번 구간의 경우 은수사우측편 탐방로 시점 하단부에 위치하여 빗물에 의해 일부노면이 세굴된 형태이며 면적은 크지 않고, 15번 구간의 경우 관암제 주변 리기다소나무 벌채지 작업로에서 노면세굴이 발생한 사례이다.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훼손 유형은 암반노출형 54개소(38.0%)이고, 수목뿌리노출형 30개소(21.1%), 노폭확대형 19개소(13.4%), 노면침식형 14개소(9.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노면세굴형, 샛길형, 노면주변훼손형, 계단높이불편형의 출현비율은 낮았으나, 노면배수불량형이 2개소 출현하였다. 4) 탐방로 복원 및 관리방향 훼손된 탐방로에 대해서는 노선별 훼손유형에 적합한 복원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복원과 관리의 기본방향은 먼저, 탐방로는 쾌적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길로 조성되어야 하며 탐방로 시설이나 시설행위가 주변 생태계나 경관을 훼손하지 않도록 정비되어야 한다. 또한, 탐방로 복원은 산지사면별 또는 노선별로 완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노면침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정한 횡단배수시설을 설치해야하며, 시설물은 10년 이상의 내구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SCOPUSKCI등재

        우라늄 추출을 위한 리간드의 합성 및 응용 (제 1 보)

        박종민,최석남,Chong Min Park,Suk Nam Choi 대한화학회 1987 대한화학회지 Vol.31 No.4

        우라늄 추출을 위한 리간드를 페닐알라닌과 3-oxoglutaric acid로 부터 합성하였다. 여러가지 pH, 리간드와 우라늄의 여러 농도비에서 리간드를 녹인 이염화메탄 용액을 사용하여 우라늄 추출 실험을 한 결과, pH 8에서 최대의 추출효율이 나타났으며, 리간드와 우라늄의 농도비가 커질수록 추출율이 증가하였고, 농도비가 4이상에서 완전추출이 되었다. 또한 다른 양이온들과의 경쟁반응에서 리간드가 우라늄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추출된 우라늄이 1M 염산용액에 정량적으로 회수되었고 리간드도 재사용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라닐 이온과 리간드의 안정도 상수를 측정 하였으며, 총괄 생성상수 값들은 다음과 같다. ${\beta}_1=1.20{\times}10^5\;,\;{\beta}_2=1.01{\times}10^8$. The ligand, 2,10-dibenzyl-4,6,8-trioxo-3,9-diaza undecane dioic acid(DTDA) for the extraction of uranium was synthesized under dry nitrogen from phenylalanine and 3-oxoglutaric acid. Extraction was performed by stirring a solution of DTDA in dichloromethane for 1 hour with an aqueous solution of $UO_2(ClO_4)_2{\cdot}6H_2O$ at various pH values and at different $DTDA/UO_2{^{2+}}$ molar ratios. Extraction efficiency reaches a maximum when the pH of the aqueous phase was ca 8.0. The extraction percentage was affected by concentration of DTDA and increases with the $DTDA/UO_2{^{2+}}$ molar ratio to complete extraction with a 4 fold excess of DTDA. The high selectivity of the DTDA for uranium was ascertained by competition experiments with other cations. The bound uranyl ion was quantitatively liberated within few minutes from the organic phase by treatment with an aqueous 1M HCI solution and DTDA was recovered very satisfactorily from the organic phase. The values of the over-all formation constants of the complex between uranyl ion and DTDA were determined to be the following : ${\beta}_1=1.20{\times}10^5\;,\;{\beta}_2=1.01{\times}10^8$.

      • KCI우수등재

        한국 국가관료의 의식

        박종민,김병원 ( Chong - Min Park,Byoung - Wan Kim ) 한국행정학회 1991 韓國行政學報 Vol.25 No.4

        본 논문은 중간관료의 태도분석을 통해 한국 국가관료제의 모습을 조명하려고 하였다. 첫째, 한국 국가관료는 정책결정에 대한 의회의 영향을 거의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결정에 대한 의회의 영향은 전문성, 대표되는 이익의 조직화, 대체적 통로의 유무 및 정책성격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분석결과는 행정의 이익대변기능이 이익의 조직화 및 명확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행정관료의 역할이 조직된 이익의 보호 및 조정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 국가관료는 정책에 대한 장관의 영향을 직업관료의 영향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장관의 정책적 영향의 궁극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나, 직업관료의 정책결정역할의 증대라는 보편적 경향과 일치한다. 셋째, 한국 국가관료는 부처의 대상집단의 경계가 비교적 분명할 수록 이익집단을, 덜 분명할 수록 일반국민을 정책초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한국 국가관료는 행정역할로 정책결정자 및 수탁자 역할을 비교적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의 이익갈등 중재자 흑은 이익대변 조장자(facilitator)의 역할도 부분적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한국 국가관료는 의회나 행정수반의 정치적 피임명자의 정책적 영향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나, 국민을 위해 혹은 행정수혜대상인 고객집단을 위해 봉사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국민대표기관에 대한 책무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나 국민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을 강조하며, 국가의 발전방향을 설정하고 비젼을 제시하는 정책결정역할과 국민과 국익을 보호하는 수탁자가 그들의 역할이라고 믿고 있다.

      • KCI등재

        해안 환경림 조성용 식물개발을 위한 위성류의 증식과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박종민,김용길,Park Chong-Min,Kim Yong-Kil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3

        Tamarix chinenis blooms twice a you and its flowers, branches and leaves make the adjustment of tree shape. Propagation method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 chinensis were studied in order to ascertain its potential use as one of vegetation resources for coast forestation and landscaping.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1 or 2 you old hard wood cuttings showed higher rooting ratio than greenwood or semi hard wood cuttings. One to one mixture between vermiculite and pearlite appeared to be the best for bed soil, and sea sand and silt(loess) mixture was the next. Sea sand and granitic soil followed after. In terms of seasonal differences, spring cuttings showed the best rooting ratio, root number, and root length. Fall cuttings followed after spring cutting, and summer cuttings showed worst results regarding rooting ratio, root number, and root length. The best rooting promotion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were observed with sea sand bed soi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wth regulators in terms of rooting and shoot growth. Low concentration below 100 ppm of growth regulators was enough for rooting promotion effect. In general, the number and mean length of roots and shoots were showed the excellent records in the sites with high rooting ratio. The study result strongly showed that T. chinensis can be considered as a suitable tree for coast forestation and landscaping because of its easy cutting propagation and rapid growth on saline lands.

      • SCOPUSKCI등재

        크라운 에테르첨가에 의한 할로겐화 알킬암모늄의 전기화학적 분석

        박종민,박명용,Chong Min Park,Myung Yong Park 대한화학회 1989 대한화학회지 Vol.33 No.1

        알킬암모늄의 propylene carbonate용액에 크라운 에테르를 첨가하였을때와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펄스차이 전압전류법과 순환 전압전류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환원전극 반응은 준가역적 반응임을 알 수 있었고, 환원파의 봉우리가 겹침으로 개별정량이 어려운 이들 이성체 혼합물에 크라운 에테르를 첨가하여 착물화 능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혼합물의 각성분을 개별 정량하였다. 즉 $EtNH^{+}_{3}Cl^-$(1.6mM)와 $Me_2NH^{+}_{2}Cl^-$혼합물에 18-crown-6(20mM)를 첨가하였을 때 $Me_2NH^{+}_{2}Cl^-$의 농도가 $EtNH^{+}_{3}Cl^-$의 $\frac{1}{2}$이하(0.8mM이하)에서 펄스차이 전압전류법에 의한 봉우리의 분리가 가능하였고, 착물화에 의한 봉우리의 음전위 이동은 $EtNH^{+}_{3}Cl^-$가 0.53V, $Me_2NH^{+}_{2}Cl^-$가 0.37V이었다. 이때, $Me_2NH^{+}_{2}Cl^-$의 농도범위 0.6∼0.8mM에서 봉우리 전류(봉우리 전위, -1.06V vs. Ag/AgCl에서 $Me_2NH^{+}_{2}$${\cdot}$CR의 환원)와 농도 사이에 직선적 비례관계가 성립하여, $EtNH^{+}_{3}Cl^-$의 공존하에서 $Me_2NH^{+}_{2}Cl^-$를 정량할 수 있었다. 또한 순환전압전류법에서 $EtNH^{+}_{3}Cl^-$의 농도가 $Me_2NH^{+}_{2}Cl^-$(0.5mM)보다 과량인 경우, $EtNH^{+}_{3}Cl^-$ 농도범위 0.5∼2.5mM에서 $Me_2NH^{+}_{2}Cl^-$의 공존하에서 $EtNH^{+}_{3}Cl^-$의 정량이 가능하였다. Voltammetric behavior of alkylammonium ion was studied in the absence and in the presence of crown ether in propylene carbonate as solvent. The peak potentials and the peak currents, their dependency on the concentrations, the reversibility of the electrode reactions are described. In the presence of crown ether chemical reaction might be preceeded before the electron-transfer process, the peak potential for the reduction shifts at the negative direction as the concentration of crown ether to the electrolyte solution increases. The addition of crown ether(20mM 18CR6)to the electrolyte solution made it possible to determine voltammetrically the dialkylammonium ions($Me_2NH^{+}_{2};O.6{\sim}0.8mM$) in the presence of the monoalkylammonium ions ($EtNH^{+}_{3} ;1.6mM$) and the monoalkylammonium ions ($EtNH^{+}_{3} ; 0.5{\sim}2.5mM$) in the presence of the dialkylammonium ions($Me_2NH^{+}_{2};0.5mM$)

      • KCI등재

        덕유산 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서병수(Byung Soo Seo),김세천(Sei Cheon Kim),박종민(Chong Min Park),이창헌(Chang Heon Lee),이규완(Kyu Wan Lee) 한국산림과학회 199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3 No.3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r`s impacts on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t Ticket Office - Paekryunsa (Temple) Hyangcho^kpong - Dongyupryung - Chilyun Fall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Four trails were sampled in the study area according to the amount of users. Then the user`s impacts on trail were measured at each trail. The Ticket Office-Paekryunsa trail was the mo;;t used district and followed at Paekryunsa-Hyangcho^kpong trail, Hyangcho^kpong-Dongyupryung trail in descending order. Dongyupryung-Chilyun Fall trail is not used by people because of rest rotation system. The entire width of trail was greater at the more heavily used trail. Maximum depth, cross-sectional area loss, and surface texture and roughness of trail were the highest at Paekryunsa-Hyangcho^kpong trail. Soil hardness, soil acidity, soil moisture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and exchange canon were influenced by trampling. Soil hardness, soil acidity and exchange canon increased in tramples soil, but content of soil moisture and organic matter decreased therei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users and the slope of trail. Bared lands about 2.000㎡ were appeared by trampling and camping around Hyangcho^kpong. Effects of carrying of rest rotation system for National Park were partly recognized at Dongyupryung-Chilyun Fall trail.

      • KCI우수등재

        정치항의의 사회심리적 조건

        박종민(Chong-Min Park) 한국정치학회 1995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1

        본 논문은 정치항의의 사회심리적 조건인 정치적 무력감과 항의 잠재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정치항의의 성격과 의미를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정치항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방법론적 문제를 극복하려는 하나의 시도로 항의 잠재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둘째, 정치적 불만과 정치적 무력감의 제차원을 구분하여 이들과 항의 잠재성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항의 잠재성에 대한 사회심리적 조건의 상대적 중요성을 회귀 분석하여 정치항의의 성격과 의미를 논의한다. 분석결과는 첫째, 체제지지, 정부신뢰 및 정책평가 모두 항의 잠재성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다변수 분석에 따르면 항의 잠재성이 정치제도에 대한 불만보다 집권정부에 대한 불만에 다소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정치적 요구와 지지가 선거제도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직접 행동을 통해서도 투입된다는 것을 보여 주며 따라서 정치항의의 의미를 기본적 정치제도에 대한 신뢰의 상실로만 해석하는데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직접 행동은 정치제도에 대한 불신없이도 집권정부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정치항의가 예외적인 참여양식이 아니라 일상적인 정치참여의 레파토리에 들어 있음을 함축한다. 둘째, 정치적 효능성은 내재적 효능성과 외재적 효능성으로 구분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내재적 효능성과 외재적 효능성은 항의 잠재성과의 관계가 다르며 특히 관계의 방향은 반대로 나타났다. 또한 외재적 효능성과 내제적 효능성이 충돌할 때 즉 높은 내재적 효능성과 낮은 외재적 효능성이 결합될 때 항의 잠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발견은 민주적 정치제도의 공고화가 이루어져도 ‘비관습적’ 정치항의는 기본적 정치제도에 대한 신뢰나 믿음의 상실없이도 집권정부와 정부정책에 대한 불만과 불신으로 자극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민주적 정치과정의 발전이 이루어져도 개인적인 정치적 자신감과 정부 반응성에 대한 인식의 괴리가 대결적인 정치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함축한다. 민주화된 정치체제에서도 정치항의와 같은 직접 행동은 정치참여의 예외적 혹은 ‘비관습적’ 양식이 아니라 주요한 레파토리의 하나일 가능성이 큰 것이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