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축전 활동 경험에 대한 부스 운영 및 참여 관람 학생의 인식

        박은지,이선경,김기상,김찬종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7

        ‘Science festival’ is an annual public event featuring a variety of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 workshops and live demonstrations of experiments by student presenters.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udent presenters’ and student visitors’ perceptions of the science festival. The subjects were 323 student presenters who managed laboratory booths and 495 student visitors who attended the festival for six day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modified items of ones both from Ahn & Park (2009) and Lee et al. (2010). Data included students’ participation backgrounds,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 to participation types and school levels, and student presenters’ perceptions of scientific inquiry that they had through the preparation of the festival. Findings suggested that student presenters perceived their experience of preparing for the festival as meaningful scientific inquiry process such as asking and solving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communitybased programs as an informal science education were presented. 매년 개최되는 ‘과학 축전’에서는 부스 운영 학생들의 안내 하에 다양한 과학 및 기술관련 워크숍, 시범 실험등의 활동이 제공된다. 본 연구는 과학축전에 참여한 부스 운영 학생들과 참여 관람 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6일 동안 축전에 참여한 부스 운영 학생 323명과 참여 관람 학생 495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안광호와 박일우(2009) 및 이선경 외(2010)의 설문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되었다. 연구 결과로서, 학생들의 참여배경, 참여 유형별 및 학교급별 교육적 경험에 대한 인식, 부스 운영 학생들의 과학탐구 경험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과학축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부스 운영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탐구 과정에 참여한것을 의미 있는 경험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비형식 과학교육으로서 공동체 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Effects of herbal medicine (Danggwijagyaksan) for treating climacteric syndrome with a blood-deficiency-dominant patter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trial

        박은지,Seon-Eun Baek,김미경,Ae-Ran Kim,Hyo-ju Park,Ojin Kwon,이준환,유정은 한국한의학연구원 2021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Vol.10 No.3

        Background: Danggwijagyaksan (DJS) has been one of the most widely used herbal medicines for gynecological disorders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Several clinical studies about DJS have shown improvement in menopausal symptoms. This pilo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safety and feasibility of DJS for treating climacteric syndrome with a blood-deficiency-dominant pattern. Methods: This wa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trial. A group of 45-to 60-year-old women with climacteric syndrome were registered for the trial. The participants received treatment over a 4-week period and were then followed for 4 weeks. The primary outcome measure was the mean change in the Menopause Rating Scale (MRS). Secondary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WHOQOL-BREF), the Blood-Deficiency Scoring System (BDSS), lean body mass, and serum hormone levels, including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and estradiol (E2) levels. Results: The MRS and BDSS scor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bu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The WHOQOL-BREF score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serum hormone levels or lean body mass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vents, and the laboratory tes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The recruitment rate, completion rate and medication adherence rate were over 90% in both groups, indicating high feasibility. Conclusions: DJS showed clinical effectiveness in the treatment of climacteric syndrome with a blood-deficiency-dominant pattern. Additionally, DJS was shown to be safe and feasible for a large-scale study to confirm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Trial registration: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 https://cris.nih.go.kr): KCT0002387.

      • KCI등재

        마티 디옵의 작가주의에 나타난 탈구된 정체성과 ‘난민-되기’-<아틀란티크>(2009), <천개의 태양>(2013), <애틀란틱스>(2019)를 중심으로

        박은지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3 지중해지역연구 Vol.25 No.1

        Mati Diop is regarded as the first black female director to win the Grand Prix by entering the competition section of the Cannes Film Festival with her first feature Atlantics in 2019. Although she grew up in France since she was born to a Senegalese father and a French mother, her intimacy with Senegal’s culture and history take up a major part of the roots of her identity. Indeed the bi-cultural inheritance has been deeply embedded in her filmography.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fact that his uncle is Djibril Diop Mambéty, the Senegalese director who set a milestone in the country’s as well as Sub-Saharan African film history. Diop’s mid-lenghth film A Thousand Suns (Mille Soleils, 2013) was at once a homage and a documentary dedicated to Mambéty’s masterpiece Touki Bouki. Diop’ films convey the contemporary ontology of the refugee crisis or ‘becoming-refegee’, the spontaneous phenomenon of being a refugee. Refugees who choose or dream of a transatlantic journey from Africa to Europe at their own peril dwells in her films. Their life and death feature heavily in the way her films’ narrative and style revolve around the realism as much as the fantasy of the deceased. This article discusses the dislocated identity and the problematics of becoming-refugees represented in Atlantiques (2009), A Thousand Suns, and Atlantics. The three films share in common an intimate exploration of the refugee experiences resulting from the dislocated status that is split between the identity one is born into and the ideals of the destination that one desires. By taking up an African view on what it means to become comtemporary refugees, Diop’s resolutely auteuristic filmmaking presents a new prospect of possibility where an ethical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n ability to stare at the refugees’ trauma coexists with the memories of those who passed away as well as those who live on.

      • KCI등재

        선천 결손치의 빈도에 관한 역학적 연구 : An Epidemiologic Study

        박은지,이신재,공기두 대한보건협회 2001 대한보건연구 Vol.27 No.3

        Congenitally missing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dental defects identified during systematic dental screening of groups of patients attending a community dental health servi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sexes as well as pattern of malocclusion. For our study, 925 Korean samples (mean age 12.9; male 348, female 577) who visited dental office, were examined with an orthopantomographic radiograph. The prevalence of congenital missing teeth was found to be 12.7%. About sixty percent were missing only one tooth while 3.2% were missing five or more teeth. More teeth were missing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The most frequently missing teeth were the lower second premolars, representing 32% of the congenitally missing teeth. Though more teeth were congenitally missing in females than in male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Differences among Angle's classification were found and this suggests an effects of congenital missing on the maloc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0.22 congenital missing tooth per each person on the average. Therefore, this findings largely confirm that dental radiographic screening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congenital missing teeth is important to maintain oral health and esthetics in the early childhood.

      • KCI등재후보

        1990년대 프랑스 작가영화에 나타나는 탈중심주의와 가족 구조 :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를 중심으로

        박은지 영상예술학회 2011 영상예술연구 Vol.19 No.-

        1990년대 프랑스 작가주의 영화의 가장 큰 특징은 파리의 헤게모니에 대항하는 변방의 작가주의와 이들의 영화에 나타난 가족, 특히 아버지의 부재였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영화들은 모두 1990년대 정치사회적 문제들을 사적인 가족의 영역으로 들여와 다루고자 했고, 특히 아버지가 부재하는 가족을 통해 타자성의 이슈들을 언급하고자 했던 작품들이다. 이러한 집단적 성향은 죈느 시네마(Jeune Cinéma), 혹은 ‘젊은 영화들’로 통칭되었으며, ‘젊은 영화들’의 이러한 주제의식을 표명하는 형식미학으로서 뉴 리얼리즘이 논의되게 되었다. 정치적 접근이 아닌 타자에 대한 윤리적 접근을 요구하는 사실주의 방법론으로서의 뉴 리얼리즘은 무엇보다 작가주체의 정체성을 타자성에 대한 근접의 개념으로 수정하여 바라보게 만들었다. 한편 1990년대 영화 속에 나타나는 아버지의 부재의 문제는 예술영화에서의 흐름이 기존의 파리중심의 부권주의적인 성향에서 변방을 향해 탈중심화되는 과정과 중첩되면서 나타났고, 1990년대에 특히 논쟁적이었던 두 가지 문제, 즉 국가사회적 보장의 부재와 타자에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조명될 수 있었다. 상드린 베이세의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는 이러한 1990년대 작가주의와 뉴 리얼리즘의 성향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영화이다. 뉴 리얼리즘적 방법론을 통해 타자와 가족이라는 소재를 다룸에 있어 아버지의 부재에 관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문제의식, 즉 어떠한 아버지가 필요한가의 질문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The auteurism in the French cinema of the 1990s shared an interest in challenging the Parisian hegemony that has predominated French screens, resulting in the significant number of films made in regions outside the capital. These filmmakers came to be known as the Jeune Cinéma Français, or the Young French Cinema, often characterised by their films focusing on families where fathers were notably absent. This essay engages with the Jeune Cinéma français as a distinctive cinematic trend in two different ways. Firstly, the 'new realism' as aesthetics adopted by the 'Jeune' auteurs will b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way how the contemporary socio-political issues were filtered through, above all, the frame of the family. It was also possible to discern a tendency in the ‘new realism’ towards the personal over the social and the political, and its correlation with how this changed the way auteurism has been perceived, from the artistic author of his/her own film to a vision of proximity towards the other. Secondly, the absence of the father prevalent in the Jeune Cinéma films reflected on the decentralisation of French art-house cinema, from the 'paternalistic' and Paris-centred tradition to the marginalised politics of the 1990s. In this vein, the demise of the paternal represents the failing State, questioning the contested issues in contemporary France such as social welfare and public tolerance regarding the 'othered', peripheral identities. The final section examines Sandrine Veysset's Y aura-t-il de la neige à noël?(Will it snow for Christmas?) as a case study in developing the points made above. The film starts with a fatherless family unit but ends in the phantasmal 'return of the father'. How this leads the film's adoption of the auteurist ideal of the 1990s and its aesthetics of new realism to a new dimension is further articulated, particularly, in conjunction with the propositions for new paternal models.

      • KCI등재

        영화의 리터러시와 부산의 예술영화관: 1990년대를 중심으로

        박은지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9 아시아영화연구 Vol.12 No.1

        한국 영화사에서 영화 리터러시를 수행하는 공적 장치는 전통적으로 부재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적인 기억들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리터러시를 가르치고 배양하기 위한 적절한 노력이 존재하여 왔음이 제대로 조명될 필요가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부산이라는 지역, 1990년대라는 시간을 중심으로 다루기로 한다. 이 시간대를 보는 두 가지 시선이 전제된다. 첫째, 영화 리터러시와 예술영화관 사이의 관계이다. 영화 리터러시의 공교육 실시는 최근의 일이며, 예술영화 상영공간이 영화의 향유, 배움, 소통이 일어나는 현장으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둘째, 영화 리터러시가 학교나 학생 연계가 아니라 시민 대상으로 발아되었던 측면이다. 관객의 사회화와 시민적 자각이라는 흐름이 대안적 상영관에서 시네마테크 건립으로 이어지는 줄기 속에 발견된다. 이 글은 부산의 1990년대 중심으로 영화의 리터러시와 예술영화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화 리터러시의 개념과 논의를 정리하고, 예술영화관과 영화 리터러시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 지역의 예술영화 상영공간이 근래에 지나온 역사를 서술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영화 리터러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부산 예술영화관이 어떠한 흐름을 형성하는지, 그리고 영화 리터러시의 장으로 바라보는 부산 예술영화관들의 존재가 무슨 의미를 지니는지가 글이 다루고자 하는 바가 될 것이다.

      •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I)

        박은지,김계현,이온길,Park, Eun-Ji,Kim, Kye-Hyun,Lee, On-Kil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0 No.2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하천정비와 하도정비는 하천 흐름의 특성을 간과한 채 일방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로 하천의 인공화는 계속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및 하도의 물리, 화학,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며, 그 동안 인위적인 하천교란의 요인과 하천교란에 따른 영향, 즉 하상변동, 외래종 식생 침입, 생태서식처 변화 등의 정량적 평가 기술의 수립은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정량적 평가 기술의 수립을 위해서는 하천 교란의 요인 및 그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하천의 변화 양상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 및 GIS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주요 하천의 원인별 교란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하천교란 조사기술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댐 하류의 하천교란 및 적응현장 시범지역을 선정한 후 대상 지역의 항공사진을 GIS화하여 하천교란 실태를 분석하는 데에 필요한 저수로와 제방 및 기타 자료를 shape 파일 형태로 생성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의 사행도 및 유로 변동 현황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특정 지점이나 시점을 기준으로 일어난 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하천의 변화 양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 하천의 사행도 및 저수의 구체적인 제반 수치를 제시할 수 있었다. 주요 결과로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대상 하천의 사행화 현황과 저수로의 이동 및 변화 양상을 규명해 낼 수 있었다. 그 결과 댐 하류지역에서 하도안정문제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하도안정문제에 관한 대책 수립이 가능하리라 보며, 이를 위해서는 하천 교란 조사기술 개발에 대한 추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Current re-arrangement of river and waterway has been made uniformly igno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ivers thereby aggravating artificial river restructuring. Subsequently this severely affects the rivers'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henomenon. On the contrary, quantitative techniques to evaluate the aftermath of artificial river disturbance such as uprising of river bed, intrusion of foreign fisheries, and changes of ecological habitats are not available. To establish such quantitative techniques, analysis of river changes to evaluate the major causes of the river disturbance and its impacts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proposing a method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to investigate river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major factors for the domestic rivers using airphotos and GIS techniques. For the analysis, the study area o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was selected and airphotos of the area were converted into GIS format to generate 'shape' files to secure waterways, river banks, and auxiliary data required for analyzing river disturbance. Trend analysis of the waterway sinuosity and changes of the flow path leaded to detailed verification of the river disturbance for specific location or time period, and this enabled to relatively accurate numbers representing sinuosity of the waterway and relevant changes. As the major results from the analysis, the relocation of waterways and the level of river sinuosity were quantified and used to verify the impacts on the stability of the waterways especially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enabled effective establishing proper measures against waterways' unstability, and emphasized subsequent researches for identifying better alternatives against river disturbances.

      • KCI등재

        트렌드 큐레이션의 관점에서 본 전시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리노베이션 이후)을 중심으로

        박은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3

        Mankind has made continuous efforts in many aspect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of the future. Among those, the trend prediction is a core of the category for the future study, and its importance has been increasing every day in respect that it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overall industries as well as the quality of human life. Culture and arts are the subjects to lead the influence of such trends, and also the objects to be consumed in the form of the contents, and based on the recent related discussions,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in the omnidirectional cultural arts field through the prediction of the future trend is coming up as a major issue. As such, cultural arts, trends, and contents are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each other, and the concept of ‘Curation’ is rapidly emerging as an algorithm to select and lead such relationship establishment, and it is tried to note that the innovative discussion is being formed through out the overall industries including the management field as well as in the field of arts in which this terminology has been dominantly used. Accordingly, this study, by analyzing the exhibition contents cases in the commemoration of the reopening of the calligraphy museum of The Seoul Arts Center that has undergone the broadscale renov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trend curation, has the value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the realization of the visitor development strategy related to marketing and the collaboration with the related companies as well as the exhibition contents planning utilizing the future tren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each characteristic element had a close relation with key words and core trends like ‘creative paradox’, ‘getting out of stereotype’, ‘glocalization’, ‘fusion of multiple values’, ‘viral marketing’, and ‘cresumer marketing’ and they were categorized again into the top mega trends so called ‘creative storytelling’, ‘cross-genre getting out of boundary’ and ‘diversification of marketing strategy’.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has identified the process of grafting the curated trend to the development of the omnidirectional cultural arts contents and conceptualized it as ‘A work of finding contact points with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omnidirectional cultural arts contents which are to plan, develop, and do the marketing in the future by curating plural trends which exist now or expected to exist in the near future and connecting them together’ and such definitions expand to the contents development field of the multidirectional cultural arts field such as modern arts, design, exhibition, fashion, performance arts, film, and music, etc., and its concrete application seems possible. This is the issue that is sure to be recognized by the content creators in the omnidirectional cultural arts field at this point in time when preparing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utilization of small data as well as big data, and by understanding the creation of a new trend including the future prediction a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related industries connected to this, it is expected that in-dept discussion will be actively made in various aspects afterward. 인류는 미래 예측에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중에서도 트렌드 예측은 미래 연구(Future Study)의 핵심 범주로, 인간의 삶의 질은 물론 산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문화와 예술은 이러한 트렌드의 영향을 선도하는 주체이자 콘텐츠의 형태로 소비되는 객체로서, 최근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미래 트렌드 예측을 통해 전방위 문화예술 분야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렇듯 문화예술, 트렌드, 콘텐츠는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는데, 이러한 관계 정립을 선별, 주도해 가는 알고리즘으로서 ‘큐레이션(Curation)’ 개념이 급부상, 본 용어가 지배적으로 사용되어 온 미술 분야 뿐 아니라 경영 분야를 포함한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 담론을 형성해가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대적인 리노베이션을 거친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재개관 기념 전시 콘텐츠 사례들의 특징적 요소들을 추출, 트렌드 큐레이션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추후 트렌드를 활용한 전시 콘텐츠 기획은 물론 관람객 개발과 연관된 마케팅 전략 수립, 관련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 구현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분석 결과 각각의 특징적 요소들은 창조적 역설, 고정관념의 탈피, 글로컬라이제이션, 다층적 가치의 융합, 바이럴 마케팅, 크리슈머 마케팅 등의 키워드 및 핵심 트렌드와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다시 독창적 스토리텔링, 탈 장르․탈 경계, 마케팅 전략 다변화로 명명되는 상위 메가 트렌드로 각각 범주화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큐레이션 된 트렌드를 전방위 문화예술 분야 콘텐츠 개발에 접목시키는 프로세스를 규명, 이를 ‘현존하는, 혹은 가까운 미래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복수의 트렌드들을 효과적으로 큐레이션하여 추후 기획, 개발, 마케팅 하고자 하는 전방위 문화예술 콘텐츠의 특징적 요소들과의 접합점을 찾아 연계시키는 일’이라 개념화하였으며, 이러한 정의는 현대미술, 디자인, 전시, 패션, 공연예술, 영화, 음악 등 다방면의 문화예술 분야의 콘텐츠 개발 영역으로 확장되어 구체적인 적용이 가능해질 것이라 사료된다. 이는 빅데이터는 물론 스몰데이터 활용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 혁명을 준비하는 현 시점에 전방위 문화예술 분야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반드시 인지해야 할 사안으로, 미래 예측을 포함한 새로운 트렌드의 창출 및 트렌드 큐레이터로서의 관람객 개발, 관련된 산업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추후 다양한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