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제해결에서 생산적 실패의 경험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박유나 ( Yuna Park ),박만구 ( Mangoo Par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初等 數學敎育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에서 생산적 실패를 한 경험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생산적 실패를 경험할 수 있도록 수업 과정을 고안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 은평구 Y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반은 생산적 실패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비교반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로 수학 개념이해 검사, 다양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검사,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각각 t-검정하였으며, 학생들의 토의과정 및 활동지, 면담 등을 활용하여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성향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적 실패를 경험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에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실패를 통해 수학 개념을 스스로 구성하면서 보다 명확한 이해를 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보인다. 심층적인 추후 연구로 수학교과서 개발 및 수업 방법 개선에서 이를 활용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s of productive failures on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groups. The treatment group was applied with the productive mathematics failure program,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with traditional mathematics lessons. In this study,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students were tested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ies, students` various strategie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gram.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discussion processes of the students, students`s activity worksheet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selected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use of productive failures showed students` enhancement in problem solving abilities. Second,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productive failures positively affected the changes in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s. Along with the more detailed research on productive mathematical failures, the research results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SCOPUSKCI등재
      • 치유를 위한 도심 속 소규모 미술관계획 연구

        박유라(Park, Yu-Ra),이진미(Lee, Jin-Mi)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3 No.2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lanning direction of small art museums in urban environments for healing, targeting contemporary individuals who are experiencing mental stress due to the rapid paradigm shifts in society.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and a case analysis. Through case studies, the analysis of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reveals that in the physical environmen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planning and relaxation spaces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vertical openness is essential, and in the social environment, spaces for local community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re needed.

      • KCI등재

        한식당의 서비스품질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박유라(Park Yu Ra) 한국외식경영학회 2001 외식경영연구 Vol.4 No.2

        The market of eating out shows rapid increase at home. Eating out in the past took a serious view quantity and quality of food, but recently it tends to take priority of the value as services of restaurant and mood along with quantity or taste of f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direction of services that middle price's Korean-style restaurants have to offer to customer by analyzing paid price, offered services and customer satisfaction's correlativity after gasping what is the attribute that customers wan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alue of price that must pay to offered services does action to important elements that have a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s quality in Korean style restaurants, moreover various services offered by employees of Korean style restaurants were proved by having an influence on customers building up the value. Whereas the Western-style restaurants heighten customers satisfaction through the systematic education by introducing educational service programs, the middle prices Korean-style restaurants are lack of these programs. Therefore they may have to provide customers with discriminated services. From now, the discriminated service strategy for customers have to be presented for enjoying and feeling food in eating out. This study says that Korean restaurants have to offer more various menus and services through price, valre and customers satisfaction's correlativity. Also this kind of study may have to be continued forward for them.

      • KCI등재

        패션 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태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20~30대 큐레이션 서비스 경험자를 중심으로-

        박유나 ( Park You Na ),김칠순 ( Kim Chil 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패션 분야에서도 큐레이션 서비스가 매우 필요한 실정임을 인지하고, SNS를 가장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20-30대의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에 관한 이용 상황을 알아보고, 패션 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군집별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 태도 차이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여 선정하였으며, 176명의 자료를 설문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Cronbach`s α), 군집분석, 독립표본 t-검정,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이용 상황에 관해 조사한 결과 “SNS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패션 관심도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패션에 관심이 많을수록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생기거나 패션제품을 더 잘 알게 된다고 응답하였다. 취향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 태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서브스크립션형", “소셜커머스오픈마켓형”, “SNS형”, 그리고 “전문가 추천형”의 4가지의 독립 변수가 패션상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하고 의미 있는 독립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패션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군집별 차이가 있는 만큼 그에 맞는 전문적인 패션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력이 있는 만큼 소비자들의 패션 제품 선택 시 영향을 줄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 전문 인력 양성의 양적 확대 및 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다양한 큐레이션 콘텐츠 및 전문 인력 개발에 따른 큐레이션 마케팅은 기업 SNS 마케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여 진다. Recognizing that a curation service is very necessary for the field of fash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tuation of the use of Fashion Curation Service (FCS) towards 20s to 30s aged active SNS users, and examines a difference in consumers` attitude toward FCS by clusters according to fashion interest and taste as well as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marketing through an analysis of an impact of on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As subjects of the study,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data on 176 persons were analyzed. With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ronbach`s α), cluste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itu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use of FCS, it was noted that they preferred "SNS type" the mo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s` attitude toward FCS according to the fashion interest.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the fashion more responded that they come to have an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or know them better through FC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s` attitude toward FCS according to the taste. Finally, we found significant important variables to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which can be accounted for by the four differen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FCS, "social commerce open market type", "SNS type", and "expert recommendation". Considering that each group`s attitude toward FCS differs depending on fashion interest and taste, we can draw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fessional fashion contents to fit consumer`s taste and interest because consumers` attitude toward FCS has an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We also suggest that we should educate more professionals fashion curation that may affect the consumers` selection of fashion products and qualitatively substantiate that. It is judged that the curation marketing according to these various curation contents and professional workforce development woul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enterprise SNS marketing.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사차원 교육과정 개발과정 연구

        박유신(Park, Yoo Shi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수업에서의 교사차원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원리 및 모델을 논하고 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실질적 주체인 예술강사가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이자 개발자로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원리와 구체적 방안에 대한 제안이다.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일반적인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살펴보고, 이들 원리를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함으로서, 문화예술교육에서의 교사차원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과 그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따라서 실제로 만화·애니메이션 교육과정이 구성되는 절차를 살펴보고 사례를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구성 모형은 최근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백워드 교육과정을 적용, 보완하여 학습 목표와 평가의 계획을 강조하고, 이를 중심으로 환류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맥락에 대한 이해, 학습목표의 확인, 평가계획, 학습활동 계획의 순차적인 과정을 거쳐서 작성된 교육과정들은 학습자의 삶과 문화, 교사 자신의 맥락, 수업 환경과 다양한 교육적 맥락 등을 고려하는 동시에,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교육과정을 통해 어떤 목표에 도달해야 할 지 명확하게 인지하고, 평가 결과를 위해 수업 과정 중에 해야 할 일을 명시함으로서, 전 교육과정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교육 목표에 대한 달성을 돕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체계화 및 교육과정 개발 역량의 강화는 문화예술교육의 저변 확대 및 자유학기제 등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와 예술강사, 교사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bility to develop curriculums is a crucial factor in evaluating the expertise of a teacher who teaches culture & art education. Establishing a one-year plan for classes is an effort to create a well-designed curriculum for the year and also to foresee the big picture of classes in the corresponding year. A curriculum should not be composed of merely educational content or a series of knowledge and skills. It should be well-designed, based on principles of a coherent plan. This study examines organizational principles on which common curriculums are based on and looks at how a curriculum can be designed, especially for cartoon & animation classes, as part of Culture & Art education, and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In the process of forming such a curriculum, these steps should be followed: considering educational standards for cartoon animation classes; determining the learning experience, organizing the learning experience; and, lastly, evaluating the level of learning. In additio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class on cartoon animation should be formulated. This study suggests actual examples of an effective annual curriculum for cartoon animation classes based on all the factors presented above.

      • 멀티모델 기반의 개인화된 메일 필터링 시스템

        박유나(Youna Park),장환(Hwan Chang),이복주(Bogju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Ⅰ

        전자우편은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필수적인 정보교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 신속성과 용이성을 이용하여 많은 기업과 업체들이 손쉽게 광고 수단으로 이용하여 이로 인하여 개인과 기업에 큰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필요한 스팸메일을 선정하여 분류하는 데 개인과 조직에 많은 정신적,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학습 방법인 SVM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스팸메일을 분류하고자 한다. 실험결과는 스팸메일 분류에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줄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스팸메일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해 내는데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 KCI등재

        단면 형상 영상을 이용한 3차원 모델 검색

        박유신(Yu-Sin Park),서융호(Yung-Ho Seo),윤용인(Yong-In Yun),권준식(Jun-Sik Kwon),최종수(Jong-Soo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5 No.6

        멀티미디어 기술과 콘텐츠의 발달로 3차원 데이터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3차원 모델의 형상 기반 검색을 하기위해 모델의 특징을 추출하는 단면 형상 영상 방법을 제안한다. 3차원 모델의 특징 기술자는 모델에 대한 위치, 회전, 크기에 불변해야 하므로 모델을 정규화 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정규화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주성분 분석을 통해 각 축의 방향 성분을 찾고, 각 축에 직교하는 n 개의 평면을 생성한다. 이 평면은 각 축의 방향과 직교 성분을 갖으며 단면 형상 영상을 구하는데 사용된다. 단면 형상 영상은 3차원 모델과 각 평면이 교차해서 생기는 2차원 평면 영상이다. 제안한 3차원 모델의 특징 기술자는 단면 형상 영상의 중심점과 2차원 형상(shape)을 이루는 직선까지의 유클리디안 거리(distance)값들의 분포도이다. 검색 성능 평가는 MPEG-7에서 제시한 표준 평가 방법인 표준화된 수정 검색 순위의 평균(ANMRR)을 이용하였고,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실험 결과를 통해 입증하였다. Applications of 3D data increase with advancement of multimedia technique and contents, and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to retrieve for 3D data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using the sliced shape which extracts efficiently a feature description for shape-based retrieval of 3D models. Since the feature descriptor of 3D model should be invariant to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e for its model, normalization of models requires for 3D model retrieval system. This paper us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method in order to normalize all the models. The proposed algorithm finds a direction of each axis by the PCA and creates orthogonal n planes in each axis. These planes are orthogonalized with each axis, and are used to extract sliced shape image. Sliced shape image is the 2D plane created by intersecting at between 3D model and these planes. The proposed feature descriptor is a distribution of Euclidean distances from center point of sliced shape image to its outline. A performed evaluation is used for average of the normalized modified retrieval rank(ANMRR) with a standard evaluation from MPEG-7. In our experimental results, we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n efficient 3D model retrieval.

      • KCI등재

        웹툰으로 상상하기

        박유신(Park,Yoo-shin),임세희(Yim, Se-hee),정현선(Jeong, Hyeon-S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21세기의 학교교육담론에서 융합적인 교육과정과 미디어 리터러시는 교육개혁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미디어의 변화에 따른 지식의 형성 및 전달 방식의 변화가 지식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교과중심의 교육을 점차 융합교육의 형태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에 기반한 콘텐츠를 중심으로한 초학문적 교육과정들이 학교교육의 현장에서 자생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은 주목할 만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진행한 일련의 융합교육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웹툰을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 프로젝트가 창의적 체험 활동(동아리)을 중심으로 한 교과 교육과정의 융합, 학교와 학교 밖 공간을 넘나드는 학습공간의 융합, 대중문화, 예술, 현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상상적 세계의 융합을 (어떻게) 이루어 내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였으며, 연구자들은 학교 방문을 통한 주요행사의 참여 관찰, 교사 인터뷰, 수업 자료 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사례를 내러티브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주제(텍스트)로서의 웹툰은 자연스럽게 초학문적 교육과정을 이끌어내며, 학교 안과 학교 밖의 공간을 넘나드는 학생 참여 중심의 학습 공간을 형성하였고, 학생의 삶과 문화예술을 연결하는 교육을 만들어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 독자의 목소리를 매개하고 중재하여 교육과정으로 구성하는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발견한 것 또한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이다.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s have impacted on the ways in which knowledges are formed and transmitted and therefore the relevance of the traditional school subjects have been increasingly questioned. In this context, the discourses of the reformation of the 21st century schooling have focused on convergenc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ractices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focusing on digital media content are grown voluntarily in schools.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a convergence educational project that was initiated by a middle school teacher who designed and implemented a unique program of the transdisciplinary class of Korean focusing on reading webtoons with the linked program of a ‘Book Club Activity’ that was a part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t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cuments,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a main event and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webtoon-focused convergence education project might have achieved meaningful connections between a subject-focused learning and a creative experiences-focused learning; between in and out of school learning spaces; between the real and imaginative worlds; and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 popular culture and the arts. The main finding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ebtoo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can be an effective medium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Secondly, the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webtoons can create meaningful learning spaces in and out of school environments in terms of creating more learner-participatory learning culture as well as connecting students’ everyday lives, popular arts and their learning about culture. Another important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e rediscovery of the teacher’s role in terms of mediating the voices of students as reader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