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식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신영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use motivation about TV food program, and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endency of eating alone, interest for food and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ve factors of motivation were extracted: ASMR pleasure, visual pleasure, emotional vicarious gratification, information seeking and time-spending. The interest for food effects all of five motivation. Tendency of eating alone had no effect on use motivation.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visual pleasure, the more preference for mukbang entertainment show, TV food drama, internet mukbang.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ASMR pleasure, the more preference for TV food drama and internet mukbang. As for high tendency of eating alone, preference for cookbang show and TV food drama was high. People with low empathy showed the preference for TV food drama. 먹방과 쿡방의 유행과 함께 음식 관련 콘텐츠가 다양한 포맷으로 변화하면서 인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용자의 개인적 성향 변인이 콘텐츠의 이용 동기와 선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혼밥 경향, 음식 관심도, 공감 능력을 개인적 성향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음식 콘텐츠는 속성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선호도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음식 콘텐츠 특징이 반영된 동기로 식도락적 감각 쾌락과 음식 보는 쾌감 동기가 추출되었다. 둘째, 음식 콘텐츠 이용 동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성향 변인은 음식 관심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 동기에 따라 음식 콘텐츠 선호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혼밥 경향, 공감 능력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콘텐츠 유형별로 탐색해 본 결과가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목표 수용자 층에 맞는 경쟁력 있는 요소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펄프 섬유의 형태학적 특성에 따른 국부적 폐쇄공간 내 지필 균일성 변화 관찰

        박신영,신종현,현진호,윤혜정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손상된 지류문화재 복원 등에 있어 국부적인 공간 내 섬유 분포의 균일성은 섬유의 특성이나 전단 등 외부 조건의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질이 각기 다른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 기계 펄프, 닥섬유 4가지 펄프 섬유의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부적 폐쇄공간 내에서 지필의 균일성이 어떻게 영향 받는지를 관찰하였다. 섬유장은 닥섬유, 침엽수 펄프, 활엽수 펄프, 기계 펄프 순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펄프 현탁액의 침전농도 및 crowding factor를 통하여 계산한 응집농도에 따르면 섬유장이 길수록 섬유간 응집이 더 잘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국부적 폐쇄공간을 가진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펄프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시트를 제조한 뒤 지합을 관찰한 결과 섬유장이 짧고 농도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균일한 시트가 만들어졌다. 진동 부여 시에는 대체로 지필이 더 균일해지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일부 조건에서는 강한 진동이 오히려 플록 형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KCI등재

        임상용 3T MR기기를 이용한 중, 소동물의 뇌 실험의 유용성: 3개의 Surface Coil을 이용한 연구

        박신영,정미리,조병만,김강수,김학진 대한영상의학회 201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7 No.5

        Purpose: To evaluate which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a clinical 3T MR system using surface coils less than 15.4 cm in diameter are best in rabbit and rat models, an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clinical 3T MR machine in the study of morphologic brain in a preclinical study using medium- and small-sized animal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Brain T2-weighted image (T2WI), T1-weighted image (T1WI), diffusion-weighted image (DWI), and susceptibility-weighted image (SWI) were obtained, and MR angiography was performed with a clinical 3T MR system using a rat, a cat, and a knee coil (5, 12, and 15.4 cm in diameter, respectively) in normal rabbits (n = 3) and using a rat and a cat coil in normal rats (n = 3). MR images were assessed qualitatively by consensus of two neuroradiologists and quantitatively using signal-to-noise ratio (SNR)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alysis of variance or t-test) in terms of which images obtained with different coils were the best. Brain T2WI, DWI, SWI, and Gd-T1WI MR images were obtained 2 hours after embolization with triolein emulsion infused into the carotid artery in rabbits (n = 3) and rats (n = 3) using the coil which showed highest SNR in the above study, and the images were assessed in terms of abnormal findings and image quality. Results: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the rat coil revealed better image quality and higher SNR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ith other coils,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in rabbits. In rats,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the rat coil were better than those obtained with the cat coil in qualitative analysis; however, they reveal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xcept for DWI in quantitative analysis. MR images obtained after triolein emulsion showed T2 hyperintensity and lesional contrast enhancement on Gd-T1WI without evidence of infarction or hemorrhage. Conclusion: The clinical 3T MR system using surface coils for animals enabled us to obtain good quality brain images in medium- and small-sized animal models in the present study. Brain MR images seem to be feasible for the morphologic evaluation in animal models. 목적: 임상용 3T MR 시스템에서 15.4 cm 이하 직경의 표면 코일을 이용하였을 때 토끼와 쥐의 뇌 자기공명(MR) 영상을 분석하여 어떤 표면 코일을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임상용 3T MR 시스템을 이용한 중, 소동물의 전임상 연구에서, 임상장비를 이용한 중, 소동물 MR 영상의 뇌형태 분석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대상과 방법: 임상용 3T MR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상군의 토끼 3 마리(n = 3)에서 쥐용, 고양이용 및 무릎용 표면 코일(각각 직경 5, 12, 15.4 cm)을 사용하고 정상군의 쥐 3 마리(n = 3)에서 쥐용과 고양이용 표면 코일을 사용하여 뇌의 T2-weighted image, T1-weighted image, diffusion-weighted image (이하 DWI), susceptibility-weighted image (이하 SWI) 및 MR angiography image를 얻었다. 각 실험동물의 뇌 MR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성적 분석 방법과 정량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정성적 분석을 위하여 2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합의 판정으로 영상의 질을 판단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신호 대 잡음 비(signal-to-noise ratio) 측정을 통한 분산 분석 방법 혹은 t-test 방법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가장 높은 신호 대 잡음 비를 보인 표면 코일을 이용하여, 트리올레인 유상액을 토끼(n = 3)와 쥐(n = 3)의 경동맥에 주입하여 뇌 지방색전증을 유발하고 2시간 후 T2, DWI, SWI 및 Gd-T1를 얻었으며 병변 소견과 그 영상의 질에 관해 분석하였다. 결과: 토끼의 경우에는 쥐용 코일로 얻은 영상이 다른 두 표면 코일의 경우에 비해 정성적 분석에서 더 나은 영상을 보였고 정량적 분석에서보다 더 높은 신호 대 잡음 비를 보였으며 통계적 의미가 있었다(분산분석, p < 0.05). 쥐의 경우, 정성분석에서는 쥐용 코일로 얻은 영상이 고양이용 코일로 얻은 영상보다는 우수하였으나 각 영상의 신호 대 잡음 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통계적 차이는 DWI에서만 나타났다. 트리올레인 유상액으로 유발한 뇌 지방색전증은 T2 고신호강도와 조영증강을 보였으나 뇌경색이나 출혈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중, 소동물을 대상으로 한 이번 실험에서 임상용 3T MR 시스템과 동물용 표면 코일로도 충분히 좋은 뇌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그 MR 영상은 동물모델의 뇌 질환의 형태적 연구에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