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암에서의 수술 전 선행항암화학요법(in the View of Pros)

        박숙련,Park, Sook Ryu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2

        현재 국소 위암에서 유일한 완치적 치료법은 수술적 절제이나 적절한 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상당 수의 환자들이 재발을 경험한다. 이에 다학제적 병용 치료 전략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어왔고 특히 최근에는 암의 병기 감소, 근치적 절제률의 증가, 미세 원격전이의 조기 치료 등의 가능성을 가지는 수술 전 선행항암화학요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의 3상 임상 연구인 MAGIC trial은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이, 수술 단독에 비해, 병리학적 병기를 감소시키며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를 감소시켜 생존율을 향상시킴을 보고하였고 또 다른 3상 연구인 FNLCC 94012/FFCD 9703 trial 역시,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이 근치적 절제율과 생존율을 향상시킴을 보고하였다. 두 연구는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것이지만 수술 후 보조항암화학요법의 불량한 치료 순응도에 비추어 볼 때 치료성적의 향상은 주로 수술 전 선행항암화학요법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연구들이 이루어진 서양과 달리 광범위(D2) 림프절 절제술을 표준적 치료로 시행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이들 연구결과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한국에서 이루어진, 국소 진행성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몇 가지 임상 연구 역시 선행항암화학요법을 통한 근치적 절제률의 증가 및 병기 감소 효과를 시사하였다. 이러한 고무적인 치료 성적에 근거하여 향후 수술 전 또는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이 국소 위암에서 표준적인 치료 전략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지 결론을 짓기 위해서는 대규모 임상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gastric cancer, the only potentially curative treatment is surgery that attempts to achieve curative (R0) resection. However, despite the use of curative resection, a recurrence develops in a high percentage of patients, especially in cases of serosa and/or lymph node involvement.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resectable advanced gastric cancer, neoadjuvant chemotherapy has been evalua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and a few phase III trials. The results of these trials have confirmed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is approach with no apparent increase in surgical complications. Recently, the findings of a large phase III randomized trial (MAGIC trial) have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 use of surgery alone, perioperative chemotherapy, using both a neoadjuvant and adjuvant strategy, decreased the number of T and N stage cancers and improved survival. The results of another recent phase III trial (FNLCC 94012/FFCD 9703) also showed that compared to the use of surgery alone, perioperative chemotherapy improved the R0 resection rate and survival. In both trials, the improved outcomes may be attributed to the us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because of poor compliance with adjuvant chemotherapy. These results cannot be directly translated 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due to differences in surgical techniques and outcomes. However, the findings of a few small phase II and III trials performed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in Korea have also suggested that neoadjuvant chemotherapy would result in the improvement of the R0 resection rate and down-staging of the disease. More effective chemotherapy regimens are needed in future large randomized trials to determine the subset of patients that will benefit from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benefit.

      • 위암의 단일결절 간전이에 대한 고주파 열치료(Radiofrequency)

        류근원,김민주,박숙련,이종석,이준호,김영우,Ryu, Keun-Won,Kim, Min-Ju,Park, Sook-Ryun,Lee, Jong-Seok,Lee, Jun-Ho,Kim, Young-Woo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1

        위암의 간전이는 수술적 절제, 전신적 항암약물요법, 간동 맥색전술 등의 여러 가지 치료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예후가 매우 불량하여 아직까지 표준치료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간암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주파열치료(Radiofrequency)가 위암의 간전이 치료방법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문헌에 보고된 예는 많지 않아 정확한 치료성적을 판단할 수는 없으나 기존의 수술적 방법에 비교하여 유사한 성적을 보임으로써 위암의 간전이 치료의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고주파 열치료의 치료성적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하여 위암의 간전이 환자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 prognosis of gastric cancer with hepatic metastasis is very poor, even though several treatment modalities exist, such as surgical resection. Indeed, a standard therapy has not been established in such patients. Recently, attempts were made to treat hepatic metastasis of gastric cancer with radiofrequency (RF), which was originally used in primary or metastatic liver cancer. RF has been reported to show similar survival compared to surgical resection and is emerging as a new treatment modality even though it is still not conclusive with respect to efficacy and safety due to the paucity of reports. A prospective study is warran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F in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with hepatic metastasi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odalities.

      • KCI등재후보

        진행성 노인 위암에 대한 항암요법

        김미정 ( Mi Jung Kim ),박숙련 ( Sook Ryun Park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5

        Cancer, including gastric cancer, occurs predominantly in older patients. Although there is no single i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 chemotherapy regimen for unresectable or metastatic gastric cancer (MGC), doublet combination chemotherapy using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regarded as the reference treatment. However, most of the clinical trials that were based on the current treatment guidelines were performed in patients < 70 years of age with good performance status (PS). Therefor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se guidelines to elderly individuals is limited. The available data suggest that older patients with good PS are able to tolerate the same chemotherapy regimens as younger patients with MGC, and that they achieve a similar efficacy. In contrast, some studies showed that the same efficacy was achieved at the expense of increased toxicity in older patient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atient selection. Many studies have actively investigated elderly patients with MGC, including randomized phase 3 studies comparing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doublets with fluoropyrimidine alone. Although an advanced age alone should not preclude the use of effective chemotherapy in MGC, more data regarding age-specific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guide optimal treatment in elderly patients. (Korean J Med 2014;87:521-529)

      • 입원중인 암환자에 대한 통증관리의 적절성평가 - 한 3차 의료기관 내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

        김국회,장원일,조요한,최인실,박숙련,이상윤,김지현,김도연,이세훈,김태유,방영주,김노경,허대석,Kim, Kuk-Hyoe,Jang, Won-Il,Joh, Yo-Han,Choi, In-Sil,Park, Sook-Ryun,Lee, Sang-Yoon,Kim, Jee-Hyun,Kim, Do-Yeun,Lee, Se-Hoon,Kim, Tae-You,Bang, Yung-J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암환자에서 가장 흔히 겪게 되고, 심각한 증세는 통증이다. 진행성 암인 경우 $60{\sim}90%$의 환자들이 통증으로 고상하게 되며, WHO통계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4백만 정도의 암환자들이 통증으로 고생하고 있다. 통증관리원칙에 따르면 환자 $70{\sim}90%$이상에서 적절한 통증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60{\sim}70%$의 암환자들이 적절한 통증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1) 암환자의 통증 빈도 2) 환자와 담당전공의에서 통증인지의 일치 여부 3) 암환자의 통증치료에서 진통제 투약의 적절성 등을 조사함으로써, 암환자 통증에 대한 이해와 통증관리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내과병동에 입원한 암환자들의 통증 빈도, 담당전공의와 환자의 통증인지 일치도, 통증 관리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 환자와 담당전공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진료기록을 평가하였다. 결과 : 7일 이상 내과병동에 입원해 있는 암환자 59명중 43명(62.8%)이 통증을 호소하였다. 전공의들은 담당 암환자들의 통증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고 있었으며, 진통제 투약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도 상당수 있었고, 환자의 통증이 심해질수록 통증에 대한 치료가 더 불충분한 경향이 있었다. 결론 : 암환자에 있어서 통증은 아직까지 낮게 평가되고 있으며 통증 치료는 여전히 불충분하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통증의 평가 및 치료에 대한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ain is the most serious symptom that cancer patients experience. About $60{\sim}90%$ of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four million patients worldwide, according to the WHO statistics, are reported to suffer from cancer pain. Although about $70{\sim}80%$ of the pain could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ain control principles, to our regret, only $30{\sim}40%$ are managed appropriately. This research was aimed to (1) investigates the prevalence of pain among cancer patients, (2) compare patients' perception of pain with physician's recognition and (3) evaluate appropriateness of the doctor's prescription of analgesic.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ith advanced or terminal cancers admitted at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at least 7 days were enrolled. A questionnaire for the patients and the physicians in charge were given and the answers were compared for each other. We also examined their medical records and the physician's orders. Results : Total 59 patients were enrolled. Among them, 43 pati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27 patients (62.8%) suffered hem cancer pain. The survey also showed that physicians underestimated the severity of pain, overlooked frequently analgesic prescription principle, and that as the patients' pain became severe, the less adequate was pain managements. Conclusion : For cancer patients, pain was frequently overlooked, and treatment still inadequate. Based on this evidence, it seemed that more active practice and education about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ancer pain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재발성 및 전이성 대장암에 대한 Irinotecan, 고용량 Leucovorin, 5-Fluorouracil 복합 화학요법의 치료결과

        김지현 ( Jee Hyun Kim ),김도연 ( Do Yeun Kim ),이세훈 ( Se Hoon Lee ),박숙련 ( Sook Ryun Park ),이상윤 ( Sang Yoon Lee ),최인실 ( In Sil Choi ),김태유 ( Tae You Kim ),허대석 ( Dae Seog Heo ),방영주 ( Yung Jue Bang ),김노경 ( Noe K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4 No.4

        목적 : Irinotecan은 진행성 대장암에서 5-FU, leuco-vorin과 복합하여 1차 요법으로 사용하였을 때, 약 30~40%의 반응율을 보이는 효과적인 약제이다. 아직 irinotecan과 5-FU/leucovorin을 어떤 용량과 방법으로 복합하는 것이 우월한지는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저자들은 진행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irinotecan/LV5FU2 복합 화학요법의 효과와 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6월 1일부 Background : Irinotecan is an active agent in colorectal cancer, producing 30~40% response rates when combined with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s first line therapy, however, the best combination schedules are not determ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