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uricular Keloids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박소영,오정훈,Guen-Ho Lee,Jung Mee Park,Sang-Gyun Jin 대한청각학회 2012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Vol.16 No.3

        Background and Objectives: Differences in morphology of auricular keloids possibly contribute to distinct results of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auricular keloids according to the modified Chang-Park classification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treatment including recurrence rate between the subgroups. Subjects and Methods: Clinical data of 15 patients of auricular keloi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keloid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odified Chang-Park classification.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recurrence, and the duration required for the recurrence were compared. Results: Eight out of 15 patients (53.3%) were single sessile type (type II), followed by 4 patients of pedunculated type, 1 patient of multiple sessile type, 1 patient of buried type, and 1 patient of mixed type, respectively. Recurrent keloids after previous surgeries were noted in 7 out of 15 patients and most of them (6 of 7, 85.7%) were sessile type.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t our department showed recurrence. Conclusions: The classification of auricular keloids according to morphologic patterns can assist surgeons in choosing the appropriate management.

      • KCI등재

        습지생태공원의 갈대확장 조절 기술 개발

        성기준 ( Ki June Sung ),이용민 ( Yong Min Yee ),정용현 ( Yong Hyun Chung ),박소영 ( So Young Park )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3 No.5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expansion of reed at a wetland ecological park due to their aggressive reproduction capability. Therefore, proper topography and wetland hydrology should be provid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a wetland ecological park.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at the initial stages to prevent reed expansion.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newly constructed wetland ecological park for 15 months to develop methods to control the reproduction and expansion of Phragmites communis. A complete shading method had the best effect on the prevention of reed reoccurrence among other methods. Complete removal of the rhizomes controlled the reed growth to a greater extent than cutting the aboveground shoots. Water-level manipulation was also better than a half-shading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reed reprodu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il properties and edge effects can influence the reed growth. Cutting only the aboveground shoots facilitates the growth of re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ed control should be implemented repeatedly and an alteration in the wetland topography and hydrology may be more effective in the long term. Combination of treatments such as water-level management with shading should be considered to control the growth of reed. Adoptive management for created or restored ecosystem might be considered for accomplishment of its original purpose.

      • KCI등재

        타액 연구의 최신 지견과 임상 응용

        박소영,이은경,신종현,정태성,Soyoung Park,Eungyung Lee,Jonghyun Shin,Taesung Jeo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2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50 No.1

        Function of salivary gland and saliva composition can be an indicator of individual's health status. Recently, saliva has been thought to have a high potential for usage in the biomedical field to diagnose, evaluate, and prevent systemic health due to the technological advances in analyzing and detecting small elements such as immunological and metabolic products, viruses, microorganisms, hormones in saliva. As a diagnostic specimen, saliva has some useful advantages compared to serum. Because of simple non-invasive method, saliva sampling is quite comfort for the patient, and it doesn't require specialists to collect samples.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is also low. For this reason, proteins, genetic materials, and various biomarkers in saliva are actively being utilized on studying stress, microbiomics, genetics, and epigenetics. For the research on collecting big data related to systemic health, the needs on biobank has been focused. Regeneration of salivary gland based on tissue engineering has been also on advancement.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issues to be solved, such as the standardization of sample collection, storage, and usage. This review focuses on the recent trends in the field of saliva research and highlight the future perspectives in biomedical and other applications.

      • KCI등재

        문장성분의 다양한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구문분석 모델

        박소영,김수홍,임해창,Park So-Young,Kim Soo-Hong,Rim Hae-Cha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6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구문 중의성 해결을 위해 문장성분의 구문자질, 기능자질, 내용자질, 크기자질을 활용하는 확률적 한국어 구문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구문분석 모델은 한국어의 부분자유어순과 생략현상을 잘 처리할 수 있도록 문법규칙을 이진형식으로 제한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구문분석 모델의 성능을 각 자질조합별로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자질의 조합이 서로 유사한 특징을 갖는 자질의 조합보다 구문중의성 해결에 더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단일자질인 기능자질이 내용자질과 크기자질의 조합보다 성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babilistic Korean parsing model using a syntactic feature, a functional feature, a content feature, and a site feature of a syntactic object for effective syntactic disambiguation. It restricts grammar rules to binary-oriented form to deal with Korean properties such as variable word order and constituent ellipsis. In experiments, we analyze the parsing performance of each feature combin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features is preferred to the combination of similar features. Besides, it is remarkable that the function feature is more useful than the combination of the content feature and the size feature.

      • KCI등재

        Fructan 생성 S. salivarius의 인공치태 억제효과

        박소영,박은혜,오종석,양규호,Park, So-Yung,Park, Eun-Hae,Oh, Jong-Suk,Yang, Kyu-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구강 질환으로 중요한 치아우식증은 구강 세균 중 Streptococcus mutans가 주 원인균이며, 치면에 부착, 증식 및 산생성 과정을 거쳐 치아우식을 유발한다. Streptococcus salivarius는 사람의 구강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구강으로 부터 분리된 9주의 S. salivarius의 특성과 S. mutans 및 Streptococcus oralis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S. mutans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204.9 mg이었으나, S. mutans와 분리된 S. salivarius의 혼합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1.9 mg에서 20.6 mg으로 S. mutans 단독 배양시와 큰 차이가 있었다(p<0.05). 배양 후 생균수 검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M17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분리균주의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평균 117.1 mg인데 반해, 5% 자당이 함유된 M17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분리균주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는 평균 47.7 mg이었다. 3. 분리된 S. salivarius의 배양 상청액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한 결과, 분리균주가 형성한 중합체는 프럭탄 (fructan)이었다. 4.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프럭탄의 일종인 inulin과 levan 모두 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프럭탄을 생성하는 S. salivarius는 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였다. S. mutans is the most important causative bacteria of dental caries among the oral bacteria. S. salivarius is a normal inhabitant in the human oral cavity. Nine strains of S. salivarius in this study were isolated from the oral cavities of children and identified, and their effect on S. mutans and S. oralis was studied. 1. The mean weight of produced artificial plaque on the wires in the beaker was 204.9 mg in the culture of S. mutans only, whereas being reduced to 1.9 mg through 20.6mg in the combined culture of S. mutans and each S. salivarius isolate (p<0.05). The viable cell didn'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fter culturing. 2. When S. mutans was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culture supernatant of each S. salivarius isolate in M17 broth, the mean weight of produced artificial plaque was 117.1 mg on the wires, whereas being 47.7 mg in the media containing culture supernatant of each S. salivarius isolate in M17 broth containing 5% sucrose. 3. The polymer produced by S. salivarius isolates was on the thin layer chromatography. 4. Inulin and levan didn't inhibit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by S. mutans in the beaker tes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ructan-producing S. salivarius isolates inhibited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by S. mutans.

      • 비디오 콘텐츠의 부가 기능 및 서비스제공 동향

        박소영,이상윤,김선중,Park, S.Y.,Lee, S.Y.,Kim, S.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1 No.4

        TV나 인터넷을 통한 비디오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소비자가 콘텐츠를 선택하면 해당 콘텐츠를 재생하여 콘텐츠를 소비하는 정형화된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부가가치를 부여하고자 하고 있다. 이는 비디오 콘텐츠 제공업자의 수익 확대에 대한 필요성과 비디오 콘텐츠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에서 한 발 나아가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욕구가 맞물려 그 유인이 확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비디오 콘텐츠에 부가 가치를 부여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비디오 콘텐츠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비디오 콘텐츠 추천(recommendation), 콘텐츠 관련 부가정보 제공 등을 중심으로 비디오 콘텐츠에 부가 기능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의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로부터 분리한 2종류의 Serpin 유전자 분석

        박소영,정지은,황희주,왕태훈,박은비,김용민,이준상,한연수,양승하,이용석,Park, So Young,Jeong, Ji Eun,Hwang, Hee Ju,Wang, Tae Hun,Park, Eun Bi,Kim, Yong Min,Lee, Jun-Sang,Han, Yeon Soo,Yang, Seung-Ha,Lee, Yong Seok 한국패류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0 No.2

        동양달팽이의 EST 에서 serpin 유전자는 2가지 type이 추정되었다. Ns-serpin type 1 (partial) 서열의 코딩 영역은 총 819 bp 이었으며, 27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Ns-serpin type 2 (partial) 의 코딩영역은 총 555 bp, 18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Laminarin 처리 전에는 Ns-serpin type 1이 2개 발현되었으며 처리 후에는 Ns-serpin type 2가 1개 발현되고 있었다. BLAST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도가 높은 17개의 참고 서열과 동양달팽이의 Ns-serpin type 1, 2의 아미노산 서열을 MEGA6 프로그램의 clustalW 엔진을 이용하여 multiple sequence alignment 를 수행한 결과, 척색동물의 포유강 9종, 조류강 1종, 양서강 1종과 척색동물인 해초강, 절지동물의 거미강 1종과 곤충강 1종이 같은 군으로 묶였으며, 연체동물문의 경우 동양달팽이의 두 가지 type 을 포함한 복족강 4종이 같은 군으로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Psipre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예측한 2D 구조도 multiple align 및 phylodendrogram 결과와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T를 통해 밝힌 동양달팽이의 두 가지 type의 Ns-serpin 서열은 Aplysia californica 등의 근연종들의 서열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척추동물에서의 선천성 면역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두 종류의 serpin 유전자 서열을 동양달팽이 EST 결과에서 발굴 하였으며, 동양달팽이에서도 여러 가지 type의 serpin 이 존재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Serpins are a group of protein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erine and other type of proteases, and have been identified in many kinds of organisms from invertebrates to vertebrates. Serpins are known to regulate the proteolytic cascades of the innate immune pathways in addition to their roles in blood coagulation, angiogenesis, fibrinolysis, inflammation and tumor suppression. In this study, we have isolated two partial serpin gene fragments from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of Nesiohelix samarangae. Dotplot analysis indicates that they are of two different types, Ns-serpin type 1 and Ns-serpin type 2. Ns-serpin type 1 has 819 bp coding region (272 amino acids), whereas Ns-serpin type 2 has 555 bp coding region (185 amino acid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shows that the identified serpins have high similarities to their counterparts in the California see slug, Aplysia californica. Yet, the precise biological and immunological roles of these Ns-serpins remain to be further investigated using RNA interference and other molecular techniques.

      • KCI등재

        웹문서를 이용한 단계별 한국어 미등록어 인식 모델

        박소영,Park, So-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9

        Recently, real documents such as newspapers as well as blogs include newly coined words such as "Wikipedia". However, most previous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ies cannot deal with these newly coined words because they construct their dictionaries based on materials acquired during system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o automatically recognize Korean unknown words excluded from the previously constructed dictionary.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an unknown noun recognition phase based on full text analysis, an unknown verb recognition phase based on web document frequency, and an unknown noun recognition phase based on web document frequency. The proposed model can recognize accurately the unknown words occurred once and again in a document by the full text analysis. Also, the proposed model can recognize broadly the unknown words occurred once in the document by using web documents. Besides, the proposed model fan recognize both a Korean unknown verb, which syllables can be changed from its base form by inflection, and a Korean unknown noun, which syllables are not changed in any eojeol.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model improves precision 1.01% and recall 8.50% as compared with a previous model. 신문이나 블로그와 같은 실제 문서에서는 위키백과(Wikipedia)와 같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보 처리 기술은 시스템 개발 당시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전을 구축하므로, 이러한 새로운 단어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한국어 미등록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전문분석 기반 미등록명사 인식 단계, 웹 출현빈도 기반 미등록용언 인식 단계, 웹 출현빈도 기반 미등록명사 인식 단계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모델은 문서에서 여러 번 나타난 미등록어에 대해 전문분석을 통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안하는 모델은 문서에 한번 나타난 미등록어에 대해서도 웹문서를 바탕으로 광범위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모델은 기본형이 어절에 그대로 나타나는 미등록명사뿐만 아니라 기본형이 변형하여 나타날 수 있는 미등록용언도 인식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 미등록어 인식방법에 비해 제안하는 접근방법은 정확률 1.01%와 재현을 8.50%를 개선하였다.

      • 한국.중국.일본의 스팸메일 대응 동향

        박소영,이병남,박웅,강신각,Park, S.Y.,Lee, B.N.,Park, W.,Kang, S.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9 No.5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스팸메일이 세계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으며, 특히 한국, 중국, 일본에서의 스팸 발생건수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엄청난 양의 스팸메일로 인하여 처리시간, 처리비용 발생 등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저지하기 위하여 각 국에서는 법적, 제도적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스팸메일의 증가에 적극적으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한국과 중국 및 일본의 스팸메일 수신/발신 현황 및 이에 대응하기 위한 법률 제정 등의 스팸메일 대응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