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수종 식물의 Plasmin 저해 활성 검색

        박미현,정현주,배기환,김영호,Park, Mi-Hyoun,Jung, Hyun-Ju,Bae, Ki-Hwan,Kim, Young-Ho 한국생약학회 1998 생약학회지 Vol.29 No.3

        Binding of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to its cellular receptor accelerate production of plasmin from plasminogen on the cell surface. Plasmin can digest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and basement membranes through activating certain proMMPs, which is related to the invasiveness to the cells. Plasmin also acts the regulation of blood coagulation and relates closely to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stroke and coronary occlusion. Therefore, its inhibitors may be useful as antimetastatic agents and to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To search for plasmin inhibitors from plant resources, we screened plasmin inhibitory activities with 76 methanol extract of plant species. Among them, three plant samples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70%) and thirteen plant samples showed more than 50% inhibitory activities of plasmin. Their inhibitory activities were not directly related with uPA inhibitory activites and cell viability.

      • KCI등재

        중학생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특징과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박미현,차정호,김인환,Park, Mi-Hyun,Cha, Jeong-Ho,Kim, In-Whan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3

        이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 중학교 2학년 165명이 작성한 자유 탐구 보고서를 주제 영역, 탐구 가설, 그리고 탐구 변인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여름방학이 시작되기 전 2시간 동안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면서 탐구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 주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여름방학 동안 학생들은 주제 선정, 실험설계 및 수행,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 보고서 작성 등의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였다. 여름방학 후, 결과보고서를 제출받으면서 학생들이 주제 선정에서 활용한 자료의 출처, 가설의 정의, 그리고 탐구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보고서의 주제 영역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생활 영역으로, 보고서에 기술된 가설은 예측 가설과 설명 가설로 분류하였고 가설의 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비교하였다. 탐구 주제, 탐구 가설, 실험 설계 부분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하여 범주형, 연속형, 불확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 영역 중 화학 영역의 보고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생물과 생활 영역이 많았다. 전체 165개 보고서 중 130개에 탐구 가설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예측 가설에 해당하였다. 보고서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한 결과, 탐구 주제와 탐구 가설에 기술된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은 불확실 유형이 많았다. 그러나 실험 설계 부분에 기술된 변인들은 불확실 유형이 많이 줄어들었고, 범주형 변인이 증가하였다. 탐구 수행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질문에 학생들은 주제 선정 단계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In this study, open inquiry reports of 165 eighth graders in Daegu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area, the types of inquiry hypothesis, and the types of inquiry variables. Before summer vacation, students learned about inquiry process and explored their own inquiry topic for two class hours. During summer vacation, students performed open inquiry including problem selection, designing and performing experiment,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writing report. After the vacation, students submitted their reports, and answered to additional survey regarding the source of inquiry idea, the definition of hypothesis, and the most difficult step of inquiry process. As a result, chemistry was the most dominant content area of the reports and biology and life science were the next. 130 out of 165 reports included inquiry hypotheses, and most of them were predictive hypotheses. In many report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could not be identified because of their ambiguity. However, inquiry variables described in experimental design, which were mostly categorical variables, were clearer than those described in inquiry subject and inquiry hypothesis. The most difficult step of inquiry process for students was to generate an idea for open inquiry.

      • KCI등재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고유명에 가점된 성점의 형태적 연구

        박미현(Mi-Hyun Park) 일본어문학회 2022 일본어문학 Vol.99 No.-

        本稿は『日本書紀』古写本の韓国固有名に注記されている声点の形態を調査し、資料として提示し、考察したものである。特に韓国固有名の多くを網羅する兼右本を対象に圏点と線点の特徴を論じた。従来、線点は分註と萬葉仮名に、圏点は音読漢字と訓読漢字に注記されていると論じられているが、韓国系固有名に注記されている線点は分註より本文に多く見えており、日本固有名の線点の注記傾向と同様ではな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また音読と推定される韓国系官職名にも線点が注記されており、線点は萬葉仮名に注記されるという兼右本の傾向と必ずしも同じであるとは言えない。 なお、圏点と線点が混在する固有名を分析した結果、線点が優位に使用される用例および中立的に使用される用例が多数見えるため、線点の用例は萬葉仮名として注記された可能性があると言える。 以上のように、韓国系固有名は声点の形態においても日本固有名と同様ではないため、利用に注意が必要である。 In this paper, I analyse the forms of accent marks on Korean proper nouns in an old manuscripts of the Nihonshoki.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properties of ‘kenten’ marks (small circle marks) and ‘senten’ marks (line marks) in the Ken’u manuscript, which contains a number of Korean proper nouns. Previously, it has been argued that senten marks were used for ‘warichu’ and man’yogana, whereas kenten marks were used for kanji (both in on’yomi and kun’yomi). The senten marks used for Korean proper nouns, however, appear in the text, rather than in warichu, which indicates that their use is not the same as the use of senten marks for Japanese proper nouns. Also, senten marks are used even for Korean title names, which are presumed to be read in ondoku. This practice seems to be different from the tendency in the Ken’u manuscript that senten marks are used for man’yogana. Further, the analysis of proper nouns with kenten or senten marks reveals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senten marks are used dominantly or neutrall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haracters with senten marks might have been treated as man’yogana. Since Korean proper nouns differ from Japanese proper nouns in terms of the forms of senten marks, they need to be used precautiously.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을 위한 언택트 시대 원격교육 사례 연구 :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박미현 ( Park Mi Hyun ),허균 ( Heo Gy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2

        코로나 19로 인해 급격하게 진행된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 또는 동기 학생들의 현존감을 느끼지 못하고 이로 인해 상호작용 및 소통에 대한 불만 및 학습 의욕 저하를 느끼기 쉽다. 이에 본 연구는 원격교육 사례를 연구하고 언택트 시대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교육 서비스 방향 및 개선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이에 2020년도 1학기 P대학 소프트웨어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수업 만족도와 수업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수업에서 수업 만족도는 학생-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교육 활동 피드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될 때, 그리고 과제 및 수행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졌을 때 온라인 교육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원격교육에서는 또래 집단보다 교수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대면 교육에서의 교수자의 역할을 세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차후 더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와 교육영역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인성적 측면과 지성적 측면이 모두 충족되는 원격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In a rapidly advanced non-face-to-face training situation due to Corona 19, learners are not likely to feel the presence of professors or students of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and dissatisfaction with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n response, this study studies distance education cas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services centered on the role of professors in the Uncontact-era. Therefore, the factors influencing overall class satisfaction and class understanding for non-face-to-face classes were investigated for students who took software education courses at P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Studies have shown that class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professor interaction and educational activity feedback. In other words, the overall satisfaction of online education was high when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was smooth and given adequate feedback on tasks and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in remote education, we were more dependent on professors than on peer groups. Thus, the role of professors in non-face-to-face education was presented in three aspects. It is hop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subjects of more diverse classes and areas of education, so that remote education that meets both the personality and intellectual aspects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간호사의 자가통증조절기 사용과 관리에 대한 지식 및 적용실태

        박미현(Park, Mi-Hyun),김태임(Kim, Tae-Im) 한국간호교육학회 2018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use and management (PCA-UM) among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82 nurses employed by four general hospitals having more than 300 beds in Daejeon.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4 to November 20,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ults: The average nurses’ knowledge about PCA-UM was 14.8 points out of 20. PCA-UM knowledg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nurses with experience in PCA education (t=3.55, p<.001). Most participants (91.2%) wanted to get PCA training, 86.8% of them provided PCA education to patients after surgery. Approximately 62% of participants regularly evaluate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patients with PCA.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PCA-UM among nurses were insufficient to provide safe and effective pain management to postoperative patients with PCA.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PCA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to provide safe and effective pain management to postoperative patients with PCA.

      • 평생교육 제도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

        박미현(Park, Mi hyun),이미예(Lee, Mi ye),허균(Heo, Gyu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1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1 No.10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has different aspects and systems depending on th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educational ideologies of each country. Since many variables affect lifelong education, the diversity of institutions is even greater. Nevertheless,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country"s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Korea"s lifelong educatio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in Korea in the futu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Japa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clear direction for th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Lifelong learning should proceed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social equity and integration. Low social groups such as the disabled, the poor, and low-wage workers, women, middle-aged, and non-advancing.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as many people as possible rece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benefits, including unemployed youth and those with basic skills. Second, it is an active connection between th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and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Proximity to lifelong edu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setting educational cont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use loca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acilities a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Third, it is 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recognition system that can socially recognize lifelong learning. In the case of Korea, bachelor"s degrees are currently awarded under the credit bank system, but in Japan, courses up to graduate schools are also possible. At the same time as expanding th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introducing a system that can link the qualifications or completion contents acquired by high school dropouts and non-entering scholars with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 KCI등재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에 대한 비교·분석

        박미현(Park, Mi Hyun),조민식(Cho, Minsh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대하여 공학적 도구의 활용 측면에 있어서 두 나라 교과서의 유사점과 차이점, 강점과 약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공학적 도구 활용 대상의 내용 영역, 공학적 도구의 종류, 활용 형태였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 교과서는 공학적 도구가 활용된 부분의 절반 이상이 기하 및 확률과 통계 영역이었던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는 기하 영역에서 공학적 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비슷한 비중의 활용 정도를 보였지만 수와 연산, 문자와 식의 대수 영역에서는 우리나라에 비하여 싱가포르에서 특히 공학적 도구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또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각 내용 영역별로 한 종류의 공학적 도구가 특화되어 나타났으나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여러 가지 공학적 도구가 각 내용 영역에 골고루 분포되어있는 모습을 보였다. 두 나라 모두 공학적 도구를 보조도구형의 형태로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나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골고루 활용한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써 공학적 도구를 집중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 수준 향상 및 향후 스마트 환경에서의 수학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well a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use of technology for Korean and Singaporean middle school math textbooks. We classify technologies used in textbooks into 3 domains - content area, type of technology, and style of utilization. Our research indicates that more than half of the parts in which technology is used in Korean textbooks are in the areas of geometry, probability and statistics. On the other hand, in Singaporean textbooks most use of technology appeared in the areas of geometry and others are distributed evenly for the rest part. Compared to Korean textbooks, Singaporean textbooks show active use of technology in the algebra of numbers and arithmetic, letters and expressions. Moreover, particular type of technology is specialized for each content area except for letters and expression areas in Korean textbooks. On the contrary, in Singaporean textbooks, various types of technology are used in each content area. Although technologies are mostly used in both countries in the form of auxiliary tools, they are used eve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for solving problems in Korean textbooks, while mainly for the purpose of solving problems in Singaporean textbooks.

      • KCI등재

        교류분석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조기 유학생 동반 어머니들의 부모효능감 및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미현(Mi Hyun Park),이영호(Young Ho Lee),김윤주(Yoon Joo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조기 유학생 동반 어머니들의 부모효능감 및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 비아주 광역 밴쿠버 내 코퀴틀람시에 소재한 R 영어학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300여명 중 부모교육을 신청한 20명을 무선 표집 하였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류분석 관련 실증적 연구들을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TA철학 3가지, 부모교육에서 추구하는 3P, Clarke의 발달단계의 이해와 긍정적 지지어의 사용, 스트로크 이론, 스트로크 경제와 스트로크 대향연 집단, P-A-C model, 교류 유형, 과녁 맞추기 교류, 인생태도와 게임, 맑은 물 붓기 및 재결단 등 8회기로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1주일에 한 번씩 총 8주 동안 진행되었고 매 회기마다 부모로서 자신의 부모효능감 및 문화 적응 스트레스 관련 교육, 상호 피드백, 과제부여, 과제 피드백을 하였다.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 보고식 부모양육 효능감 척도, 문화 적응 스트레스 척도, 어머니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TAPT 프로그램이 조기 유학 동반 어머니들의 부모양육효능감의 증가와 문화 적응 스트레스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With the rapid increase in number of young children studying abroad, there also has been an accompany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mothers who face a new lifestyle without their partners. In addition to the children who are challenged with adapting to a new school and culture, it is being recognized that their mothers also report a certain degree of psychological suffering stemming from their acculturative stress. This study provided a Transactional Analysis (TA) theory-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se mothers in order to provide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strengthen their confidence, reduce their acculturative stress and evaluate their parent efficacy.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cores for acculturative stress, parent efficacy and symptoms of str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How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parent efficacy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acculturative stress following the program. TA theory-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at decreasing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as well as increasing their parent efficacy. It also reduces their symptoms of stress through management of anger and anxiety.

      • KCI등재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사회불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

        박미현(Park Mi-hyun),최경란(Choi, Kyung Ran),홍지영(Hong,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사회불안 인식, 정서표현양가성, 무조 건적 자기수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사회불안, 정서표현양가성, 무조건적 자기 수용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순차적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은 사회불안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화 경험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불안 수준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 용의 매개효과가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부모화 경험으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상담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amv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 of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on.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arentification, social anxiety were given to 389 enrolled students of universities in Chonbuk. used to perform mediated effect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al results indicate the parentifi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dicate the parentifi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on,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howed dual mediating effect.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ight be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in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social anxiety of the college students who has parentific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 for the further study.

      • KCI등재

        시ㆍ도 입장에서 모색한 한국민속예술축제 보완

        박미현(Park Mi-Hyun)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이 글은 한국민속예술축제 점검과 전망을 시ㆍ도 입장에 두고 출발하였다. 전국 16개 시ㆍ도와 이북 5도 등 지역은 반세기 넘는 세월동안 축제와 함께 호흡하여왔다. 1958년 창설된 후 줄곧 서울서 열리던 축제가 1967년부터 지역을 순회하고, 1976년부터는 도청 소재지가 아닌 곳에서도 열리면서 더 가까워졌다.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한국민속예술축제로 개칭된 1999년 이후 외형은 ‘축제’, 내용은 ‘경연’이라는 이중 구조로 인한 또 다른 한계에 부딪쳐 새로운 모색을 해야 되는 시점이어서 시ㆍ도 입장에서 성과와 문제점, 방향성을 찾아보았다. 전국 시ㆍ도 입장은 두 가지로 축약될 수 있다. 하나는 경연 방식으로 치러지는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 선수’입장으로 참여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매년 순회하는 축제 개최지로서 측면이 있다. 시ㆍ도는 급격히 사라지는 지역 민속예술 발굴ㆍ보존ㆍ계승이라는 축제 취지에 따라 의무적으로 경연에 참가하고 있는데, 시ㆍ도 민속예술대표단은 민속예술 전승 주체이면서 심사 평가를 받는 대상으로서 객체가 되는 모순된 입장에 처해있다. 축제를 존재케 하는 민속예술 전승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주인공 자리와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한 관 주도로 짜놓은 행사에 초청된 손님으로서 주변적 위치로 동시에 호명되고 있는 것이다.‘축제’의 외피로 바뀐 뒤에도 여전히 시ㆍ도는 ‘참가선수’ 로 대상화됨으로써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위치를 갖지 못한 것은 한국민속예술축제 역사의 어두운 면이기도하다. 중앙정부와 공동 주최하는 개최지로서의 시ㆍ도와 시군 입장에서 살펴본 결과 민속예술 보존과 전승이라는 고유 목적 이외에 개최지 문화의 자긍심 제고와 참가단과 관람객 유치를 통한 특산물 판매와 지역 경제 수익 제고, 관광객 유인 등의 효과를 점점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축제와 연계하고 부대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며 자매결연도시 인원 동원 등의 행정 변화는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이 같은 시ㆍ도 입장에서 무형문화재 인정과 보존, 민속예술 전승자로서 자긍심 계발, 마을 구심체 역할, 실생활에 도움 주는 관광문화 자산 확보 등을 축제 성과로 꼽을 수 있었다, 문제점으로 전승 주체자의 객체화와 단절화, 텅 빈 관중석과 운동장 경연환경, 빈약한 일회적 지원과 제도를 지적하였다. 보완점으로 민중 곧 지역민이 주체가 되어 생산하고 매개하며 전승할 수 있는 민속예술 본질 회복과 비일상적인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삶의 일상이 되는 전승여건, 연행될 때 객석 관중과 부담 없이 어우러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방향성을 두고 민속예술 일상성 회복과 현장 심사제, 도농교류나 마을축제 연계, 심사위원 전문가 풀제, 긴장감과 활력 제공하는 시상제 유지, 중앙정부 제도적 장치와 지원 제도를 제안하였다. 한국민속예술축제는 중앙정부의 행정력을 발휘하여 민속예술을 지키고 가꿔가는 관 주도 사업으로 단순히 볼거리 제공 축제나 이벤트 형태와 달라야 하며 지역민속 보존과 전승 동력을 촉진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한다는 측면에서 시ㆍ도 입장과 지역적 욕구 수렴에 우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 축제 폐지론 이유 중 하나인 소재 고갈 논란에 대해서는 강원지역 사례를 집중분석한 결과 제한된 전문 인력과 고증에서 오는 문제점으로 파악하였다. 시ㆍ도 입장에서는 예선 성격으로 치러지는 시ㆍ도민속예술축제가 한국민속예술축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더 열악한 환경에 처해있기도 하므로 두 축제의 유기적 관계를 고려한 동반 개선 방안 마련이 중요함을 피력하였다. This writing focuses on the standpoint of city and province concerning examination and prospect of Korea Folk Art Festival. 16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as well as 5 provinces in the North celebrated the festival together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After its establishment in 1958, the festival, held mostly in Seoul mostly, began its nationwide tour in 1967. From 1976, the festival became closer by opening itself in places that are not necessarily capital cities. After it changed its name from National Folk Art Competition to Korea Folk Art Festival in 1999, it reached another breaking point due to the dual structure of “festival” on the outside, and “competition” on the inside. Therefore, it is time to seek for a new solution. The results, weaknesses, and future direction from the standpoint of cities and provinces are examined. The position of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can be summarized into two standpoints. First, cities and provinces can participate as “competitors” at Korea Folk Festival, which will be held in competition format. Second, cities and provinces can be viewed as sites of annual tour of the festival. Cities and provinces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mandatorily in order to discover, conserve and inherit regional folk art, which is rapidly disappearing. City-province Folk Art delegation is the principle agent transmitting Folk Art as well as subject of evaluation at the same time. The paradox is that on the one hand, they play the principle role of transmitting the Folk Art and organizing the festival, and on the other hand, they are also invited as guests at the festival. The fact that city-province didn’t get active position by remaining as “competitors” even after the competition became a “festival” is the dark side of the Korea Folk Art Festival’s history. After exami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ity-province as the site sponsoring jointly wi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of city-district, various effects including raising the pride about the culture of the site, raising economic profit by selling special products of region, attracting tourists, and more seem to be considered increasingly important apart from traditional purpose, such as con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Folk art. The administrative changes like liaison with local festivals, activation of troop programs, and mobilization of people in sister-city affiliation reflects this type of trend. The fruitful outcomes of the festival from the perspective of city-province include certification and con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development of pride as folk art successor, playing crucial role in the area, securing touristic and cultural property benefiting the real life, and more. In contrast, the drawbacks of the festival are objectification and separation of principle agent of transmission, empty seats and stadium environment, as well as poor one-time support and policy. In order to supplement for the shortcomings, it’s been suggested that the local residents should be the principle agent. Restoring the essence of Folk art, transmission condition in everyday life, promoting environment in which all people get joined together should be focused. Also, restoration of ordinaries of Folk art, field screening policy, liaison of local festival or agricultural exchange, inviting professional judges, maintaining award policy to provide vitality, institutional measure and support of central government have been suggested. It’s been argued that Korea Folk Art Festival must be different from simple festival or event and central government should display its administrative power to protect Folk art. Moreover, it’s been emphasized that the priority should be on responding to the desire of the region and the perspective of city-province in order to facilitate regional folk conservation and transmitting power. On the other side, a focused analysis of Gang-Won area case in response to one of the reasons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