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 고통의 재현과 평화

        문경희(Moon, Kyoung-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2 No.-

        본 연구는 한·중·일 3국의 그림책 작가들이 공동 작업을 통해 출간한 평화그림책 중에 일본 작가 네 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감정, 구체적으로 고통이 집합적 정체성 정치의 토대가 되는 지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군화가 간다』, 『사쿠라』, 『네 목소리가 들리니?』, 『평화란 어떤 걸까?』가 이에 해당된다. 감정이 글로벌 정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지만, 실제 글로벌 정치 무대에서나 정치학 학문분과에서 집단 간 갈등 중재나 해소를 위해 감정에 주목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일본 작가들은 자신들의 그림책에서 전쟁의 ‘피해자성’을 바탕으로 자국민의 고통을 재현함으로써 민족적 일체감을 유지하고, 평화를 위해 ‘정당한’ 전쟁이 불가피하다거나, 또는 ‘우리’의 고통 재발을 위해 반전·평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지 않는다. 오히려 동아시아 전쟁에서 일본, 일본인이 피해자이자 가해 주체라는 점을 분명히 함과 동시에 민족적 ‘타자’의 고통에 대한 공감을 표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고통의 재발을 막기 위해 어른들 뿐 아니라 미래세대인 아동들도 주체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짐으로써 범세계적인 차원의 반전·평화의 메시지를 던진다. 평화그림책 작가들이 만남과 소통, 협의를 통해 만들어나간 평화그림책은 과거사를 둘러싸고 감정적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는 한·일 양국 간에 서로의 고통에 대한 공감과 신뢰를 토대로 한 평화공동체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emotion enters into the field of politics by becoming the basis of collective identity. It focuses on four Picture Books for Peace done by four Japanese authors. They are 『Combat Boots are Marching.』, 『Sakura』, 『Can You Hear My Voice?』, and 『What is Peace?』. Global politics is affected by emotion a great deal as an element of causing the conflicts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identities or mediating them. However, little attention in the field of politics is paid to it. The reasons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Japanese authors and their books are as follows. Firstly, given the current condition that Japan has been conflicting against Korea and China by justifying its East Asian War history, the four authors from Japan proposed to build a peace community with the authors from two of its neighbour countries by collaborating Picture Books for Peace. They did not conceptualize peace only based on the notion of "Japanese as war victims". Rather, in each of their book, they acknowledged that Japan, as a state as well as a nation, was a war aggressor. They also felt empathy and responsible for national "others" pain, too. This study analyzes how pain caused by the war is used to conceptualize the meanings and values of peace. This intends to show that depending on how and in what context an emotion like pain is used by the authors, it can create an transnational solidarity in pain or it can strengthen national or cultural collective identity.

      • KCI등재

        호주 한인 ‘1세대’의 이민에 대한 연구 -이주체계접근법과 이민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문경희 ( Moon Kyoungh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본 연구는 호주로의 한인 이민의 시작과 지속, 변형을 파악하고자 하는 맥락에서, 이주체계접근법에 따라 호주 한인 ‘1세대’의 이민과 정착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1세대’라는 용어는 집합적 수준의 한인 이민이 처음으로 이뤄졌던 시기인 1970년대에 호주로 이민을 간 한인들의 의미한다. 그 시기는 호주에서 백호주의가 폐지되고, 비유럽계 이민자들을 정책적으로 수용한 시기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그들 호주 한인 ‘1세대’가 누구인지, 그들의 호주 이민을 가능하게 했던 요인은 무엇인지, 그들이 어떤 방식과 경로를 통해 호주로 이민을 갔는지에 관해 고찰한다. 거시 구조적으로 유럽 국가 간의 결속 강화로 인해 호주의 정치경제적 주변화가 이뤄졌고, 그로 인해 호주는 국내 노동력 부족과 인구 증가, 시장 확대 등의 수요를 아시아 국가들과 관계 강화에 역점을 두게 되었다. 이 시기에 호주와 한국 간의 관계가 발전하면서 상품과 서비스의 거래와 더불어 인적자원의 교류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거시 구조적인 상황에 대응해서, 한인들은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이주, 영주 경로를 선구적으로 만들어 냈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뿐 아니라 호주 현지에서 한인 ‘1세대’와의 면담 분석을 통해 그들의 호주 이주·영주를 둘러싼 다양한 인식과 실천을 보여준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First-Generation Koreans’ in Australia, focusing on their immigration experiences. The ‘First-Generation Koreans’ refers to the Koreans who immigrated to Australia in the 1970s and it was when Australia just began to accept non-European immigrants by abolishing so called the ‘White Australia’ policy. They are regarded as the ‘pioneer’ immigrants in the Korean Australian community. This paper examines who they are, what factors enabled them to immigrate to Australia, and in what ways they made their path to Australia. In the macro-structural level, the weakening of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Australia and the European countries since the 1960s contributed to the Australia’s active engagement with the countries in Asia in terms of trade of goods, services, and people. Facing the industrial labour shortage and social demands to embrace people with diversity in Australia, the government tended to issue permanent visas to foreign nationals comprehensively as long as they were residing in Australia.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First-Generation Koreans’ were not passive recipients of the opportunity structures presented to them by the origin and destination states respectively. They exercised a certain degree of agency and choice in making their decision to migrate and negotiated their conditions with the actors from both states. This paper introduces the notions of the migration systems and agency of pioneer migrants in order to explain both macro- and micro-level structur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Generation Koreans’ and the state actors.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호주 무슬림 여성의 베일과 '호주성' 논쟁

        문경희(Moon, Kyo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2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호주에서 나타난 무슬림 이민자에 대한 문화적 인종주의 확산 현상에 주목하며, 그 과정에서 등장한 "호주성"과 베일착용 논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논란의 핵심에 젠더, 인종, 종교라는 세 개념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과, 결국 이들 세 개념을 토대로 전개된 "호주성"과 베일착용 금지 논란이 동시대 호주사회 내 무슬림 여성의 사회적 배제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점도 고찰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호주에서 전개된 무슬림 이민자에 대한 비무슬림 호주인의 "호주성" 강화에 대한 논의는 한편에서는 국가 안보와 사회통합, 여성의 권리 획득 이라는 명분하에 진행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호주성"에 내재되어 있는 가부장적 백인 민족주의와 기독교 세속주의를 표출함과 동시에 확대 재생산하는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부 비무슬림 남성의 무슬림 여성에 대한 "인종화된"폭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그로 인한 무슬림 여성의 안전 및 권리 침해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최근 호주 사회에서 "호주성"을 중심으로 강화되고 있는 민족적 정체성 확립과 사회통합 인식으로 인해 무슬림 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함께, 그들의 문화적 다양성과 시민적 권리가 위협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최근 몇 년 사이에 베일이 범죄 및 신분가장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호주 일부 지역에서는 특수한 상황 하에서 무슬림 여성의 베일 착용을 법적으로 제한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논의된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expansion of cultural racism against Muslim immigrants in contemporary Australia,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debate over "Australianess" and banning Muslim women"s veils. While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nti-racism and secularism are implicated in the construction of "Australianess", the recent debate of "Australianess" and veils has contributed to worsening of Muslim women"s social exclusion, as well as violating their rights and cultural diversity. The major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the non-Muslim Australians have emphasized "Australianess" as the key values and norms mattering for national security, social integration, and women"s rights. However, this has inevitably generated the discourse that "others" cultures, including Muslim women wearing a veil in public sphere, are confronting the values and norms of "Australianess", and therefore, the veils should be banned in Australian society. The view that Islam as potentially problematic for women"s rights is underpinned by a racialized conception of "Australianess" as secular and gender equal. Nonetheless, in this process, an unnamed assumption of "Australianess", as patriarchal, white nationalist, and Christian has been highlighted. As a consequence, non-Muslim Australian men"s "racialized" violence against Muslim women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resulting from threatening of Muslim women"s personal security and their social rights.

      • KCI등재
      • KCI등재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문경희(Moon, Kyung-hee),남민우(Nam, Min-w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면서 감정표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상황에 맞게 정서표현을 사용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시의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3,4,5세 유아 455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지능전체에는 어머니의 긍정적표현성, 아버지의 긍정적표현성, 어머니의 부정적정서표현성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자기인식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에 있어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정서표현이 영향을 주었다. 또한,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조절능력에는 어머니의 부정적정서표현성과 긍정적정서표현성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정서지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motional expression of father and mother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o raise and educate young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o use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ther and mother 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for 455 young children aged 3, 4 and 5 attending kindergartens in G city and their fathers and mother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was influenced by the positive expression of the mother, the positive expression of the father, and the negative expression of the mother, and the positive expression of the mother and father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young child s emotional intelligence, in terms of self-awareness, other-person awareness, and the ability of other memb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nly the negative emotion expression of the mother, positive emotion expression of the mother, or emotional expression of the mother, amo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by correctly understanding the roles of fathers and mothers and providing informative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나딩스의 배려이론이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갖는 함의

        문경희 ( Kyeong Hee Moon ),남영숙 ( Young Sook Nam ),김기대 ( Kee Dae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이 학습자로 하여금 환경적으로 건전한 가치를 함양하게 하고 환경과의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나딩스의 배려이론의 문헌 고찰을 통하여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적용할수 있는 세 가지 교육적 원리를 도출하고 각각의 원리가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갖는 함의를 탐구하여 배려이론을 토대로 하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의 함의을 모색하였다. 나딩스의 배려이론에서 도출한 첫 번째 교육적 원리는 포함이다. 포함은 모든 교육활동에 기초가 되는 교사와 학생과의 배려 관계 형성을 위한 원리로, 포항의 원리는 환경가치교육자로 하여금 학생을 전적으로 수용하여 배려 관계를 깊게 할 것과 학생이 현재 환경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교육의 출발점요로 삼을 것을 요청한다. 두 번째 원리는 상호성이다. 상호성은 깊은 배려 관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지속하기 위한 원리로 상호성의 원리는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피배려자이나 환경과의 관계에서는 배려자인 학습자로 하여금 교사의 배려에 반응하여 배려 관계 유지에 기여할 것과 환경감수성을 개발하여 환경의 배려자료서의 위치를 확고히 할 것을 요청한다. 세 번째 원리는 관계적 자아의 개발이다. 관계적 자아는 배려 관계를 열망하는 자아에 대한 비전으로,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관계적 자아는 자신과 깊은 배려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교사의 영향을 받아 형성 발전한다. 따라서 과ㅏ 는 환경의 배려자가 되어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관계적 자아의 개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가치교육자이자 학생의 배려자인 교사의 역할과 교육의 일차적인 피배려자이자 환경을 위한 궁극적인 배려자인 학생의 위치에 대한 이해를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의 방향을 교사와 학생과의 배려 관계 기초한 학생과 환경과의 배려 관계 형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이 학습자의 인격적인 성장을 통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행위자를 육성하게 한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ree educational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literature reviews on Noddings` care theory, to research implications of each principle in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present its directions based on the care theory. The first principle induced from Noddings` care theory is "inclusion" a principle to form ca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at is the basis of all educational activities. The second principle is "reciprocity" a principle that maintains and retains the completed caring relationship. The third principle is "the development of a relational self", which is a vision for self aspiring caring relationship, formed and developed by effects of teacher``s attitude who completes caring relationship with students.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the carer of environment to become a role model positively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a relational self by a learner on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teachers as the carer of students and the givers of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and the position of students as the primary cared-for and the ultimate carer on environment, and sought th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s formation of cari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environment based on ca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sters environmentally sound doers by personal growth of leaners.

      • KCI등재

        젠더와 국제이주

        문경희(Moon, Kyo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8 아시아여성연구 Vol.57 No.1

        본 연구는 호주의 한인 ‘1세대’ 여성의 이주과정과 삶의 경험을 젠더관점에서 분석한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첫째, ‘1세대’ 여성의 호주이민을 유발한 동인과 구조는 무엇인가? 둘째, ‘1세대’ 여성들은 누구이며, 이주 전 과정에서 그들은 어떤 젠더화된 경험을 하였는가? 셋째, 젠더정체성이 그들의 이민 과정을 어떻게 구조화했는가? 시기적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호주로 이주한 한인 ‘1세대’는 주로 베트남, 독일, 남미, 중동 등에서 해외이주노동을 한 경험을 토대로 호주로 ‘재이민’한 사람들이다. 주로 남성기술자와 그들의 가족을 대상으로 입국을 허용했던 호주정부의 이민정책으로 인해 여성들은 남편 또는 아버지의 초청에 의해 입국이 허용된 수동적인 이민주체로 각인되었다. 한편, 구술면담에 따르면, ‘1세대’ 여성들이 남성에게 의존적인 수동적인 이민자로서의 삶을 산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그들이 엄마이자 아내, 며느리, 노동자라는 다양한 정체성에 따라 전통적인 젠더역할의 지속적인 수행과 탈피를 요구받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 남녀 간의 젠더권력 구조를 바꾸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점을 논의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호주 한인 ‘1세대’ 여성의 이민 경험이 거시 구조적 요인에 따라 집합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가족 구성이나 직업 등 개인적인 차이로 인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도 주목한다. Based upon the literature on gender analysis of migration, this study examines 1) macro-structural determinants of ‘first-generation’ Korean female migration to Australia, 2) who the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were and what gender-specific experiences of migration they had from the pre-departure to post-arrival periods, and 3) how gender as a social system contextualized their migration processes. The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s are the first Koreans who moved to Australia in order to live and work there, mainly from the 1970s to the early 1980s. Many of them immigrated to Australia via Vietnam, Germany, and South American countries. In most of the literature focusing on these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s, women are either overlooked or mentioned briefly as dependent family members of male migrant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women entered Australia as dependent family members of male migrants mainly because of male-biased immigration visa polices. Moreover,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 women, their life experiences differ depending on their family background, job qualifications, marital status, etc. However, this study shows their pre-migration as well as post-migration identities were constructed and renegotiated in the tension between discontinuities and continuities, disempowerment and empowerment. This implies that they were not passive subjects onto whom power relations and identities were written.

      • KCI등재

        경상남도의 지역혁신과 지자체-대학 협력사업 계획과정에서의 정치동학

        문경희 ( Kyounghee Moon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자치연구소(구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21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2020년에 비수도권 대학 중심으로 새롭게 도입된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과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이다. 지역혁신체계와 지역혁신의 주체로서 지역대학의 역할에 초점을 맞춰 플랫폼 사업의 배경과 특성을 설명한다. 이후 경상남도의 사례에 주목하여 플랫폼 사업 계획과정에서 드러난 거버넌스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요 논의 사항은 플랫폼 사업의 내용과 참여 주체가 기존 교육사업의 그것과 차별화 된다고 하더라도 재정지원과 평가의 주요 주체(교육부)와 대상(지자체와 대학) 간의 정치역학적 구조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면 계획서 작성 및 평가 단계에서 실천되는 참여 조직들의 행동과 결정이 기존의 관행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교육정책 제도화 과정에 나타나는 조직 간 동형화 현상으로 설명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a newly introduced high-education program, called ‘the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and its governance issues. What explains the introduction of the program, which enables provincial/local governments to play a vital role in its governance. In addition, can provincial/local governments change the hierarch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universities when it comes to the government’s grant program for them.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case of Gyeongsangnamdo which has won the biggest amount of grant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o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the roles of universities as well as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 involving in planning and writing the proposal.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olitical dynamism between regional/local universit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 is not likely to change although the provincial government participates actively in the governance. It is mainly because the ministr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lud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still plays a role in evaluating and selecting the final winners of the project grants. A theory of Isomorphism provides an explanation for the unchanging political dynamism of universities as well as provincial/local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