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법(PBL)을 활용한 국어교육과 수업 모형 연구

        남궁정,김미영 국제언어문학회 2024 國際言語文學 Vol.- No.57

        문제중심학습법(PBL)은 사범계열 학과에서 활용하기에 유용한 학습모형이다. 사범계열의 학생들은 대학 내에서 학습자의 지위에 있지만, 졸업 후 교육현장에서는 예비교사의 지위에 놓이기 때문이다. 교육현장을 PBL 문제의 배경으로 제시한다면, 교육적 지식을 학습할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그 지식을 어떻게 활용·응용할 것인지도 함께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PBL 수업모형을 통해 예비교사에게 교사로서의 동기를 부여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학습자와의 소통 기술을 익히게 할 수도 있다. 동시에 동료교사와의 교육적 협업 능력까지 신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국어교육과 수업을 중심으로 PBL을 활용한 사범대학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일시에 끝나는 교육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국어교육의 특성을 고려할 때, PBL을 활용한 국어교육과 수업 모형은 순환적인 절차에 따라 진행해야 한다. 즉 하나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그 안에서 또 다른 문제를 발견해내는 방식으로 전개해야 한다. 따라서 국어교육과 수업에서 사용할 PBL 문제는 수업의 목표와 밀접히 연계되는 동시에 중·고등학교의 수업 현장에서 일어날 만한 현장감과 연계성까지 동반해야 한다. 또한 예비교사가 쉽게 상상하고 공감할 수 있는 문제로 설계해야 한다. 앞으로 국어교육과의 수업에서 PBL을 활용한다면 국어과 예비교사는 학교 현장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때의 교육적 대처를 예상하고 미리 실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 일어날 법한 일들을 예측하여 이를 해결해나가는 방법도 체득하게 될 것이다. Problem-Based Learning(PBL) is a useful educational model for use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se students are learner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By presenting educational settings as the context for PBL problems, students can not only learn educational knowledge but also consider how to use and apply this knowledge in actual teaching environments. Additionally, the PBL teaching model can motivate pre-service teachers by helping them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with learners through various media, as well as enhance their ability to collaborate educationally with fellow teachers. So this paper has designed a teaching model for teacher education college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must be continuous, the PBL-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model should follow a cyclic procedure. It should not just offer a solution to a problem but evolve by identifying new problems within that solution. Therefore, the PBL problem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must be closely linked to the objectives of the lessons and relate to situations that could occur in middle and high school settings. Additionally, they should be designed as problems that pre-service teachers can easily imagine and empathize with. If PBL is used in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ill be able to practice handling unexpected situations in the school environment beforehand. They will also learn to anticipate and solve problems that are likely to occur in the field.

      • KCI등재

        문화지리학을 통한 문학공간 이해 교육: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을 중심으로

        남궁정 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 Vol.- No.78

        본고는 공간에 의해 형성된 인간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문화지리학의 시각에서 문학공간 이해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을 사례로 문학공간과 그 안의 정체성을 탐색한 후, 문학공간 이해 교육의 의의와 교수·학습방안의 대략적인 얼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지리학의 관점에서 문학공간은 ‘변화하지 않는 정체성’, ‘변화하는 정체성’, ‘이야기 정체성’으로 구분된다. 첫째, ‘변화하는 정체성’에는 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이 있다. 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의 북한이탈주민은 탈북 이전의 민족 정체성은 유지하면서도 스스로 새로운 공간을 선택하는 것을 통해 국가 정체성을 드러냈다. 둘째, ‘변화하지 않는 정체성’에는 실존 정체성과 문화 정체성이 있다. 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의 북한이탈주민은 탈북 이후 접하는 자본주의 사회로 인한 실존 정체성과 문화 정체성의 큰 변화를 보여준다. 셋째, ‘이야기 정체성’은 서사가 진행되면서 형성되는 정체성이다. 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에서 북한이탈주민은 체제나 타의에 의해 흔들리지 않는 자신만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그 외의 인물은 동정과 연민이 아닌 열린 시각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문학공간 이해 교육은 그 공간을 살아가는 인간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학습자는 문학공간의 이해를 통해 인물의 정체성은 물론, 실제로 자신이 어떤 공간에 위치하는지를 발견하는 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다. 또한 문학공간에서 더 나아가 실존하는 공간에

      • KCI등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서책형 현대시 교육의 디지털 교과서화

        남궁정 국어교육학회 2011 국어교육연구 Vol.49 No.-

        In today's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a tremendous amount of information is digitalized and provided, modern poetry education cannot be one exception. According to a recent announcemen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ll the current paper textbooks will be replaced with digital ones in future. The advent of digital textbooks era is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environment and involves a continuous evolution into new form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Getting prepared for those changes, researches on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able to offer future directions for digital textbooks with a focus on the learners' enjoyment of poetry and literary experiences. In that vein,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an idea of turning modern poetry education into a digital textbook by utilizing interactive storytelling, showing that digital textbooks could induce interest, commitment, and new effects with regard to modern poetry education and study. It then introduced successful cases of educational content that utilized interactive storytelling, pointed out problems with cyber home study, a digital teaching material, and examined the interactive elements required for turning modern poetry education into a digital textbook. In particular, the investigator drew a blueprint for modern poetry education applicable in a digital textbook by giving various examples that used a branch narrative structure. Digital textbooks can offer answers to how to teach poetry to learners in today's environment and accordingly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helps to preserve the nature and heritage of poetry, allow the students to enjoy the truth and value of poetry, and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It is beyond a doubt that digital textbooks will bring a positive turning point to modern poetry education.

      • KCI등재

        가출여자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진로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남궁정,조호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planning programs intended for runaway female high school teenagers with adjustment difficultie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eek educational meanings for career planning and career choice by verifying its effect.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onstruction of the career planning programs for the school maladjusted-runaway female teenagers? Second, how does practicing the career planning programs work for runaway female teenagers to attain career maturity? The object of the study is composed of twenty maladjusted runaway female teenagers living in protective facilities.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by inspecting career maturity through statistics and analysis and by showing the benefits of joining the program through the degree of the subject's w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verified that the results of before-after comparison for career planning program showed us valid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Second, there are valid increases in the inclination of the decision, independence and positive and in the inspection of ability, competence of career and decision of care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의 한 양상으로 고등학교시기에 가출한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설계 및 진로선택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을 위한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실시가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으로 현재 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고등학생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진로성숙도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프로그램 만족도 검사를 통해서 프로그램 참여가 자신에게 얼마나 유익한 경험이었는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비교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태도검사의 결정성, 독립성, 적극성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능력검사의 직업능력과 진로결정 부분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