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15 남북공동선언'의 문체 분석

        남경완(Kyoung Woan Nam) 한국어학회 2001 한국어학 Vol.14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ylistic effects on 6·15 The South-North Joint Declaration. On the study, I regard the text as a closed structure, and focus on the stylistic effects that come out based on functions of linguistic elements. As a result, in view of macroscopic analysis, I could convincingly conclude that the text has very systematic and hierarchic construction in such a way that the composition of introduction, main discourse and conclusion of the full text corresponds to the order of state-of-affairs. And in view of microscopic analysis, I am able, across the board, to find that the text has intention to confirm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In the same vein, I am also able to find clearness and vagueness simultaneously in notifying the information. In sum, the aforementioned stylistic effects show sort of clues of which diplomatic documents are characteristically typical.

      • KCI등재

        1920년대까지 전통문법에서의 우리말 의미 연구

        남경완(Nam Kyoung-woan) 한글학회 2016 한글 Vol.- No.313

        본고에서는 전통문법 시기에서 1920년대까지의 문법서들에 나타난 국어 의미에 대한 연구 내용을 살펴보았다. 초기 전통문법에서 국어의 의미에 대한 연구는 체계화된 형식으로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용언 부분에 있어서는 의미적 관점의 분석이 많이 나타난다. 즉, 동사와 형용사의 하위 유형 분류, 의미의 파생과 대립 양상 등에 대하여 국어의 의미를 기반으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용언의 의미 범주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의미적 관점에 기초하여 ‘형용’의 개념과 범위를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용언의 의미 분석 과정에서 동사와 형용사, 자동사와 타동사의 양용, 그리고 다의어의 분석 등에서 의미적 분석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 용언의 의미 관계를 제시하는 과정에서는 의미의 대립과 강화가 실현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서술어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용언에 대한 통사론적 분석에서는 이후 문장의 의미 분석과 연결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 전통문법에서의 의미 연구는 비록 그것이 파편적으로 제시되고 있을지라도 국어에 대한 체계적인 문법 기술을 시도한 최초의 노력에서부터 의미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mantic analysis in Korean traditional grammar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Korean verbs. Although researches on the meaning of Korean were not presented as systematic forms in Korean traditional grammar works because the grammar put emphasis on morphology and syntax at that period, we can find semantic analysis in parts of verb frequently.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of Korean verbs into active verb and adjective or the aspect of meaning derivation and opposition, the semantic explanations has been lasted from the early days of traditional grammar. The concept and boundary of adjectiv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s or between active verbs and adjectives were analyzed in terms of semantics, and the meaning of polysemy verbs was also analyzed by the semantic features. And furthermore,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verbs and the functions of verb that are related to a syntax were included in Korean traditional grammar. So it shows that there were already a high standard semantic analysis in Korean traditional grammar work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 KCI등재

        전자 제품 사용 설명서의 어휘 사용 양상 - 어휘의 선택과 배열을 중심으로 -

        남경완 ( Nam Kyoung-woan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8 No.-

        본고에서는 전자 제품의 사용 설명서에 나타난 어휘의 사용 양상을 어휘의 선택과 배열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고, 어휘의 의미 관계와 범주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사용 설명서를 기술하는 데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사용 설명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들을 최대한 쉽고 명확하게 안내하여야 하는 텍스트이므로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고 체계적으로 배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우선 어휘의 선택 측면에서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대상의 명칭을 정하는 문제, 의미의 유사성과 대립성에 따른 어휘 선택의 문제, 그리고 전체-부분의 관계에 따라 각 부분의 명칭을 체계화해야 하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어휘의 배열 측면에서는 한 항목에 속한 예들을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경우와 어떤 대상을 수식하여 설명하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용 설명서에서는 사용자의 직관에 부합하면서 대상의 기능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어휘의 선택이 중요하며, 항목 사이의 위계와 순서를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서는 범주와 개체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텍스트 작성에서 어휘의 의미와 의미 관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wo aspects of the use of vocabulary in the user’s manual of electronic appliances: lexical selection and words arrangement, and to examine how accurate recognition of the lexical semantic relation and categorization of words can affect the description of user’s manuals. The user’s manual is a text that should guide the relevant information as easily and clearly as possibl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product safely and comfortably, so it is essential to select appropriate words and arrange them systematically. First of all, in terms of lexical selection, the problem of naming new objects that did not exist before, the problem of selecting a vocabulary based on similarity and opposition of meaning, and the problem of organizing the names of each part’s name according to the meronymy are examined. Next, In terms of vocabulary arrangement, we look at the parallel listing of example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nd the case of noun phrases that modifies an object. Through this, in the user's manual, it is important to select a vocabulary that can accurately describe the function of the object while conforming the user's intuition, an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categories and entity to clearly present the hierarchy and order between items. This shows that accurate recognition of the lexical meaning and semantic relation of words is very important in text writing.

      • KCI등재

        ‘엇(그림씨)’과 ‘언(매김씨)’의 계승 관계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를 중심으로-

        남경완 ( Nam Kyoung-woan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9 No.-

        본고에서는 주시경의 ‘엇’과 ‘언’의 체계가 김두봉의 ‘얻’과 ‘언’을 거쳐 최현배의 ‘그림씨’와 ‘매김씨’로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시경(1910)에서 처음으로 독립된 품사로 제시된 ‘언’은 ‘엇’과의 연관성 속에서 그 개념과 하위 유형이 설정되어 왔고, 김두봉(1916)과 최현배(1937)을 거치면서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다. 주시경(1910)에서는 ‘엇’과‘언’에서 모두 ‘物品, 物貌, 行品, 行貌, 때, 헴, 견줌’이라는 유형이 체계적으로 대응되고 있는데, 이는 수식이라는 기능을 공유하는 것에 따른 것으로 여전히 형용사의 활용형과 관형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한, 두, 세’를 ‘헴언’으로 제시함으로써 수관형사를 최초로 설정하였다. 김두봉(1916)에서는 ‘物品, 物貌, 行品, 行貌’의 ‘언’을 ‘얻’의 ‘딸림꼴’로 처리함으로써 비로소 용언의 활용형과 구분되는 ‘언’의 범위를 제시할 수 있게 되었고, 아울러 ‘셈언, 가리침언, 물음언’ 역시 ‘엇’과 구분되는 형태를 제시하여 오늘날 관형사의 기초를 제시하게 되었다. 최현배(1937)에서는 ‘그림씨’와 ‘매김씨’ 모두에서 이전 주시경, 김두봉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매우 세분된 하위 유형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로써 ‘性狀(속겉), 數量(셈숱), 指示(가리킴)’의 유형이 ‘그림씨’와 ‘매김씨’에서 체계적으로 대응된다. 이와 같이 주시경(1910)로부터 김두봉(1916), 최현배(1937)로 이어지는 ‘엇(그림씨)’과 ‘언(매김씨)’의 하위 유형설정을 살펴보면 ‘엇’과 구분되는 ‘언’이라는 범주의 특수성에 대해 공통적으로 인식하면서 그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끊임없이 수정, 보완이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system of ‘엇(adjectives)’ and ‘언(pre-nouns)’ in Ju Si-Kyung(1910)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the Kim Du-Bong(1916) and Choi Hyun-Bae(1937). The concept and subtype of pre-noun, which was first presented as an independent part of speech in Ju Si-Kyung(1910), has been set up in association with the adjective and has been changed to more precise and systematic form through Kim Du-Bong(1916) and Choi Hyun-Bae(1937). In Ju Si-Kyung(1910), there was a systematic correspondence between adjectives and pre-nouns, but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prepositional-adjectives and pre-nouns were not distinguished. Since then, Kim Du-Bong(1916) has come to distinguish between these categories and to present the basis of the pre-nouns of modern Korean grammar. Next, Choi Hyun-Bae(1937) presented a very detailed subtype of adjectives that were not attempted in the previous. As a result, the types of “attributive, demonstrative, and numeral” are systematically matched in adjective and pre-noun and this subclassification is leading to modern Korean grammar. In this way, the subtypes of adjectives and pre-nouns leading from Ju Si-Kyung(1910) to Kim Du-Bong(1916) and Choi Hyun-Bae(1937) can be seen that they recognized commonality of these two categories. However, it has been constantly revised and supplemented beyond simple repetition and dupli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it aims to establish a new system of subtypes of adjectives and pre-nouns.

      • KCI등재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남경완(Nam Kyoung-wo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본고의 목적은 표준어를 둘러싼 지금까지의 논의를 쟁점별로 정리하고, 국어 교육의 영역에서 표준어와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표준어와 관련되는 논의의 주제는 현행 표준어 규정의 세부적 내용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표준어 규정이 필요한가라는 근본적인 문제 제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를 현행 표준어 규정의 내용에 대한 검토와 표준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로 나누어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표준어 규정의 내용에 대해서는 표준어의 개념 설정, 표준어 규정의 내용적 체계와 세부 조항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이 이루어졌으며, 표준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 및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국어교육에서 표준어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표준어 교육의 의미가 단순히 형태의 암기를 반복하는 차원에서 학습자 스스로 수행하는 어휘 교육의 일환으로 확대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ut the discussion about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in order before we search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standard language. As the next step,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standard language education in school. About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in Korean, many studies has been progressed on the various subject -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the examination on the particular stipulations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e relation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and the basic doubt on the existence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etc. The organization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n chapter 2, I survey the general points of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1988) focused on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In chapter 3, I make a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standard language policy in the relation of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Finally, in chapter 4, I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in school education and propose that the meaning of standard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the general lexic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전통문법에서의 관형사 범주 설정

        남경완(Nam, Kyoung-woan)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rious discussions about Korean pre-nouns in Korean traditional grammar and to examine how the pre-nouns have been recognized as independent parts of speech historically. For this purpose, we analysed 24 Korean traditional grammar books published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1945 and then compared the differences of various grammatical scholars during that perio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historical change in the point of view to set the Korean pre-nouns. The position of recognizing pre-nouns as independent parts of speech was initially a minority, but in the 1930s it was set as an independent part of speech in the majority of books.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pre-nouns was made by deeper analysis of the adjacent categories related to pre-nouns, i.e, adjectives, pronouns, and numerals. First, the distinction between pre-nouns and prepositional-adjectives was not clearly presented in the grammar until the 1910s. The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has been recognized since the 1920s by Park, Seung-bin(1935) and Choi Hyun-bae(1937) after Hong Gi-Moon(1927). Next, the distinction between pronouns, numerals and pre-nouns also shows the similar pattern. In conclus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Korean pre-nouns has been expanded their scope of separation from adjectives, pronouns, and numerals, which occupied a very wide range in Korean traditional grammar.

      • KCI등재

        동사-형용사 중의(重義) 어절(語節)의 중의성(重義性) 해소(解消) 연구 - 한국어 정보(情報) 처리(處理)와 관련하여 -

        남경완 ( Nam Kyoung-woan ),유혜원 ( Yoo Hye-w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3

        이 글에서는 國語의 動詞-形容詞 重義 語節의 類型과 重義性 解消 方案을 韓國語 情報 처리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이 類型은 동사 분석 후보와 형용사 분석 후보의 基本形이 다른 제1유형과 기본형이 같은 제2유형으로 兩分되고, 이 중 제2유형은 다시 他動詞-形容詞 분석 후보를 가지는 제2-1유형과 自動詞-形容詞 분석 후보를 가지는 제2-2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動詞-形容詞 重義 語節 중 범주 구분이 모호한 것은 동사와 형용사의 범주 구분의 본질적인 問題와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고, 意味的 差異에 의한 動詞-形容詞 구분보다는 結合價에 따른 自動詞-他動詞의 구분이 用言 구분에서 上位에 있음을 主張하였다. 이에 따라 動詞-形容詞 重義 語節의 중의성 해소는 기본적으로 結合價 情報인 論項 特性을 이용하고, 結合價의 差異를 나타내지 않는 유형의 경우에는 意味 情報 및 語彙 情報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중의성 해소 규칙을 設定하였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the type of the verb-adjective ambiguous ‘eojeol' and to solve the ambiguity. The ambiguous ‘eojeol' is the ‘eojeol' that has more than two analysis candidates. First of all, we extracted the ambiguous ‘eojeol' in the corpus and then classified the verb-adjective ambiguous ‘eojeol'. As a result, we made three types of ambiguous ‘eojeol'. First type is the basic form of the candidates is different and the other types is same. The verb-adjective ambiguous ‘eojeol' with the same basic form is again classified by the transitive verb- adjective type and the intransitive verb-adjective type. To solve the ambiguity, we determined the analysis unit and then made the rules. By using the morphological, categorial, semantic, lexical information of the co-occurrence words, we could compose the rules of Korean ambiguous ‘eojeol', and we gave examples of kil-da/kit-da(“be long/to draw”), ssu- da(“be bitter/to write”) and pak-da(“be light/to dawn”). It is to be hoped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of the Korean language processing and especially the solution of the ambig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