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작가미술관 운영전략: - 이응노미술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현지(Kim Hyunji) 미래학회 2018 미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2

        대한민국은 단기간에 비약적인 산업발전을 이루었으나, 사회변화 단계 중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좀 더 보편성을 가질 수 있도록 발전해야 할 부분이 많다. 이러한 발전을 위해서는 더 많은 사람들이 문화 기관에 손쉽게 접근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급자 측면에서도 변화가 필요하며, 산업구조상 공급자가 어떠한 운영전략을 가져갔을 때 미술관이 장기적으로 생존하고, 사회 변화단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문화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이 글을 통해 서술하고자 한다. 또한 넓은 범위의 미술관이 아닌 좀 더 세분화 된 형태로써 1인의 작가를 집중 조명하는 작가미술관의 운영전략을 살펴보면서 운영전략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여러 작가를 다루는 일반적인 미술관과는 다르게, 작가 1인의 삶과 예술을 집중 조명한다는 점에서 작가미술관의 경우 차별화된 운영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작가미술관이 항구적으로 가지고 가야할 전략의 핵심이 어디에 있는지 이 글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 조선시대 농경의례(農耕儀禮)와 세시풍속도(歲時風俗圖) 병풍의 기능

        김현지(Kim Hyunji) 한국민화학회 2015 한국민화 Vol.- No.6

        조선시대 회화사에서 19세기는 흔히 풍속화가 쇠퇴한 시기로 서술되었으며, 19세기 민간에서 병풍으로 제작된 작자미상의 풍속화들은 미술사 연구에서 그간 주목받지 못하였다. 필자는 ‘경직도류(耕織圖類)’ 회화로 통칭되어 다루어진 이들 풍속화 병풍들이 조선 초기부터 궁중에서 제작된 빈풍칠월도(豳風七月圖) 병풍 제작 전통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보았으며, 정월대보름을 기점으로 시간 순서로 배열된 벼농사 위주의 다양한 농가 세시풍속을 연작으로 묘사한 그림을 ‘세시풍속도(歲時風俗圖)’ 병풍으로 명명하였다. 농민의 다양한 생활상을 묘사한 빈풍칠월도와 세시풍속도 병풍은 당대에 풍농을 기원하는 농경의례이자 세시의례와의 밀접한 연관성 속에서 제작된 회화적 관습의 산물이다. 빈풍칠월도는 왕이 백성들의 생업에 힘쓰는 수고로움을 이해하고 안일함을 경계하는 무일(無逸)정신을 반영한 그림으로 왕도정치를 표방하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무일도(無逸圖), 경직도(耕織圖) 등과 함께 중요한 시각적 매체인 감계화로서 활용되었다. 한편, 궁중의 후원에 천지간의 자연물과 농사짓는 인물의 형상을 재현한 내농작(內農作)을 행하면서 빈풍칠월도에 근거함을 재차 강조하였다. 내농작과 볏가릿대[禾積竿]와 같이 풍년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입체조형물을 만들어 풍년을 미리 축하하고 기원하는 주술적인 사고방식은 농부가 밭을 갈고 땀 흘려 일구어 가을에 풍성한 수확을 맞는 농사 장면을 그린 병풍 그림에도 자연스럽게 투영되었을 것이다. 조선시대의 빈풍칠월도와 세시풍속도 병풍은 이처럼 감계적인 기능에 머무르지 않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적인 기능이 중시되었다. 세시풍속도 병풍이 19세기 후반에 민간에서 저변화되면서 성행한 것은 이러한 그림에 담긴 제의적 기능과 그와 연결되는 길상적인 상징 때문이었을 것이다. In the history of painting of the Joseon period, the nineteenth century is often recorded as the time when genre paintings experienced a decline. Art historians have paid scarce attention to the nineteenth century anonymous genre paintings in the form of folding screens that were created among the common people. It is my understanding that these folding screens of genre paintings, generally designated as “a group of paintings of farming and weaving (耕織圖類),” are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the folding screens of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豳風七月圖), which were produced by the royal court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Further, the series of paintings depicting sesi pungsok (annual cyclical rituals) related to rice farming in chronological order beginning with Jeongwol Daeboreum (the fifteenth day of the New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were referred to as folding screens of sesi pungsokdo paintings.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nd sesi pungsokdo folding screens depicting the daily activities of farmers are the products of pictorial conventions closely associated with agricultural and annual cyclical rituals held for wishing good harvest.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reflecting the spirit of noncomplacency of the king, empathizing with the hard work and efforts of the people to make a living while staying alert against complacency, were utilized as didactic paintings which functioned as an important visual medium together with muildo (paintings based on the contents of Seogyeong Muilpyeon) and gyeongjikdo (paintings depicting daily activities related to farming) in the royal court of the Joseon Dynasty claiming to stand for rule by virtue. Meanwhile, the paintings further emphasized their association with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by conducting Naenongjak (mimic farming) reproducing the image of natural objects and farming figures in the rear garden of the royal court. The shamanistic way of celebrating and wishing for a good harvest in the forthcoming year by crea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embodying images associated with a good harvest including Naenongjank and Byeokkarittae (a pole for suspending grains wrapped with straws) was presumably naturally reflected in the paintings on folding screens depicting scenes of achieving a rich harvest in the fall through the great efforts of plowing and cultivating the lands by the farmers. In this way,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nd the sesi pungsokdo folding screens of the Joseon period were not just limited to their didactic function but were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ritualistic function of praying for a prosperous year. It appears that the growing prevalence of sesi pungsokdo folding screens in the late-nineteenth century had more to do with the ritualistic function and the auspicious symbols embodied in these paintings.

      • KCI등재

        근적외선 레이저 반응성 광열-기포 생성 알지네이트 나노입자로부터 제어된 약물 방출

        김현지 ( Hyunji Kim ),김민아 ( Min Ah Kim ),이창문 ( Chang-moon Lee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21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근적외선에 반응하는 알지네이트 기반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광열효과 및 버블생성으로 인한 약물 방출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AMP NPs의 평균 크기는 252.52 ± 0.39 nm로 측정되었고 구형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수용액 내에서의 침전이나 응집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7일 동안 사이즈의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AMP NPs에 808 nm 레이저 조사 시 조사 시간 및 레이저 세기가 증가할수록 효과적인 온도 상승을 보였다. 생성된 열로 인해 PFH의 상전이를 유도하여 이에 따른 AMP NPs의 극적인 버블 생성을 초음파 영상으로 확인하였다. 약물 방출 평가에서 AMP NPs에 레이저 조사 시 약물 방출 속도를 향상시켰으며 반복적인 레이저 조사 시 순간적으로 약물의 방출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MP NPs는 근적외선 반응성 약물 방출 조절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는 병변에서 테라노스틱 제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of a drug,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or efficiently deliver it to an accurate target site. In this study, alginate-melanin-methotrexate-perfluorohexane nanoparticles (AMP NPs) were proposed for controlling the drug release by near-infrared (NIR) laser-responsive photothermalbubbling effect. AMP NPs had a uniform spherical shape with a size of 252.52 ± 0.39 nm and did not show precipitation in PBS buffer for 7 days. Based on the unique light-to-heat conversion properties of melanin, the temperature of AMP NPs rose to about 52.9℃ after irradiation with an 808 nm NIR laser with an intensity of 1.5 W/㎠ for 10 min. As the exotherm of melanin reached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perfluorohexane (PFH), microbubbles from the AMP NPs solution were generated dramatically. The release rate of methotrexate from AMP NPs increased to 61% after 24 h of laser irradiation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melanin and bubble generation of PFH in AMP NPs. From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AMP NPs can be utilized as promising carriers for controlled drug release.

      • 자율주행환경 차량탑승자 직관에 의해 돌발 상황 대처가 가능한 Control UI 디자인 컨셉 제안

        김현지(Hyunji Kim),정의철(Euichul J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7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7 No.11

        Research o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pursued with the aim of 0% accident rate without the driver"s operation. However,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 on fully self-driving car: some are skeptical about the technology itself, and some are concern about unexpected emergencies caused by infrastructure shut-down, which autonomous control technology completely rely on. This study proposes a UI concept design that allows passengers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road situation and to ensure safety with minimal control in such circumstances. By organizing vehicle control UI changes according to automobile development and defining scenarios of unexpected situation during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this paper suggests a vehicle control UI design that more closely matches the human branch. This study deals with new possibility of UI design for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 KCI등재

        한국어 구어 문법의 관점에서 ‘많이’, ‘너무’, ‘되게’의 사용 양상 연구

        김현지(Kim, Hyunji) 담화·인지언어학회 2018 담화와 인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of ‘mani’, ‘neomu’, ‘doege’ in spoken discourse of Korean. To achieve this, The Sejong Spoken Corpus was used to search for the tokens of ‘mani’, ‘neomu’ and ‘doege’. The research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previous studies and data analysis. The third chapter presents the formal realization aspects of three expressions. The fourth chapter presents the contextual realization aspects of three expressions. In the last chapter,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is provided. While the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many expressions in short,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s the individual discourse function of ‘mani’, ‘neomu’ and ‘doege’ in detail and the distinction of ‘mani’, ‘neomu’ and ‘doege’. This study has found usage’s tendency of expressions ‘mani’, ‘neomu’ and ‘doege’ in spoken discourse of Korean. The description on these expressions will help us understand Korean spoken grammar.

      • KCI등재

        적응적 수업을 위한 상호작용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 개발

        김현지 ( Hyunji Kim ),김춘화 ( Chunhua Jin ),이상수 ( Sangsoo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요즘, 다양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학습 매체로 사용되고 있다. 테크놀로지와 인터넷의 발전으로 현재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적응적 수업이 교수-학습 매체로써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존하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은 학습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 후에 피드백을 제시하는 방법이 단순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적응적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다양한. 또한 현존하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사례연구와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에게 요구조사를 실시했다. 둘째, 적응적 수업을 위한 상호작용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셋째, 어플리케이션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와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소집단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적응적 수업을 위한 상호작용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수정하고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These days, various educational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often used as learning media. It is possible to use adaptive instruction as teaching-learning method due to advances in technology and internet. Many educational applications are currently used for supporting instruction. However, the existing educational application haven`t satisfied the needs of learners and the way of feedback presentation given after the learning is pretty sim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pplication prototype for facilitating interactions in adaptive instructio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theories and practices related application for active interactions in adaptive instruc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lso case study of the existing educational application and needs 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teacher conducted. The design principles of interactive application prototype for adaptive instruction were developed as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needs analysis. Second, the interactive application prototype for adaptive instruction was developed. Third, the expert review and formative evalu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was corrected and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 review and formative evaluation. Then, the interactive application prototype for adaptive instruction was developed finally.

      • KCI등재

        장애인삶 패널조사 표본설계 연구

        김현지 ( Hyunji Kim ),김태용 ( Tae-yong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구축한 장애인삶 패널조사 표본설계 과정과 패널구축 결과를 살펴본다. 장애인삶 패널조사는 장애등록 이후 장애인이 장애수용 과정과 사회관계 속에서 겪는 삶의 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개인 · 가족 · 사회적 측면에서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마련을 목적으로 하는 종단적 조사이다. 따라서 조사대상은 2015년부터 2017년 사이 보건복지부에 장애등록을 마친 신규 등록장애인이다.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의 모집단 분포와 성별 분포가 편중되어 있다는 점과 장애아동이 조사대상에 포함된 것은 장애인삶 패널조사 표본설계에서 고려한 주요 요소이다. 이에 장애유형과 장애정도를 층화변수로 선정하여 층별 결정된 표본크기 내에서 성별 층화하여 표본크기를 결정한다. 표본배분은 각 층에서 35개 표본을 우선할당 한 후 제곱근 배분하고, 최종 층별 표본크기는 층별 배분된 표본을 95% 신뢰수준에서 기대상대표준오차 6% 수준을 목표한다. 표본추출은 주어진 예산 제약하에서 필요한 표본 수를 충분히 확보하고, 조사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이중추출법(double sampling)을 적용한다. 따라서 읍 · 면· 동을 하나의 집락으로 간주하여, 1상(first phase)의 읍·면·동으로 추출된 읍 ‧ 면‧ 동 내에 거주하는 모든 장애인을 1상 표본으로 구성한다. 이로부터 최종 표본인 장애인을 추출한다. 최종 6,121명의 장애인 표본이 패널로 구축되었으며, 가중치을 이용하여 산출한 상대표준오차는 전국 단위에서 5% 미만으로 나타났다. 세부단위에서도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is a longitudinal survey to understand and to look into a dynamic change of life as having a disability.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nd well-being in the aspect of diversity to a person with disability, their family and community life after onset of disability in term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The collected samples are relatively early people with disabilities having a identification of person with disabilities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om 2015 to 2017. This paper proposes the sample design for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which have been beginning 2018. What we focus on is that the distributions for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 degrees of disabilities not only is skewed, but also is including young people with disability(under the age of 18) for the target samples to the panel. Therefore the sample size is determined by defining as stratum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 degrees of disabilities. After, the strata are stratified into groups by gender. Finally, the size of sample is allocated into the determined strata by modified square root allocation for reliable comparison results. The sufficient size of samples to obtain the reliable comparison results is selected by double sampling(two-phase sampling) to the cost-effectiveness. Thus in the first-phase, a town-township-neighborhood is considered as a cluster. And all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is living in the selected town-township-neighborhood are the samples in the first-phase. Then final samples for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are selected from the samples in the first-phase. The survey results based on the collected samples show that the relative standard error(RSE) for estimates of main items is under 5% for the nation.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점심식사 실태 및 주 점심식사 장소별 식생활 진단

        김현지 ( Hyunji Kim ),이홍미 ( Hongmie Lee ) 대한영양사협회 2016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2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lunch eating patterns and compare dietary habits among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major lunch place. The subjects were 800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information was obtain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mpared among groups according to major lunch place (school cafeteria n=236, off-campus private restaurant n=73, on-campus private food shop n=134, delivery food n=119, convenient store n=238). Compared to male students, more female students ate at convenient stores (37.8% vs. 17.5%, respectively) while less ate at school cafeterias as the major lunch place. The on-campus private food shop group (19.1 year) were younger than the other groups (20.4∼20.8 year). Dietary habits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school cafeteria group (65.55 out of 100) than in the other groups (60.33∼62.66) (P<0.01). However,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cafeteria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ith the other lunch places (P<0.01), and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reason for dissatisfaction was “not taste good” (51.0%). Despite having the lowest satisfaction among the five lunch places, eating at school cafeterias may be associated with better dietary habits in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able to provide basis for encouraging school cafeteria utiliz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for strategy development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lunches.

      • 학습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딥러닝 기술 동향

        김현지 ( Hyunji Kim ),서화정 ( Hwajeong Se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1

        2021년 9대 전략 기술 트렌드로 선정된 인공지능 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었다. 그러나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딥러닝의 특성상 민감 데이터 유출 및 악용과 같은 이슈가 존재한다. 최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규제들이 강화되었으며, 이는 산업 발전을 저해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와 활용이 모두 가능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민감 데이터를 보호를 위한 딥러닝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