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단체정당공천제 폐지에 따른 보완과제

        김현조(Kim, Hyeon-Jo),이수구(Lee, Su-Gu),박영강(Park, Yung-Ka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기초단체정당공천제가 폐지될 경우 제기되는 기초의회의 여성 참여 등 후속적 과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학계인사와 지방의원 및 시민단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참여를 위한 대안에서 "여성명부선거제"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동 대안은 후보자 선거운동 및 유권자의 판단 곤란 등을 이유로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대신 "광역의원선거의 정당득표에 따른 비례대표제"를 제시하였다. 동 대안은 정당비례대표를 30%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 정당관여 현상이 감소될 뿐 아니라 정당공천제 폐지에 소극적인 정당들의 저항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당공천을 폐지할 경우 금지 기간을 설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았으며, 정당표방제는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기초선거와 광역선거의 분리문제는 단기적으로 통합선거를 실시하되 장기적으로는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lternatives to complementary problems, especially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local council which may be raised by the abolition of party nomination in municipal government elections in Korea. Alternativ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based upon questionary surveys given to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KAPA), local assemblies, and civic groups. It was found from the survey that preference ratio of female candidates list election system was most high from three alternatives for women participation of municipal councils. However, the female election system may not be a desirable alternative due to the difficulties of candidates' campaigns and the difficulties of voters' decision makings. So, party proportional representative system based in the elections of its upper tier government assembly was proposed instead of the female election system. If the portion of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maintains below 30%, the influences and the resistance of the political parties could be decreased. In abolishing the party nomination, not setting prohibition period and forbidding manifestation of party are advised as other alternatives. For the problem of separate elections of municipal governments and elections of upper tier governments, holding unified elections could be a short-term alternative. For the long term, reexamination is needed.

      • KCI등재

        지방정부의 성과관리(BSC)와 예산의 연계 과제

        김현조(Kim, Hyeon-Jo),강성권(Kang, Sung-Kwun),박영강(Park, Yung-Ka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4 No.4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BSC와 예산의 연계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선과제를 모색하기 위하여 공무원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담당자들의 “예산연계에 대한 이해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서 관리자의 이해와 지지”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산과의 연계를 위한 “현행 시스템구조의 변화 필요성”, “BSC와 예산 시기조정의 어려움”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선행연구에서 강조되는 예산연계에 따른 시기조정의 문제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과지표와 예산구조의 개선을 포함하는 시스템구조의 측면에서는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부서 관리자의 이해와지지” 수준이 낮은 점과 현행 사업예산제도의 구조적 문제점도 개선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제의 대안으로는 담당자의 범위를 넘어선 전체 구성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blems and to seek alternatives in introducing a system of conntecting Performance Management(BSC) to Budget Manage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BMC), Korea. Information was obtained by surveys from officials of Busan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studies and survey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out in the BMC: First, time schedule matching would be difficul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BSC to budget management. Seco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budget structure were needed. Third, introducing cost accounting methods including B/C analysis were needed. To improve the connecting model of the BMC alternatives proposed as below: First, the city authority concerned have to declare clear process and time schedule of connecting system. Second, constructing numbers of the indicators within the limits of twenty at all of the agencies(departments) and changing the indicators to result oriented direction w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indicators. Finally, periodical education to officials and improving computer system for the connections would be needed.

      • 포스터 전시 : 하부위장관 ; 중심부궤양을 동반한 위 점막하종양으로 오인된 횡행결장암의 위 직접 전이 1예

        근종 ( Jo Geun Jong ),김현재 ( Kim Hyeon Jae ),길욱현 ( Gil Ug Hyeon ),남유정 ( Nam Yu Jeong ),김진수 ( Kim Jin Su ),이지인 ( Lee Ji In ),한상우 ( Han Sang U ),김성훈 ( Kim Seong Hun ),박지찬 ( Park Ji Chan ),정정 ( Jeong Jeon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3 No.-

        <서론> 위 점막하 종양은 점막교가 특징적으로 관찰되며 정상과 같은 양상의 점막소견을 보인다. 횡행결장암이 위로 직접 전이한 전이위암의 경우 점막하종양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이때 위결장누공을 형성할 수 있다. 위결장누공은 위궤양, 외상, 감염 등과 위와 대장의 악성 종양에 의해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최근 위암과 대장암이 조기진단되면서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위결장누공을 형성하는 횡행결장암의 위 직접 전이는 국내에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 SCOPUSKCI등재

        Fontan 수술 후 전폐절제술 -1례 보고-

        김현조,성숙환,김용진,Kim, Hyeon-Jo,Seong, Suk-Hwan,Kim, Yong-Ji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8 No.8

        A 3-year old female who underwent modified Fontan operation for the 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with hypoplastic left ventricle at the age of 15 month was admitted with hemoptysis, which was developed 4 days prior to visit. Cardiac catheterization revealed that multiple collaterals from descending thoracic aorta supplied the right lung and drained to the right pulmonary artery. Che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that the right lung was consolidated by the secondary long-term pulmonary congestion. We decided to perform pneumonectomy because the consolidated right lung and the back-flow from the right pulmonary aretry would worsen the present hemodynamic state of patient.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she could be discharged with good general conditions.

      • URC에서의 소프트웨어 로봇 기술

        김현,,Kim Hyeon,Jo Yeong-Jo 대한전자공학회 2006 전자공학회지 Vol.33 No.3

        URC(Ubiquitous Robotic Companion)는 기존 로봇에 네트워크 및 정보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새로운 개념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나와 함께하며, 나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이다. URC에서의 서비스는 물리적인 로봇뿐만 아니라 환경 내 내재된 임베디드 로봇 및 소프트웨어 로봇을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소프트웨어 로봇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언제 어디서나 상황에 맞는 정보와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지능형 소프트웨어"로 정의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로봇의 개념과 이 개념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논의한다.

      • SCOPUSKCI등재

        늑막유착을 동반한 질환에서의 비디오 흉부수술

        성숙환,김현조,이창하,김주현,Seong, Suk-Hwan,Kim, Hyeon-Jo,Lee, Chang-Ha,Kim, Ju-Hy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8

        늑막유착이 있는 경우에서의 비디오흉부수술은 금기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늑막유착이 비디오흉 부수술 도중 발견되는 경우에는 출혈 및 폐실질 손상의 가능성 등으로 인하여 개흉술로 전환하여 수술 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본 병원에서는 늑막유착이 있는 경우에서의 비디오 흉부수술의 가능성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 7월 7일부터 1995년 9월 4일까지 비디오 흉부수술을 연속적으로 226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고, 이중 50명(22.1%)에서 수술 중 늑막유착이 발견되었다. 기흉 환자 16명, 늑막 질환 환자 15명, 양성 폐결절 7명, 종격동 종양 5명, 다한증 환자 2명, 미만성 폐실질 질환의 폐생검 2명, 원발성 폐암에 대한 폐엽절제술 1명, 기관지 확장증으로 폐엽절제술을 시행 받은 2명의 환자에서 늑막유착이 있었다. 늑막유착은 포함된 범위와 유착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포함된 범위 에 따라서 I도, II도, III도로 나누었고, 유착의 정도에 따라 경도, 중등도, 심한 정도, 매우 심한 정도로 분류하였다. 수술 전 늑막의 비후가 발견되어 늑막 박피술이 필요한 정도의 늑막유착은 매우 심한 정도\ulcorner 분류하여 비디오 흉부수술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이번 연구 대상에서는 제외시켰다. 50명의 환자 중에서 유착의 정도는 경도가 15명(30.0%), 중등도가 29명(58.0%)이었으며, 심한 정도의 늑막유착도 6명(12.0%)에서 있었으며, 유착의 범위는 대부분(32명, 64.0%)이 II도에 속하였으며, I도와 III도가 각각 8명(16.0%), 10명(20.0%)이 었다. 늑막유착이 있는 환자에서 수술 시간, 흉관거치기간, 재원 일수등이 늑막유착이 발견되지 않았던 환자에 비하여 증가되어 있었다. 수술후 합병증으로 지속적 공기 유출 또는 흉관 배액이 늑막유착이 있는 환자에서 각각 18.0%와 6.0%로 늑막유착이 발견되지 않았던 환자에서의 5.1%와 1.7%에 비하여 많은 분포를 보였다. 기관지 확장증 2명(4.0%)에서 늑막유착 박 리 도중 발생한 출혈로 인하여, 개흉술로 전환하였다. 늑막유착이 있는 환자에서의 비디오 흉부수술은 수술 시간, 흉관거치기간, 재원일수등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으나, 비디오 흉부수술의 기타 장점을 고려하여 볼 때 문제점은 되지 않을 것으로 사려된다. 또한 수술 중 발견되는 예상치 못한 늑막유착 환자에서도 비디오 흉부수술의 시\ulcorner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In patients with pleural adhesion,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has been regarded as a contra- indication. When such adhesions were found during a thoracoscopic trial, the thoracotomy proceeded with for fear of parenchymal Injury and bleeding. We had a question whether or not thoracoscopic surgery should be done in such pleural adhesions. Of the 226 consecutive thoracoscopic surgeries from Jul. 1992 through Sep. 1995, pleural adhesions were detected intraoperatively in 50 cases (22.1%): a detailed breakdown is as follows: pneumothorax (16 cases), pleural disease (15), benign pulmonary nodule(7), mediastinal mass(5), hyperhidrosis (2), diffuse parenchymal or interstitial lung disease (2), bronchiectasis(2), and primary lung cancer(1). We classified pleural adhesions according to their extent and severity. Extent is categorized as the involved area of the lung: degree 1, II, or III; severity is given one of four grades: mild, moderate, severe, or ve y severe. In cases of very severe severity requiring decortication, the possibility of VATS was excluded. Of the 50 cases, mild adhesions were detected in 15 cases(30.0%), moderate in 29 (58.0%), and severe in 6 (12.0%). As for the extent of the adhesions, 8 cases (16.0%) were categorized as degree 1, 32 cases (64. 0%) as degree II, and 10 cases (20.0%) as degree III. For patients with pleural adhesions, the operation time, the chest tube indwelling time, and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ere all longer than for patients in the non-adhesion group. Postoperative complications, namely prolonged air-leakage and pleural drain- age, were more common (18.0% and 6.0%, respectively) than in the non-adhesion group (5.1% and 1.7%, respectively). Only two bronchiectatic patients (4%) were converted to an open thoracotomy because of in- ability to control bleeding. Although complications were encountered more frequently in the group with adhesions, patients were still able to enjoy the benefi s of thoracoscopic surgery. It is advisable to proceed with thoracoscopic surgery even in cases of unpredicted pleural adhesion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비디오 흉부수술의 평가

        성숙환,김현조,김주현,Seong, Suk-Hwan,Kim, Hyeon-Jo,Kim, Ju-Hy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7 No.12

        Over the past few years,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has been used increasingly for intrathoracic pathologic problems as a less invasive operative techniques. Today it is viewed as a sparing and safe alternative to thoracotomy for a wide spectrum of indications. Using video-assisted operative thoracoscopy, we performed consecutive 150 operations on 148 patients during the initial 2 years of our experience from July 1992 with the following indications: pneumothorax [n=53], hyperhidrosis [n=29], mediastinal mass [n=23], pleural disease [n=13], diffuse parenchymal or interstitial lung disease [n=12], benign pulmonary nodule [n=7], metastatic lung mass [n=3], primary lung cancer [n=3], bronchiectasis [n=2],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n=2], endobronchial tuberculosis [n=1], esophageal achalasia [n=1], and pulmonary parenchymal foreign body [n=1]. There were no death, and overall complicaton rate was 24.0%[n=36]. The most prevalent complication was persistent air leakage [longer than 5 days] in 14 cases [9.3%]. Persistent pleural effusion [longer than 5 days] occurred in 6 cases [4.0%]. Six patients were converted to an open thoracotomy because of inability to control the operative bleeding [n=3], failed adhesiolysis in bronchiectasis [n=2], and radical excision of an lung cancer [n=1]. Pneumothorax recurred in 3 cases[2.0%]. Other complications were Horner`s syndrome, diaphragm tears, temporary phrenic nerve palsy, hoarseness, subsegmental atelectasis, transient respiratory difficulty, and esophageal mucosal tear. The advantages of this minimally traumatizing operative technique lie in improved visualization, decreased pain, shortened hospital stay, and less postoperative morbidity. The indications of VATS has been extended increasingly to intrathoracic pathologies, but its role in the managements of primary lung cancer and esophageal disease remains to be defined.

      • SCOPUSKCI등재

        관상동맥우회술 후 1년 개존성에 관한 연구

        김기봉,김현조,성기익,Kim, Gi-Bong,Kim, Hyeon-Jo,Seong, Gi-Ik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12

        1994년 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78례 중 49례 (62,8%)에서 수술 1년 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 혈관의 개존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후 및 수술과 관련된 여러 위험 요소들이 개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관상동맥 우회술 후 평균 13.4$\pm$2.1개월 째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내유동맥으로 문함을 시행한 60개소 중 3개소에서 string sign을 보였으나, 폐쇄 없이 전례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요골동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4개소는 모두 개존성이 유지되었다. 복제정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81개소 중 69개소(85.2%)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12개 소(14.8%)에서 폐쇄되었다. 개존성에 미치는 위험요소로 수술 전,수술 중 그리고 합병증 등의 수술 후 요소로 나누어 일원적 및 다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내유동맥의 협착 과 복재정맥의 개존성, 폐쇄에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내유동맥은 환자의 연령(60세 이상),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수술 후 출혈, 및 급성신부전 등 합병증이 이식 혈관의 협착과 관련된 위험 인자였으며, 복제정맥은 우회술을 시\ulcorner 받은 관상동맥의 직경이 1.5mm 이하인 경우가 이식 혈관의 폐쇄 위험성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 분석되었다(p<0.05). 관상동맥 우회술 1년 후 이식 혈관의 개존성은 내유동맥이 복재정맥보다 우수함을 보였으며 환자 연령 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여부, 출혈,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 및 문합된 관상 동맥의 직경 등이 개존에 관련된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술 후 이식혈관의 폐쇄 여부에 대한 11측과 수술 방법이나 수술 후 환자의 추적 관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etween July 1994 and August 1995, 78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oronary angiogram was performed one year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in 49 patients(62.8%) for evaluation of the graft patency and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for graft occlusion. The patency rates of both the internal mammary artery and the radial artery grafts were 100% , although three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s(5.0%) were narrowed(string sign). And that of the saphenous vein grafts were 85.2%. Multivariate analysis for the preoperative, operative, and postoperative factors was done between the widely patent and the narrowed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groups, and between the patent and the occluded saphenous vein graft groups by the general linear models procedure. Patient's age($\geq$60 years), postoperative intraaortic balloon pump insertion, bleeding, and acute renal failure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narrowing, and coronary artery size(< 1.5 mm) was the significant risk factor for the saphenous vein graft occlusion (p<0.05) .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arterial graft is superior to the vein graft at one-year patency rate, and suggests the risk factors for graft occlusion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year. Knowledge of this study may provide a basis for estimating the risk factors for graft occlusion, and thereby modifying surgical strategy and postoperative surveil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