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용 건축물의 리모델링 요구 분석

        김천학,김의식,양극영,Kim, Chun-Hag,Kim, Eui-Sik,Yang, Keek-Yong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3 No.1

        This study has researched upon customers' request in the remodelling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that the research results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data when the remodelling work is under implementation. This study also has collected the residents' upgrading request on their residential buildings, and graded the request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For those purposes, this study classified the problem items through classified analyses and, built the census items, based on the results. Then, the residents' requests on the residential building were presented by importance rates through coupled analysis census. Also, the importance rates have bee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tems which predict the importance of each construction item.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setting up the direction of the remodelling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predicting the customer requests in the future, even though the remodelling of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has not been activated yet.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in the remodelling and construc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 KCI등재

        보조형용사(補助形容詞) ‘-고 싶-’ 구성의 통사적(統辭的), 의미적(意味的) 특성(特性)

        김천학(金天學) ( Kim Cheon-ha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본고는 보조형용사 ‘-고 싶-’ 구성의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 싶-’ 구성은 ‘-고’와 ‘싶-’ 사이에 보조사는 결합 가능하지만, 격조사는 결합하기 어려우므로 보조용언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영어의 ‘want’처럼 ‘희망’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언어 유형론적으로 제한된 보절 방책을 갖는데 한국어에서 ‘-고 싶-’은 보조용언 구성으로 표현되고, 주로 화자가 주어와 일치할 때 화자의 ‘희망’을 표현하게 된다. ‘-고 싶-’은 ‘보다’와 같은 일부 타동사와 결합할 때 두 번째 논항의 조사 ‘을/를’이 조사 ‘이/가’로 자연스럽게 교체될 수 있다. ‘NP2이’가 사용되면 ‘-고 싶-’ 구성은 주어-목적어가 중화되어 ‘NP2이’는 주어성을 잃고 ‘중립적 해석’을 나타내게 된다. ‘-고 싶-’ 구성의 ‘NP2이’가 주어성이 없는 것은 이것이 문장 안에서 통사적 주축(syntactic pivot)이 될 수 없음을 통해 입증된다. 한편, ‘-고 싶-’ 구성의 ‘NP2’는 조사 ‘이/가’가 결합되기 때문에 관형절 구성에서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중의적으로 해석된 피행위주는 다시 행위주와의 관계와 화자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다중 해석이 가능해진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 of the Korean auxiliary construction ‘-ko sip-’. The ‘-ko sip-’ construction is an auxiliary construction because a nominative or accusative particle cannot be inserted between ‘-ko’ and ‘sip-’. While the ‘-ko sip-’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as an auxiliary in Korean, ‘want’ and ‘hope’ can be classified by an unusual complement clause that does not have a noun phrase equivalent in English. When the verb ‘boda’, meaning ‘see’, precedes the ‘-ko sip-’ construction, the particle of the second argument of the sentence can change from ‘ul/lul’ to ‘i/ka’. The particle ‘i/ka’, if used in the second argument, loses its subjectivity and can be interpreted to represent a neutralized description. It can then be proved that the second argument cannot be a syntactic pivot in the sentence. If the second argument of the particle ‘i/ka’ uses a relative construction, it can be interpreted with dual meanings, because the actor and the undergoer are expressed by the same form of the particle ‘i/ka’. In this case the undergoer in this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with multiple meanings, not only in relation to the actor but also in relation to the speaker.

      • KCI등재

        어휘상 유형에 따른 ‘-었-’의 결합 양상 고찰

        김천학 ( Kim Cheon-hak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본고는 동사의 어휘상 유형에 따른 ‘-었-’의 결합 의미를 통해 ‘-었-’이 표현하는 의미가 어떠한가를 조사한 것이다. 상태성 술어와 ‘-었-’의 결합은 ‘변화된 상태’와 ‘상태 그 자체’의 의미로 양분되며, 그 차이는 변화 과정의 파악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종결성 동사는 점진적 과정을 통해 사건의 종결에 이르기 때문에 사건의 종결과 사건의 중단을 나타낼 수 있다. 순간성 동사와 ‘-었-’의 결합은 동적인 상황과 정적인 상황을 표현할 수 있다. 순간성 동사가 동적인 상황을 나타낼 때에는 기동의 국면을 나타내며, 순간성 동사가 정적인 상황을 나타낼 때에는 그 결과 상태의 의미만을 나타내게 된다. 비종결성 동사들은 끝점이 없으므로 시간 부사구의 범위 안에서 사건의 종결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비종결성 동사와 ‘-었-’의 결합은 과거의 상황만을 나타낸다. ‘-었-’이 완수 동사들과 결합하여 표현하는 현재 관여적 상황은 현재 완료에 가깝다. 완수 동사와 ‘-었-’의 결합이 현재적 상황을 나타내는 경우는 과거의 행동이 현재의 상황에 관여적인 것을 지시하게 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arious functions of a prefinal ending ‘-ess-’ when it is used with different types of verb, including state verbs, accomplishment verbs, achievement verbs and activity verbs. The changes of ‘-ess-’ functions are largely due to the associated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verb. Firstly, the findings report that when an ‘-ess-’ is combined with a state verb, its main meanings are to either represent ‘a changed state’ or ‘a state itself’. The use of ‘-ess-’ with accomplishment verbs, emphasizes the completion of an event, and also the stopping of an event. An ‘-ess-’ can also be used to stress a situation as either being dynamic or static when it is used with an achievement verb. In addition, if an ‘-ess-’ is used with an activity verb, it expresses the past tense of the verb. However, if an ‘-ess-’ is used with an accomplishment verb, the ‘-ess’ expresses a tense similar to the past perfect tense in English.

      • KCI우수등재

        법상(法上) 『십지론의소』 「가분석」의 전개

        김천학(Kim cheon hak)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8 No.-

        본고는 초기 지론사인 법상 『십지론의소』의 『십지경론』 「가분」에 대한 해석, 즉 「가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해석이 제자인 혜원에게 전승되고 비판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지론사상의 계승 및 전개의 한 단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십지경론』「가분」은 지론사상 이해의 중요한 근거가 되는 부분이며 여기에는 삼매와 언설, 육상, 삼종의 궁극(盡) 등의 교리가 주축을 이룬다. 본고에서는 『십지경론』「가분」의 과문과 이에 대한 『의소』의 과문, 그리고 혜원과의 관련을 통해 그 해석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의소』의 「가분석」 가운데 후에 설법의 근거로서 중요한 관점을 제공하는 삼매와 언설의 문제를 혜원과의 관련을 염두에 두면서 상세히 논하였다. 『의소』「가분석」에서는 가분에 해당하는 『경』문 일부와 『논』문 전체를 과문을 통해 해석하고 있는데, 『십지경론』을 해석할 때 경문과 과문을 나누어 과목을 설정하는 방식은 혜원에게 이르러서 철저해진다. 다만, 과문의 명목 상에 혜원에게 계승된 부분은 없다. 그런데 「가분석」의 해석을 통해서 볼 때는 혜원의 『십지론의기』에서 『의소』를 참조한 것이 확인되며, 『의소』의 해석을 비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신행지(信行地)’ 보살에 대해서 지전으로 규정하는 『의소』의 해석은 『의기』에 수용될 뿐 아니라 『대승의장』으로 적극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의기』에서는 십종입에 관한 『의소』의 해석을 ‘어떤 사람(有人)’ 으로 명명하며 비판하고 있다. 삼매와 언설의 문제에서 『의소』에서는 부처는 삼매 가운데서도 언설이 가능하고, 보살은 삼매로부터 일어나야 교설이 가능하다고 해석하지만, 『의기』에서는 삼매로부터 일어나서야 설법이 가능하다고 해석을 견지한다. 그러나, 이후 지론종을 계승한 화엄종에서는 삼매와 언설의 문제에서 『의소』의 해석과 궤를 같이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spects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Dilun thought through Shidi lun yishu on Power Verses by Fashang in early Dilun School. Power Verses of Shidi jinglun is an essential part of understanding the Shidi thought of Dilun school. As Fashang interpreted Power Verses of Shidi jinglun, he used the method of Division of a text which is breaking sentences of sūtra and śāstra. This approach standardized by Huiyuan later. Although he systemized the method, Huiyuan did not succeed the contents on the Division of a text. In details, we can find that Huiyuan used the interpretation on Power Verses by Fashang as a reference and made a critique about it. In the discussion of the nine kinds of entry(入), Huiyuan also criticized Fashang’s interpretation designating Fashang as ‘somebody (有人)’ in his interpret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samādhi, Fashang viewed that language is possible during samādhi for Buddha but it is only possible by awakening from samādhi for Bodhisattva. In the meantime, Huiyuan asserted that sermon can only be possible after awakening from samādhi. Huayan school that succeed Dilun school, however, held identical view with Fashang on the matter of language and samādhi.

      • KCI우수등재

        법장의 『화엄교분기』 종성론에 대한 균여의 이해

        김천학(Kim, Cheon-hak)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5 No.-

        본 고는 화엄의 종성론을 테마로 해서, 고려시대 균여의 화엄 종성론의 특징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장이 인도에서 귀국한 이후 발생한 구유식학파와 신유식학파의 논쟁은 종성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종성논쟁은 본질적으로 유식학파간의 논쟁이었지만, 당시에 종남산에서 거주하던 화엄학자 지엄도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저술에서 피력하게 된다. 지엄의 견해는 수행을 중시한 종성론이다. 이러한 지엄의 견해는 법장을 통해 동아시아 화엄가들의 기본 입장이 된다. 법장의 종성론에 대한 사유는 『화엄교분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균여가 『석화엄교분기원통초』에서 이 부분에 대해 주석한 내용을 검토하면, 균여의 이해 가운데 오해에 의해 구성된 부분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화엄가의 공통적 현상이긴 하지만, 일본 헤이안시대에 쓰여진 『화엄종성의초』와의 비교를통해 균여만의 특정을추출할수 있다. 균여의 종성의는 법장을 답습하기는 하지만, 종교 종성의의 성격 규정에 있어 본각을 여러 각도에서 비춰본다. 또종성이 보불과관련 있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볍장의 『기신별기』를 인용히-여 그 명증성을 기한다 그것은 오히려 법장 사유에 대한 약간의 오해로부터 비롯한 논리였다. 또한 법상유식파를 비판하기 위해 법상종의 논소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는데, 종교에 해당하는 『섭대승론』을 시교와 관련시켜 이해하여 종교의 입장에서 시교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는 방법을 시용하기도 한다. 나아가 종교의 종성론에 대해서도 또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는 결국 완성된 원교의 교리를 도출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점에서도 오해에 근거한 주석을 통해 화엄교리가 심화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ayan theory of zhongxing(種性 gotra, clan or lineage) in Kyunnyo(均如) of the Koryeo dynasty in the history of the Huayan theory of zhongxing. The view of Zhi-yan(智嚴) as the establisher of Huayan studies on Zhongxing was focused on practice. This view became the basic understanding of zhongxing in the Huayan scholars of East Asia through Fazang(法藏) . Fazang’s thought on Zhongxing can be ascertained in the Huayanjiaofenji(華嚴敎分記). Through the analysis of Kyun -nyo’s commentary on it in also be ascertained to have been partly composed of a misunderstanding of it. Although such phenomenaoccur generally among Huayan scholars, Kyun -nyo’s distinctive understanding can be extracted through its comparison with the Kegonshu shushogisho(華嚴宗種性義抄) in the Heian period of Japan. Kyun-nyo’s understanding of zhongxing inherits Fazang’s by and large, his establish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ificance of Zhongxing in the Final teachings is especially based upon the illumination of Benjue(本覺, original awakening) from diverse perspectives. In addition, he clarifies it through the citation of Fazang’s Qixinbieji(起信別記, Additional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n order to prove its relation with the thought of Bao Fu(報佛,Recompensed Buddha), which is a result of his partial misunderstanding of Fazang's thought in its logic. He also thoroughly investigated the commentaries of the Faxiang(法相) school in order to criticize the doctrines of the Faxiang Weishi(法相唯識, understanding the Mahayana-sarngraha belonging to the Final teachings in relation to the Elementary teachings in his critical attitude to the Elementary Teachings on the basis of the Final teachings. Further, he maintain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theory of zhongxing in the Final teachings. These series of steps as preparatory works in order to establish finally the doctrine of Yuanjiao(圖敎) in its perfection can be interpreted to be the deepening of Huayan thought through commentarial works in misunderstanding.

      • KCI등재

        원효「광명각품소」의 해석상의 특징: 동아시아 화엄사상의 관점에서

        김천학 ( Cheon Hak Kim ) 이화사학연구소 2015 梨花史學硏究 Vol.0 No.51

        This article aims at figuring out the possibility that Wonhyo’s Huayan thoughts might be established within the context of East Asian Huayan thoughts by examining Wonhyo’s explanation on Chapter ‘Awakening by Light’(光明覺品) which is the all of the extant parts in his exegesis of Buddhavatamsakasutra. Regarding Chapter ‘Awakening by Light, ’ eight explanations are extant, which are from Huiguang( )’s extant part of Huayanjingshu (華嚴經疏), Lingbian(靈辯)’s Huayanjingrun(華嚴經論), Zhiyan(智儼)’s Suxuanji(搜玄記), Fazang(法藏)’s Tanxuanji(探玄記), Huiyuan(慧苑)’s Kandingji(刊定記), Litongxuan(李通玄)’s Xinhuayanzinglun(新華嚴經論) and Chengguan(澄觀)’s Huayanjingshu(華嚴經疏). This article compares Wonhyo’s explanation with these eight ones focusing on the way of breaking the Sutra down into small sections for analysis(科文). Among these, Huiguang’s explanation affects specifically Zhiyan’s one and Wonhyo is influenced by Zhiyan while Wonhyo’s way of explanation has an effect on the exegeses of Faznag, Huiyuan and Chengguan. The characteristic of Wonhyo’s explanation found in his exegesis of Chapter ‘Awakening by Light’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ly, as for the way of breaking the Sutra down, Zhiyan’s way of interpreting the Sutra which is formed from the four parts is generally accepted by the Huayan theorists after him but Wonhyo takes only two parts, namely basic meaning(來意) and explication following the text(隨文釋). Secondly, Wonhyo interprets the verses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a’s name, Buddha’s teaching, Bodhisattva’s name and Bodhisattva’s teaching, which seems to be established by himself. At the same time, the contents of Wonhyo’s explanation might be affected by Huiguang and can be connected to the viewpoint of Litongxuan. Thirdly, Wonhyo defines Chapter ‘Names of the Buddha, ’ ‘The Four Holy Truths, ’ ‘Awakening by Light, ’ and ‘An Enlightening Being Asks for Clarification’ as the parts on faith(信心分), which is unique to Wonhyo. These characteristics of Wonhyo’s interpretation might come from his doctrinal position of trying to reveal the Buddha’s original feature based on the practical perspective such as asserting the dual functioning of calm and insight(止觀雙運) in the explanation of the reason why the Buddha emits a hundred billion light beams.

      • KCI등재

        특집 : 한국 고대 동아시아 사상의 교류 ; 일본불교의 원측에 대한 인식 -나라시대를 중심으로-

        김천학 ( Cheon Hak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본고는 일본 불교에서의 원측 이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첫째, 일본 쇼소인(正倉院) 고문서에 기록되어 있는 원측 저술의 필사 기록을 조사하여 원측 저술의 유통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는 나라시대 법상종 문헌에서의 원측 인용에 대한 한 예를 검토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일본 나라시대에 중국 법상종에 대한 정통의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기존 견해를 방증하는 결론에 이를 것이고, 나아가 일면 신라의 원측이 중국의 기보다 더 중시되었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도출할 것이다. 나라(奈良)시대에는 사경소가 설치되어 많은 불교 저술이 필사된다. 쇼소인에는 이와 같은 8세기의 고문서가 1만여 점 정도 전해진다. 나라시대에 필사되었던 원측의 저술은 총 9종류이다. 원측의 저술은 731년부터 774년까지 44년에 걸쳐 꾸준히 필사기록이 보이는데, 특히, 747년과 751년에 가장 많이 필사된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된 저술은 『성유식론소』로 30여 회 필사기록이 남아 있다. 한편, 나라시대에 필사된 기의 저술은 원측 저술의 2 배인 19여종에 이른다. 그의 저술도 역시 731년부터 필사되기 시작한다. 95여회의 필사기록이 있는 원측보다 30여회 많아 122회에 달한다. 하지만, 필사된 기의 저술 종류가 원측 저술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볼 때, 일본에서 기의 저술을 원측의 저술보다 특별히 더 중시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되는 것이 『법화경소』의 명칭으로 필사된 『법화현찬』 10권이다. 반면에 『성유식론소』는 14회 정도 필사된다. 반면에 원측의 『성유식론소』는 30여회 필사된다. 이 같은 통계로부터 770년대까지는 『성유식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원측의 『성유식론소』가 기의 『성유식론소』보다 더 중시되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추측도 가능하다. 원측의 제자 도증과 기의 제자 혜소에 대한 필사 기록에도 거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즉 도증과 혜소의 학파 상승관계를 염두에 두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혜소의 저술로서는 『최승왕경소』가 많이 필사되는데 일본에서 호국경전으로서 중시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나라시대 말 젠주의 저술 『증명기』와 젠주 다음에 활약했던 고묘를 통해 볼 때, 당시, 특별히 원측과 기를 차별하려는 입장이나 신라와 중국을 구별하려는 학문적 태도를 확인할 수 없다. 향후 일본에서의 원측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젠주 뿐 아니라 젠주 이외의 유식문헌과 유식문헌 이외에서의 원측인용의 예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Japanese Buddhism of the Nara period. In this study, firstly, I researched the circulation of Wonchuk`s writings by investigating the recordings on the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presented in the ancient documents of Shosoin(正倉院) in Japan. Secondly, I probed an example of citation of Wonchuk`s writings in the documents of the Hosso school in the Nara period. Thu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supports the existing supposition that there had been no consciousness on the orthodoxness of the Chinese Fashang school in the Nara period, with the possibility that Wonchuk from Silla might have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Chinese Chi. In the Nara period, there have been many transcriptions of Buddhist writings with the establishment of transcription offices in many places. In Shosoin, there remains about ten thousand pieces of such ancient documents from 8th century. In total, 9 kinds of Wonchuk`s writings had been transcribed in the Nara period. From 731 AD to 774 AD, for 44 years, there are recordings on continuous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especially in the years of 747 AD and 751 AD. The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30 times, which shows its popularity excelling the other works of Wonchuk. On the other hand, the transcription of Chi`s writings in the Nara period is recorded to have been done in 18 kinds, which are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s writings. His writings also began to be transcribed in the year of 731 AD. The number of times being transcribed in the case of Chi`s writings surpasses the one in the case of Wonchuk`s writings by 34 times, its being 126 times compared to 92 times in the latter case. Considering the kinds of Chi`s writings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 however, I could not come to the conclusion that Chi`s writings have been transcribed saliently more often than Wonchuk`s writings. Among Chi`s writings, the Fahuaxuanzan(法華玄贊) in 10 volumes, in the name of the Fahuajingshu(法華經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most often, while 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17 times. From such statistical analysis, until the decades of 770 A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engweishilun(成惟識論), Japanese Buddhist scholars might be carefully supposed to have focused on Wonchuk`s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more than on C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Considering the writings of Jenju(善珠) and Gomyo(護明) in the end of the Nara period, I could not ascertain their scholarly attitude to distinguish Wonchuk and Chi or to distinguish Silla and China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eishi(惟識) school. In the future, there remains the necessity to analyze more critically the cases of their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Weishi and other docu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more thoroughl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Japa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