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鐵)과 탄(炭)의 장면 : 광업과 자원의 인간학

        김예림 ( Kim Ye-rim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7

        산업, 생산, 개발의 근원인 광물과 광업은 근대적 역동의 원천인 만큼 죽음과 폐기의 원천이기도 하다. 피폐와 고갈은 자연의 영역에서만 발생하지 않는다. 탄광 노동자가 알려주듯이 소진은 자연의 사건만이 아닌 것이다. 이들은 강고한 자연과 잔혹한 자본 그리고 교활한 국가가 교접하는 두터운 지표를 작은 칸델라 불빛에 의지해 횡단한다. 이 글에서는 광물과 광업 그리고 광업노동자가 일련의 시대적 현실을 배경으로 어떤 표상을 부여받았는지, 철과 석탄의 의미론에 초점을 맞춰 분석한다. 시기적으로는 전시체제기부터 해방기에 이르는 시점에 주목하였다. 전시의 물자부족으로 인해 자원의 보전과 증산이 그 어느때보다도 강조되었다. 이 시기에 이북명은 ‘국방자원’을 암거래하는 조선인 룸펜프롤레타리아를 통해, 버려진 철조각을 파내는 저발전 지대 빈곤층의 현실을 ‘지상의 광부’라는 뒤틀린 상으로 묘파했다. 해방과 더불어 자원, 광업, 광업노동자를 둘러싼 상상력은 크게 변화하여 내셔널리즘적 틀이 공고해진다. 이는 근대 광업에 내재되어 있는 마이너 트랜스내셔널리즘적 경향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상은 안회남, 한설야, 황건의 소설에 기대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한설야와 황건은 국가건설기의 광업과 광업노동자를 식민주의적 노예노동으로부터 벗어나 기술과 지식을 전유한 존재로 그리면서 ‘찬란한 국가’의 서사를 썼다. 이 과정에서 광업노동자의 포섭될 수 없는 이타성은 소거되었다. 광업과 자원의 인간학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탄광 노동자가 국가-자본의 높고 강한 파고에 부딪치면서 생겨난 미세한 흔적, 채 상상되거나 기록되지 못한 충돌과 길항의 사건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Minerals and the mining industry are the roots of death and impoverishment, as well as that of modern production and development. Death and impoverishment are not limited within the field of nature. As coal miners show, exhaustion is never just the realm of nature. They traverse the underground world where nature's strength, cruel capital, and crafty states converge only with small lanterns. This article explores what kind of representation and cultural-political meaning were given to minerals, the mining industry, and mine workers by constructing a semantics of iron and coal, focusing on the wartime to liberation period (1937~1948). Due to a commodity shortage during war, resource conservation and increased production were more strongly emphasized than before. During this period, Lee Pukmyong problematized the reality of the poor strata in colonial Korea by describing the lumpen proletarian or 'minor on the ground' who illegally picked and sold discarded pieces of metal on the black market.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and expanding imagination of resources, the mining industry and mine workers have changed to the extent that nationalism grew strong. This means that the tendency of minor transnationalism embedded in the modern mining industry has significantly weakened. Ahn Hoe-Nam, Han Seolya, and Hwang Geon's works demonstrate this nationalistic turn. Han Seolya and Hwang Geon wrote a narrative of the ‘splendid’ state, describing miners as perfect technicians emancipated from colonialist slave labor and have at last appropriated knowledge, technology, and patriotism. However, in the process of crafting the story of the ‘pillar of industry’ the irreducible complexities and alterities of miners, the uncontrolled and resistant labor-machine, were erased. To construct an anthropology of the mining industry and resources, the traces of conflict or rupture arising from the clashes between state-capital and miner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자기이해를 위한 초등학생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예림(Yea-Li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과 교육 Vol.17 No.1

        미술 수업에서 학생이 작품에 담을 의미의 부재, 흥미의 부재, 자신감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배움의 욕구를 만드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미술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자기 이해의 과정을 거쳐 작품에 의미부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 의미를 알아보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생의 자아 개념과 정체성의 현대적 의미를 소개하며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경기 안산 A초등학교 5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단계와 지도 과정을 고안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적용한 세부 단계는 프로필 목록과 정체성 마인드맵을 활용한 정체성 인식 활동하기, 주제 정하기, 상징화하기, 밑그림 그리기, 폴리보어를 이용하여 작품 제작하기, 서로의 작품 해석 및 유추적 감상하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 뒤에 사후 설문지를 통해 실제로 학생들의 활동 결과를 분석하고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접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아를 깊이 탐색하고, 미술을 폭넓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Art class in Korea’s elementary school had the limitation to make students be absorbed in their work. A pre-survey showed that they could not find out the meaning in their work and some students did not have the interest and confidence as to art class. This study explores the pedagogic possibility of self-understanding, symbolizing their work and improving satisfaction in the class. The composition of program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current meaning of self-concept and identity of primary students to enable them to achieve this goal. This follows action research with the participants of fifth-grade 60 students at A primary school in Ansan City. The specific procedures applied to them are making identity activities using the individual profile and the identity mind map, selecting their own themes, symbolizing, making a rough sketch, producing work for Polyvore and analogizing mutual works. And I analyzed students’ activity results and answers in a post-test survey. By using the program in this essay, students can understand themselves and think art class positive and extensive.

      • KCI등재

        현대미술 감상과 표현의 통합 수업에 관한 연구

        김예림(Kim Yea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미술에 대한 학생들의 고정된 인식과 그에 따른 미적 활동에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필요성이 확인되면서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관악구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명이었으며, 연구자가 개발한 수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하여 학생의 수업활동 자료 및 수업대화 녹음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결과 수업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첫째, 학생들은 현대 미술작품 감상을 통하여 미술은 재현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느낌에 따라 대상을 변형한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인식의 변화를 결과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표현 활동은 현대 미술작품 감상 활동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기존의 관점과 다른 방향으로 의미가 생성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술교사들이 현대 미술작품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실제적 지식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nge the stereotypes students hold about art and art activ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0 sixth-grad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Gwanak-gu, Seoul. An action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art class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Class activities and recorded conversation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tudents were colle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rt class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broke away from the stereotype that art is representation through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works. Second, the students confirmed the changes in their awareness by making artworks that transformed the object according to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ird, the students created meaning that deviated from the conventional perspectives by engaging in expression activities that related to contemporary artwork appreciation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a specific art class program and practical knowledge to help art teachers utilize contemporary artworks at education sites.

      • KCI등재

        Nrf2활성화를 통한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의 간세포보호효과

        김예림,진효정,박상미,변성희,송창현,상찬,Ye Lim Kim,Hyo Jeong Jin,Sang Mi Park,Sung Hui Byun,Chang Hyun Song,Sang Chan Kim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23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31 No.2

        Objectives : Oxidative stress is an important cause of many diseases including liver injury. Therefore, adequate regulation of oxidative stress plays a pivotal role in maintaining liver function.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no studies o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Samchulgeonbi-tang (SCGBT). Therefore,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SCGBT was investigated in HepG2 cells. In this study,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by arachidonic acid (AA) and iron. Methods : To analyz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CGBT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A + iron, the cell viability, apoptosis-related proteins and intracellular ROS, glutathione (GSH), and mitochondrial membrane permeability (MMP) were measured. In addition,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transcription activation and expressions of Nrf2 target gene were analyzed through immunoblot analysis. Results : SCGBT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from AA + iron - induced cell death and inhibited apoptosis by regulating apoptosis related proteins. SCGBT protected cells by inhibiting ROS production, GSH depletion, and MMP degradation against AA + iron induced oxidative stress. Furthermore, Nrf2 activation was increased by SCGBT, and the Nrf2 target genes were also activated by SCGB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CGBT has a hepatocyte protection effect and antioxidant effect from AA + iron induced oxidative stress.

      • KCI등재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병원 실습 자기효능감, 응급구조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비교

        김예림 ( Yerim Kim ),덕원 ( Dukwo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병원 실습 자기효능감, 응급구조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수준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B광역시와 J도의 응급구조과 학생 58명을 대상으로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Chi-squa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동질성 검정을 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병원 실습 자기효능감, 응급구조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병원 실습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았다. 이에 임상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의 병원 실습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학 내의 양질 교육 실시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반복·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제언하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응급구조과의 임상실습 교육 전략 및 대책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and analyze clinical practice self-efficacy, paramedics image, major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paramedic student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 of paramedic students in B metropolitan city and J Do. th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percentage was used, and homogeneity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the Fisher’s effect test. It was calculated using the subject’s age, clinical practice self-efficacy, paramedics image, major satisfactio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refore,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practice self-efficacy than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clinical practice.

      • 뜨두: 초보자를 위한 뜨개질 강의 앱과 AI 스탠드 조명

        김예림(Yerim Kim),성연(SeongYeon Kim),민경연(Gyeong Yeon Min),임여진(Yeojin Im),최정민(Jungmin Choi)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코로나 19 이후, 집에서 취미를 배우는 사람이 늘어났고, 특히 뜨개질에 대한 20·30세대들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관심은 뜨개질 입문자 증가로 이어졌고, ‘유튜브’ 같은 영상매체를 통해 뜨개질을 배우는 경우가 많아졌다. 하지만, 뜨개질 초보자가 영상으로 혼자 배울 시 실을 세게 당겨 코를 만들거나 작품의 마무리를 잘 못하는 등 뜨개질을 제대로 배우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제안하는 ‘뜨두’는 AI 스탠드 조명과 강의 앱을 통해 마치 선생님이 옆에 있는 것처럼 뜨개질 초보자에게 실수를 고칠 수 있게 가르쳐 준다. 제품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뜨개질 모습을 AI 가 분석하여, 앱의 팝업과 제품의 조명 빛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수에 대처하면서 뜨개질 실력을 향상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예림(Kim, Yerim),정혜원(Chung, Hye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2002년이후 약 20년간의 대학생의 진로와 관련된 논문의 연구 동향을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정보원(KCI)에서 2002년 ~ 2019년 10월 1일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1,712건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제목은 초기 시점, 중기 시점, 후기 시점의 세 시점으로 구분하였고, 분석에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핵심단어를 추출하고 빈도수를 분석한 후, 중심성을 구하여 키워드 간 관계를 탐색하였다. 첫째,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이 지난 20년간 꾸준히 연구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도수 10회 이상의 단어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뒤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 시점에는 ‘진로결정수준’, 중기와 후기 시점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은 초기 시점에서는 ‘진로정체감’이 가장 높았으나, 중기 시점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후기 시점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2 and December 1, 2019,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s. To achieve this, 1,712 studies obtain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websit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analysis. The selected studies’ tit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periods: an early period, a middle period, and a late period, respectively. For an analysis, After determining salient keywords and analyzing their frequencies in the titles using text mining methods, this study found centraliti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eyword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regarding the text mining analysi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factors studied repeatedly during the twenty-year period under examination. Next, the text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degree,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for keywords having a frequency greater than ten. In degree and closeness centrality, it was found that ‘career decision-making level’ had the highest factor in the early period, and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the most highest factor. Regarding betweenness centrality, ‘career identity’ had the highest factor in the early perio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est in the middle period,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value in the late period, the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ed for a follow-up study.

      • KCI등재

        기존의 시각문화미술교육을 개선한 지도 방안 연구

        김예림(Kim, Yea L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3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시각문화미술교육은 표현 활동보다는 이해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학보다는 사회문화적 정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부분을 보완하여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교육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활동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또한 배움에 대한 능동적인 수업을 진행하고자 수업을 놀이 활동 중심으로 마련하였다. 놀이에 대한 욕구의 본질은 결핍이라기보다는 생산적인 상태라는 점에서 이를 배움의 욕구와 연결시켜 보려고 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놀이에 참여한 후에 생산적인 표현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프로그램을 만들게 되었다. 수업 프로그램의 단계는 시각문화의 의미와 나에게 영향을 준 시각문화 찾아보는 ʻ시각문화 조사단계ʼ, ʻ발표・토의 단계ʼ, 다섯 고개 놀이의 ʻ놀이 단계ʼ, 마지막으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ʻ시각문화 재해석과 감상 단계ʼ이다.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Korea has been mostly carried out with the understanding activity rather than the expression activity, and some classes even focus on socio-cultural politics instead of aesthetics. To improve these problems, I devised a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program that can provide visual culture education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I centered the lesson on play activities to promote active learning. The desire to play is connected with the desire to learn as it is a production rather than a deficiency. And the program was created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students after the play activity would express productively. The stages of the class program are the ʻvisual culture investigation stageʼ, the ʻpresentation and discussion stageʼ, the ʻplay stageʼ of the five questions game, and the ʻvisual culture re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stageʼ utilizing digital med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