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의 실천에 대한 탐구

        김예림(Yea-Li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과 교육 Vol.18 No.3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교육과정의 변형과 생산 가능성과 실천적 측면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교사에 의해 해석된 교육과정이 교육과정 자료를 거쳐 수업에서 학생에게 일어나는 배움의 과정을 타 교과와 차별화된 미술교육의 측면에서 자세히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들뢰즈와 과타리의 철학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을 다양체로 바라보는 사유 방식으로 교육과정자체의 변형과 생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은 개발자의 의도에만 한정되어 실행되기보다는 교사, 학생, 사회 등의 현실과 연결되는 양상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므로 실천적 성격을 지닌다. 교사는 잠재의식에서 다양한 부분기억을 현재 의식으로 끌어오면서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교육과정 자료를 선정한다. 교사가 교육과정을 규정하는 행위는 교육과정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확장하는 것이다. 미술교육에서 교육과정 자료, 즉 작품은 정감이 내재된 감각적 힘이 있는 것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이점은 타 교과의 교육과정 자료와는 다른 부분이다. 그리고 수업에서 작품이 학생과 만났을 때, 학생은 감각의 에너지로 예술적 배움과 성장을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미술교육의 역동적인 전 과정은 다른 교과와의 차별성이 있다는 점과 교육과정 가능성과 실천성을 심화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curriculum potential for transformation and production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process in detail from the curriculum as interpreted by the teacher to the learning that occurs in the classroom through the curriculum materials. The process of art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subjects. For this, I will focus on the philosophy of Deleuze and Guattari. The curriculum as a qualitative multiplicity makes the transformation and production of the curriculum itself potential. Since the curriculum has a practical nature, it changes the meaning according to the aspect connected with the reality of the teachers, students, and society rather than being executed only through the intention of the developer. The teacher interprets the curriculum and selects the curriculum materials by drawing various memories in the unconscious to the current consciousness. Defining the curriculum is not to reduce the curriculum potential, but to expand it. In art education, the curriculum materials must be selected as the works that have the power of sensation, affect. This is different from the curriculum materials of other subjects. When the students encounter the work in the instruction, they learn artistically and grow with the energy of the sensation. As a result, the whole dynamic process of art educa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ubjects, and it becomes meaningful because it deepens the practicality and potentiality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자기이해를 위한 초등학생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예림(Yea-Li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과 교육 Vol.17 No.1

        미술 수업에서 학생이 작품에 담을 의미의 부재, 흥미의 부재, 자신감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배움의 욕구를 만드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미술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자기 이해의 과정을 거쳐 작품에 의미부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 의미를 알아보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생의 자아 개념과 정체성의 현대적 의미를 소개하며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경기 안산 A초등학교 5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단계와 지도 과정을 고안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적용한 세부 단계는 프로필 목록과 정체성 마인드맵을 활용한 정체성 인식 활동하기, 주제 정하기, 상징화하기, 밑그림 그리기, 폴리보어를 이용하여 작품 제작하기, 서로의 작품 해석 및 유추적 감상하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 뒤에 사후 설문지를 통해 실제로 학생들의 활동 결과를 분석하고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접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아를 깊이 탐색하고, 미술을 폭넓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Art class in Korea’s elementary school had the limitation to make students be absorbed in their work. A pre-survey showed that they could not find out the meaning in their work and some students did not have the interest and confidence as to art class. This study explores the pedagogic possibility of self-understanding, symbolizing their work and improving satisfaction in the class. The composition of program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current meaning of self-concept and identity of primary students to enable them to achieve this goal. This follows action research with the participants of fifth-grade 60 students at A primary school in Ansan City. The specific procedures applied to them are making identity activities using the individual profile and the identity mind map, selecting their own themes, symbolizing, making a rough sketch, producing work for Polyvore and analogizing mutual works. And I analyzed students’ activity results and answers in a post-test survey. By using the program in this essay, students can understand themselves and think art class positive and extensive.

      • KCI등재

        기존의 시각문화미술교육을 개선한 지도 방안 연구

        김예림(Kim, Yea L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3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시각문화미술교육은 표현 활동보다는 이해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학보다는 사회문화적 정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부분을 보완하여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교육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활동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또한 배움에 대한 능동적인 수업을 진행하고자 수업을 놀이 활동 중심으로 마련하였다. 놀이에 대한 욕구의 본질은 결핍이라기보다는 생산적인 상태라는 점에서 이를 배움의 욕구와 연결시켜 보려고 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놀이에 참여한 후에 생산적인 표현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프로그램을 만들게 되었다. 수업 프로그램의 단계는 시각문화의 의미와 나에게 영향을 준 시각문화 찾아보는 ʻ시각문화 조사단계ʼ, ʻ발표・토의 단계ʼ, 다섯 고개 놀이의 ʻ놀이 단계ʼ, 마지막으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ʻ시각문화 재해석과 감상 단계ʼ이다.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Korea has been mostly carried out with the understanding activity rather than the expression activity, and some classes even focus on socio-cultural politics instead of aesthetics. To improve these problems, I devised a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program that can provide visual culture education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I centered the lesson on play activities to promote active learning. The desire to play is connected with the desire to learn as it is a production rather than a deficiency. And the program was created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students after the play activity would express productively. The stages of the class program are the ʻvisual culture investigation stageʼ, the ʻpresentation and discussion stageʼ, the ʻplay stageʼ of the five questions game, and the ʻvisual culture re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stageʼ utilizing digital media.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에서의 예술 기호에 대한 연구 :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김예림(Kim, Yea L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소쉬르의 기호 이론과 대표적 후기구조주의 학자 들뢰즈의 기호 개념을 비교하면서 후기구조주의에서의 예술 기호가 미술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들뢰즈는 소쉬르의 기호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기표들의 관계에 따라 기호의 의미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호의 기능과 효과에 따라 생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예술작품의 코드들이 관습적 상징들로 구성된 경우 예술작품이 의미하는 바는 기존의 인식구조에서 벗어나지 않는 제한된 의미만을 가진다. 그러나 예술작품에 탈코드화된 부분들이 많을수록 감상자의 경험적 틀로 해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를 하게 된다. 이러한 예술 기호의 감각적 충격은 학생들을 배움의 장으로 진입하게 하고, 습관적 사유에서 벗어나 인식능력의 초월적 실행이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이념이 형성되며, 이념이 현실화되는 과정 속에서 작품의 의미가 생산, 창조된다. 저마다의 인식능력과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작품을 감상하여도 정동의 강도가 다르며 작품의 효력으로부터 생산된 해석은 다양하게 펼쳐진다. 결국 예술 기호의 의미는 작품으로부터 감상자가 받는 영향으로 연결되며, 감상자는 예술 기호로부터 체감한 바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면서 배움의 과정을 겪게 된다. 그것이 예술 기호의 변형이며, 창조이면서 동시에 기호의 의미와 본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aussure’s theory of sign and a poststructuralist Deleuze’s concept of sign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rt signs in poststructuralism for art education. As claimed by Saussure in his semiology, the sense of sign by Deleuze is not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among signifiers but produced by the function and effect of sign. If codes of an artwork comprise customary symbols, the artwork conveys a restricted meaning that fails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cognition system. However, if there are many decoded aspects of an artwork, appreciators do not interpret the artwork based on their experiential frame and attempt to pass their limits. Such a sensational shock of art signs allows students to enter the stage of learning, breaking away from habitual thinking and enabling the transcendant exercise of the faculties. Ideas are formed, and the sense of the artwork is produced and created during the actualization of the ideas. People who appreciate the same artwork have varying degrees of affect because they have different recognition abilities and experiences. The interpretation of the artwork becomes diverse. In the end, the sense of art signs is linked to the effects of the artwork on the appreciator. The appreciator goe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while expressing what was felt through art signs by writing or drawing. This process is th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art signs and the sense and essence of 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