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토콘드리아 유전자 2개를 이용한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발생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메뚜기목: 메뚜기과)의 계통분석

        김영하,정진교,이관석,고영호,Kim, Young-Ha,Jung, Jin-Kyo,Lee, Gwan-Seok,Koh, Young-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4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간척지 중 친환경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2014년도 8월에 풀무치(Locusta migratoria)가 대발생을 하여, 식량작물과 사료작물에 커다란 피해를 주었다. 오랜 기간 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던 migratory locust가 어떠한 원인들에 의하여 대발생하여 해충화 되었는지에 아직까지 모르는 실정이다. 대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해남군 산이면에서 발생한 풀무치의 마이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16S ribosomal RNA와 D-loop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이들과 다른 지역계통간의 유전적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남군 산이면에서 대량 발생한 풀무치는 북방계통 중 유라시아 대륙지역형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2개의 표적 유전자는 국내외 유전적 집단 구조 비교에 활용할 수 있으며 대발생 풀무치의 대발생 원인을 분석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n outbreak of the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in the environment-friendly reclaimed plantations of forage crops in Sanyimyeon, Haenam-gun, Jellanam-do, Korea in August 2014 caused severe damages to various crops. Owing to its first occurrence in the Korean history, the causes underlying the outbreak and phase-transition of the migratory locust were not known. It is critical to establish the genetic relationship of the migratory locust in Sanyimyeon, Haenam-gun with the other previously reported strains in th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outbreak. The gene sequences of the 16S ribosomal RNA (rRNA) and displacement-loop (D-loop) of the mitochondria of various regional species of the migratory locust were used to perform the phylogenetic analysi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migratory locusts in Sanyimyeon, Haenam-gun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urasian strains of the northern lineage. In future, these two mitochondrial genes can be used for elucidating the genetic population structures in migratory locusts in various regions. In addition,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se genes can be us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genetic basis of the outbreak of migratory locusts.

      • KCI등재

        국내 야외 운동기구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TUV 기준을 적용하여 -

        김영하,황선주,박승범,Kim, Yeong-Ha,Hwang, Sun-Ju,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5

        본 연구는 야외 운동기구에 대한 안전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품 안전검사를 평가하는 TUV 기준을 적용하여 국내 거주지 주변에 보급된 야외 운동기구 제품의 안전성 실태를 규명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조달 판매량이 많은 12업체를 선정하고, 판매 선호도가 높은 10개의 야외 운동기구 제품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안전성 평가 요구조건에 대한 야외 운동기구 평균 합격률이 55.1%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야외 운동기구의 고정상태에 대한 요구조건은 안전성이 높게 평가되었지만, 이용되는 유동 상태에 대한 요구조건은 안전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판매 선호도가 높은 운동기구 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교하여 안전성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제작 업체에 따른 안전성 평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 보급되는 운동기구의 안전성이 높다고 볼 수 없으며, 향후 이용 중의 사고예방을 위해 법제정을 통한 안전기준 마련의 시급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안전기준 마련은 사고예방뿐만 아니라, 야외 운동기구의 제작 업체의 경쟁력 강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prepared safety standard for out-door fitness and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evaluate and investigate safety condition for out-door fitness which was distributed in domestic residence by applying TUV standard which evaluate product's safety inspection. We choose twelve companies which have many sales' amount and investigated for ten out-door fitness which have high consumer preferences. As a result of that, the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safety evaluation was 55.1%. The terms desired was evaluated highly in safety for out-door fitness's fixing condition. However, the terms desired was evaluated lowly in safety for movable condition. Fitness equipment which has high consumer preferences was compared lowly than other equipment in safety par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fety evaluation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mpany.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safety standard by establishing law in order to prevent accident while they are using because we cannot think that fitness equipments which was distributed in domestic area have high safety. We think that preparing safety standard can influence on preventing accident and reinforcing out-door fitness manufacturing companies' competitiv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규모 공원 조성을 위한 국공유지의 적합성 평가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김영하,여운상,Kim, Yeong-Ha,Yeo, Un-Sang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5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국공유지 자투리땅을 대상으로, 공원으로 조성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실태파악과 적합성 평가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부산광역시의 국공유지 지목에 대한 재산 목록과 지적도면,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국공유지 자투리땅의 현황 파악과 GIS분석을 통한 공원 적합성 평가 및 국공유지 자투리땅의 토지 특성을 분류했다. 그 결과, 공원으로 조성 가능한 국공유지 자투리땅은 516개소($375,934m^2$)이며, 평지에 위치한 토지가 39%로 가장 많이 분포했다. 또한, 토지 특성은 $500m^2$ 미만이며, 경사도 $5^{\circ}$ 이상의 평지형과 개방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부지수의 25.4%를 차지했다. 그리고 공원 조성에 적합한 부지 선정을 위해 예상 공원이용자 및 공원소외를 고려한 필요성, 토지이용 현황에 대한 공원 공급을 고려한 용이성, 접근성을 배려한 이용가능성의 세 가지 판단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는 조성 가능한 공원의 최적합지로 필요성 260개소, 용이성 305개소, 이용가능성 267개소이며, 이러한 기준의 최대 적합지로서는 61개소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유지의 단순한 유지 보존의 차원을 넘어 적극적인 활용하기 위해 자료를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GIS DB(Date Base) 구축에 대한 방법론과 향후 국공유지 자투리땅의 활용 및 관리에 기초적 자료를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repurposing small pockets of national/public lands, which can be constructed as park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status of these areas of national/public lands that are scattered around Busan Megalopolis as well as the suitability of their construction. In order to attain this, this study looked at the present status of these small areas of national/public lands by utilizing a national land, city land list (lot number), land registration map and satellite image of Busan Megalopolis, and evaluating their suitability as parks through GI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s a result, these small areas of lands with the potential to be turned into parks include 516 spots($375,934m^2$). Geographically, 39% of these areas are located on flat land and are the most scattered. 260 places met the requirements for optimal placement for conversion, while convenience included 305 places, and availability 267 places. The most optimal of the places meeting such standards include 61 spot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reas of national/public lands include being below $500m^2$, with flatlands and open areas above a 5' grade occupy the highest ratio, accounting for 25.4% of the land studied. These results have offered a methodology for a GIS DB, which can visualize the data for a positive utilization be yond the simple level of the maintenance/preservation of national/public land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these types of area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