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상간호에 종사하는 간호원의 직업만족에 관한 소고

        김신혜,Kim Shin Hae 대한간호협회 1965 대한간호 Vol.4 No.4

        이 연구조사의 마지막 매듭을 짓는의미로서 한마디 제외하고싶은것은 이 연구조사에 중요 관심사는 임상간호를 직업으로 갖고 있는 간호원들의 직업만족 여하를 조사해보고자 하는데 있었다는 것과 직업만족을 위한 기준이라고 formulation해 논것은 보기에 완벽 건전할지 모르나 진정 만족도를 측정하기에 사용하는데 맹점이 많을 것임을 말해 두지 않을 수 없다. 독자 제현의 가감, 보강이 필요로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조사는 일개인의 흥미로 검토될 것이 아니라 전체 간호사업 간호전문직업인의 책임으로 끊임없는 연구조사가 요청되는 과제라고 본다. 비단 간호사업의 향상, 발전, 또는 간호라는 전문직업에 종사하는 간호원 개개인의 보다 보람찬 생(삶)을 위해서 뿐만아니라 이로 인해 직접적으로 가장 큰 이익을 얻을 환자를 위해서이다.

      • SCOPUSKCI등재

        미숙아 합병증 발생과 혈중 활성 산화물 농도와의 관계

        김신혜,허혜영,이규형,문자영,채규영,Kim, Shin-Hye,Hur, Hae Young,Lee, Kyu Hyoung,Moon, Ja Young,Chae, Kyu Yo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8

        목 적 :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뇌실주변부 백질연화증, 뇌실내 출혈,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이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 및 조직 손상과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활성 산소와 세포 내 분자들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숙아와 정상 만삭아의 혈중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비교하고, 활성 산화물의 농도와 미숙아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5년 7월부터 2006년 4월 사이에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36주 이하의 미숙아 39명과 37주 이상의 정상 만삭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만삭아군에서 출생일 혈청 total hydroperoxide(TH) 농도를 측정하였고, 미숙아군에서는 출생일과 생후 7일 째 혈청 TH 농도를 측정하였다. 만삭아군과 미숙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하였고, 미숙아군의 분만력 상의 특징, 혈액검사 소견, 뇌 초음파 및 뇌 자기 공명영상 소견, 임상경과 및 예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미숙아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합병증이 없었던 군으로 나누어 출생일과 생후 7일째 혈청 TH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미숙아군과 만삭아군의 출생일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미숙아군은 평균 $186{\pm}42U.carr/L$, 만삭아군은 $157{\pm}36U.carr/L$로 미숙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미숙아군에서,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대조군의 출생일과 생후 7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출생일에는 합병증군 $211{\pm}37U.carr/L$, 비합병증군 $168{\pm}36U.carr/L$로 합병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생후 7일에는 합병증군 $205{\pm}64U.carr/L$, 비합병증군 $188{\pm}32U.carr/L$로 합병증군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군과 정상 만삭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 발생의 위험 인자인 재태주령, 5분 Apgar 점수, 동맥혈 가스검사의 pH, 출생일 TH 농도를 분석한 결과, 재태주령(Odds ratio 0.586, 95% CI 0.370-0.927, P=0.022)과 TH 농도 (Odds ratio 1.046, 95% CI 1.010-1.085, P=0.013)가 독립적으로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였다. 결 론 : 합병증이 발생한 미숙아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나 만삭아에 비해 출생일 혈청 TH의 농도가 높으며, 미숙아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는 미숙아 합병증 발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Purpose : Total hydroperoxide (TH), free radical-mediated oxidation product can be used as a measure of free radical injur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e if preterm newborns are at increased risk for oxidative stress compared with term newborns, and to determine whether oxidative stress during postnatal first 1 week is associated with clinical outcomes in preterm infants. Methods : Serum TH levels of preterm infants (n=39)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erm infants (n=24) on the postnatal day 1. Among the preterm infants, serum TH levels of uncomplicated group (n=23)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complicated group (n=16) who developed oxygen radical related diseases on the postnatal day 1 and 7.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risk factors for oxygen radical injuries based on birth history, laboratory data, neuroimaging findings and clinical progress in two preterm groups. Results : Serum TH levels on postnatal day 1 were higher in the preterm infant group than the term infant group. Serum TH levels on postnatal day 1 in the complicated preterm infa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uncomplicat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TH levels on postnatal day 7.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TH levels between uncomplicated preterm infants and term infants. Serum TH level on postnatal day 1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igher morbidity after adjusting for gestational age, Apgar score (5 min), arterial blood gas analysis. Conclusion : Complicated preterm newborns are at increased risk for oxidative stress compared with uncomplicated newborns and term newborns. Oxidative injury during the prenatal or postnatal day 1 is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in preterm infants. Elevated TH levels on postnatal day 1 may have a value to predict clinical outcomes in preterm infants.

      • KCI등재

        임신 제 3삼분기에 발견된 진행성 위암

        김신혜 ( Shin Hye Kim ),이정재 ( Jeong Jae Lee ),박혜연 ( Hae Yeon Park ),유지훈 ( Ji Hoon Yu ),최정범 ( Jung Bum Choi ),최규연 ( Kyu Yeon Choi ),이임순 ( Im Soo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0

        Gastric cancer associated with pregnancy is extremely rare and the information on this particular subject is limited.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and loss of appetite are common during pregnancy but also can be the only symptoms in stomach cancer until the late stage. Clinicians` reluctance to pursue diagnostic studies appears to be a major contributing factor of delayed diagnosis and poor outcome. A 33-year-old-women at 30 weeks gestation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died sixteen days after emergency cesarean delivery. We report this case to alert clinicians to this rare possibility.

      • KCI등재

        발열을 보인 신생아에서 진단된 선천성 신성 요붕증 1예

        최윤정 ( Youn Joung Choi ),권승연 ( Seung Yeon Kwon ),김신혜 ( Shin Hae Kim ),전지현 ( Ji Hyun Jeon ),이동우 ( Dong Woo Lee ),박민수 ( Min Soo Park ),박국인 ( Kook In Park ),남궁란 ( Gung Ran Nam ),이철 ( Chul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3

        신성 요붕증은 선천성 또는 후천성으로 생길 수 있으며 항이뇨 호르몬에 대한 신세뇨관의 저항성으로 인하여 요농축능의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발열이 있던 3일된 남환에서 고나트륨혈증, 혈중 고삼투압, 낮은 소변 삼투압과 신성 요붕증의 가족력을 발견하여 선천성 신성 요붕증을 의심하여 수분 제한 검사를 시행한 후 선천성 신성 요붕증을 진단하였다. Hydrochlorothiazide를 복용하면서 증세의 호전이 있어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선천성 신성 요붕증은 다뇨, 다갈의 증상및 장기적으로 탈수에 자주 노출될 경우 지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며 조기 진단으로 환아의 탈수를 방지할 경우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저자들은 발열을 보인 환아에서 고나트륨혈증과 다뇨가 동반된 선천성 신성 요붕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NDI) is a rare disorder of the kidney characterized by the in ability to concentrate urine despite normal or elevated plasma concentration of the antidiuretic hormone agent vasopressin (AVP). We describe a case of congenital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presenting with mild fever . The 3-day-old baby boy was admitted with mild fever. He has 6 members with DI in his family and his laboratoty finding showed hypernatremia, increased serum osmolarity and low level of urine specific gravity. Throughout the water deprivation test and the vasopressin test, he has been diagnosed as congenital NDI. Urinary free water loss was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hydrochlorothiazide and low salt formula. At the age 4 months, the infant has demonstrated normal growth and neurodevelopmental milestones. An early diagnosis of congenital NDI is very important, since the proper adequate management can prevent hyperosmolarity which might induce the delayed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 KCI등재

        시판 두부의 품질 평가시 정량적 묘사 분석의 적용

        김광옥,서동순,김신혜,홍재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1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6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character notes and to define the terminology for the evaluation of soybean curd using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Panelis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with ranking on basic tastes, flavor and texture properties related to soybean curd. After being trained, they identified the following attributes and defined the terminology: appearance(smoothness of the surface, amount of cracks, yellowness, grayness), flavor(sweet, salt and bitter tastes, cooked bean, raw bean, wet wheat flour, roasted bean, astringency), and textural properties(hardness, elasticity, inner moistness, coarseness, adhesiveness, and residuals). Reference samples for flavor attributes were also determined. Four types of commercial soybean curd were evaluated with the technique developed. Among soybean curd samp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all sensory attributes, confirming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