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골이가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을까?

        김시은,박봉수,박시형,신경진,하삼열,박진세,박강민,Kim, Si Eun,Park, Bong Soo,Park, Si Hyung,Shin, Kyong Jin,Ha, Sam Yeol,Park, Jin Se,Park, Kang Min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Neurophysiology 2015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7 No.2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value of snoring frequency in the diagnosis and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polysomnography with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1) sleepiness, non-restorative sleep, fatigue, or insomnia symptoms; 2) arousal due to cessation of breathing or the occurrence of gasping or choking when waking up; and 3) habitual snoring, breathing interruptions, or both, noted by a bed partner or other observer.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variable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obstructive sleep apnea and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those variable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Results: One hundred ninety-three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145 of the 193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arge neck circumference (p = 0.0054) and high snoring index (p = 0.0119) were independent predictor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Moreover, between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groups, there was a strong tendency of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p = 0.0441) and neck circumference (p = 0.0846).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noring frequency according to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p = 0.4914). Conclusions: We confirmed that snoring frequency is a predictor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dition, we showed for the first time that snoring frequency is not associat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thus it is not a valuable marker for predicting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 KCI등재

        실시간 가상시청공동체의 행동 특성 : 온라인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별에서 온 그대’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김시은,황용석,나혜정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3

        이 연구는 최근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TV시청경험 공유 행동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이 다. 이들의 미디어 이용 패턴 및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특정 드라마를 중심으로 활성화된 커뮤니티 게시판을 선정하여 정규 방송시간을 기준으로 방송단계별 내용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이용자들의 전형적인 미디어 소비 패턴 및 소통 유형과는 전혀 다른 특성을 보이는 새로운 형태의 시청공동체를 발견하였으며, 이 그룹을 실시간 가상시청공동체로 명명하였다. 이들은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며 느끼는 소감을 같은 공간 안에 실재하는 지인이 아닌 온라인 커뮤니티에 접속한 타인과 공유한다. 실시간 가상시청공동체는 동일한 콘텐츠를 동 일한 시간에 서로 다른 공간에서 소비하며 동시에 다중 미디어를 병행이용하여 가상공간인 온라 인커뮤니티 등에서 사회적 대화를 나누는 이용자로 정의할 수 있다. 가족미디어의 전형으로 지 칭되던 텔레비전이 점차 개인 미디어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 소비 공동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이용자들 간 상호작용에 따라 임의로 구성되며, 그 활동시간 또한 일시적이다. 공통된 관심사 등 특정이슈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이합집산을 반복하는 가상커뮤니 티의 휘발적 특성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드라마를 시청하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소통하는 이들의 소통 행태에 대한 탐색은 전통 적인 드라마 수용자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영역이다. 실시간 가상시청공동체는 서로 다른 공 간에 있지만 같은 시간에 같은 드라마를 시청하고 있다는 동질감을 느낀다. 그리고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느끼는 감정과 소소한 의문 등을 소재로 소통하는 과정에서 감정적인 지지를 받음으 로써 기존 공동시청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심리적 위안을 얻는다. 방송 단계별로 구분된 시간적 차원과 소통에 활용한 기기(PC/모바일 접속)별 소통 행태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발견 되지 않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공동체의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 novel feature of TV viewing and sharing experience pattern. Online community Users whom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show poles apart with the typical media consumption and communication pattern in their feature. We conduct an Contents analysis on a online community. We split the contents up to three on a broadcasting organization basi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This study finds out the brand new TV viewing and sharing experience pattern. And We call it, the Realtime virtual social-viewing community. First of all, they use not only TV but also PC, Smart phone and etc. to watch TV programs. Moreover they chat to share their watching experience with strangers who get on the online community. This study explores these brand new sharing pattern of TV viewing experience. They consume same contents on the same time in the different place with multi media and communicate on online community to sharing their viewing experience. Realtime virtual social-viewing community is made up by user’s interaction and their activities are temporary. These distinct feature is alike to online community’s volatility. Users experienced social communication by so doing exchange their impression about the TV program on the online community. Through this, they feel consolation in the community. Communicate with strangers in online community during watching TV program did not studied before. Analysing the time dimension by the broadcasting table, this study explains how Realtime virtual social-viewing differs from the collective viewing that occurs in a real world.

      • KCI등재

        일본어 상급 학습자의 접속사 운용 실태 연구 - 모어화자와 비교를 통하여 -

        김시은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4 No.-

        논거를 통해 주장을 전개하는 글에서 접속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일본어 상급 학습자는 이러한 글쓰기 능력 즉 의견문 작성 능력을 요구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상급 학습자가 작성한 의견문에서 접속사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모어화자와 비교・분석해 보았다. 학습자의 접속사 사용은 모어화자와 수치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사용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다. 우선 고난이도 접속사의 사용이 적었으며 회화체 접속사의 사용이 눈에 띄었다. 다음으로 분류 항목별 특징을 살펴보면 학습자는 ‘논리’의 접속사의 사용횟수가 가장 높았다. 모어화자가 접속사를 생략하는 경우에도 학습자는 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또 학습자는 ‘정리’와 ‘이해’의 접속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했다. 초기에 학습한 접속사에의 의존도가 높은 것, 단어의 다양한 용법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것 등에 원인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환’의 접속사는 학습자가 거의 사용하지 못했으며 이것은 의견문에서 사용되는 구문에 대한 이해 부족의 문제로 볼 수 있었다. 이상의 특징을 통하여 일본어 상급 학습자들은 글의 장르에 따른 접속사 사용 능력이 부족하며 따라서 어휘 학습과는 별도로 의견문 안에서의 접속사 운용 방법에 관한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ole of the conjunction in the developing of the writings of arguments and opinions is vitally important. It is necessary for an advanced learner to be able to cope with such types of writing, because they are likely to be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write such statements and to write opinion essays.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tuational use of the conjunctions in the opinion essays of advanced learners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m with that of native spea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use of conjunctions in numerical term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usage patterns. First of all, the use of high difficulty conjunctions was considered low for the advanced learner and the use of conversational conjunctions was noticeable. As we search the distinction according to a classified category, the learner had the highest number of ‘logical’ conjunctions. This is because the learner has actively used them, even if the native speaker omits the conjunction. Additionally, in this study, the learner did not use the conjunctions of ‘theorem’ and ‘understanding’ effectively. Most learners highly depend on initially learned conjunctions and may lack a full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usages of these words. Lastly, the conjunction of ‘conversion’ was rarely used by learners and this could be viewed 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yntax that is used in opinion essays. Through these features, it was confirmed that advanced Japanese learners generally fell short in their ability to use conjunctions according to this genre of writing. Therefore when working with opinion essays , learning the proper way of operating with conjunctions is needed, separately from vocabulary learning.

      • KCI등재

        부산시 남구 대학로 가로변건축물 및 사인물의 색채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시은,송대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1

        본 연구는 도시경관의 질적 개선을 위한 시도로서 대학가 가로공간의 가로변건축물과 사인물의 환경색채를 경관적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즉, 지역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는 대학가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가로변건축물과 사인물의 색채환경에 대한 제반 문제점과 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대학가 가로환경개선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간 상관관계 연구: 부산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시은,장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차후 노인세대를 부양할 청년세대의 치매에 대한 인식개선 및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 지역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목적 및 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을 듣고 동의한 383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 방법은 종이 설문지를 이용하여 2개 대학교 각 학과 학생들에게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은 16점 만점에 8.65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9점으로 나타났다. 노인부양의식은 5점 만점에 3.91점이었으며, 치매에 대한 지식 총점, 태도 총점과노인부양의식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매지식이 높을수록, 또한 치매에 대한 태도가긍정적일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가 높을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앞으로 미래의 부양 예비세대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많은 교육과 홍보 및 인식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지역의 확대, 생산인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대상 연령의 범위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nowledge of dementia,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383 students at K University and D University in Busan. Each student received a full explanation of the study’s purpose and methods and agreed to participate. A paper-bas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in each department of the two universities and their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 used here was revised and improv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papers and consisted of 56 questions: 12 questions on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16 questions on the knowledge of dementia, 10 questions on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18 questions on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were organized and analyzed. Results : The participants’ knowledge of dementia showed a relatively high score at 8.65 out of 16 points. Their attitudes toward dementia also scored relatively highly, at 3.99 out of 5 points. Thier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also scored relatively highly, at 3.91 out of 5 points. The subjects’ knowledge of dementia,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Conclusion :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tudy findings, a higher level of knowledge of dementia or attitudes toward dementia led to a correspondingly higher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is result indicates a need for various activities to provide sufficient education about dementia and to enhance awareness of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as they present the generation that will support the elderly in the future.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nvolving dementia-related occupational groups and university majors will be useful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육시설 공용공간의 회복디자인을 위한 실내색채 연구

        김시은,하미경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2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8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color for a restorative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emotionalsupport in indoor public spaces of educational facilities used daily by ordinary people, by expanding the existing restorativeenvironmental design concept.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erior colors of a virtual university indoorcommon space targeting 20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s a research tool, ten 3D spatial images ofa virtual university indoor common space having 10 color combinations with different saturation, brightness, and tone levels ofwarm and cool colors that represent atmospheres, which extracted from the Kobayashi Color Image Scale (CIS) were used forinvestigation. The spatial atmosphere, spatial emotion, and resting space preference for spatial images of each interior colorwere measu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patial image of each color combination and the spatial atmosphereperceived by the respondents were generally consistent, and different spatial emotions were exhibited according to the colorsaturation, brightness, and ton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n a subdued tone environment with low saturation and highbrightness, respondents felt comfortable corresponding to feelings of recovery and rest. As a result of the preference survey, itwas found that the most preferred interior color entailed a subdued-tone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for both warmand cool colors for resting spaces. In conclusion, a subdued-tone color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makes peoplefeel comfortable. We therefore suggest this as an interior color for indoor public spaces in educational facilities that supportemotional recovery.

      • KCI등재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

        김시은,이정민,박규리,소경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4

        Drawing on sense-making theor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eachers' interpretations of the educational policy called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interviews with six teachers who have worked in leading schools of credit system,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y interpreted the policy and what sense-making factors influenced their interpreta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same policy varied depending on their ‘personal interpretative framework’ and ‘soci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resulting in four distinct categories: agreement, acceptance, resistance, and refusal. Concerning ‘personal interpretative framework’, teachers who found the policy in accord with their professional self-understanding and subjective educational theory demonstrated greater enthusiasm for implementation. Regarding ‘soci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participants from schools where teachers actively made their classes public and received ample support were more able to autonomously implement the policy in the way they found desirable. However, teachers who were assigned unexpected or unwanted classes expressed skepticism toward the policy. Unlike previous studies, our findings showed that policy document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eachers' interpretations. Teacher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policy documents, which emphasized policy rationale, as they prioritized adapting the policy to their context rather than rigidly adhering to its intention.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교사가 교육개혁을 국가의 의도와 다르게 실행하는 까닭은 교사의 의지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정책에 대해 나름의 해석을 만들고 그에 따라 실천하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만들기 이론에 기반하여 고교학점제라는 교육개혁 정책에 대해 교사가 형성하는 해석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근무 경험이 있는 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고교학점제를 어떻게 해석하며, 이들의 해석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되는지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고교학점제라는 동일한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은 각 교사의 ‘개인적 해석 틀’, ‘사회적‧조직적 맥락’에 따라 동의, 수용, 저항, 거부 등으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적 해석 틀’ 측면에서, 고교학점제가 교사의 전문적 자기-이해 및 주관적 교육이론에 부합한다고 여기는 교사일수록 그 실행에 더 많은 기대와 열정을 보였다. ‘사회적‧조직적 맥락’ 측면에서는 수업 공유가 활발하고 교사의 수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환경에 있는 교사일수록 고교학점제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운영해 나가며 교사로서 자율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원하지 않는 수업을 떠맡게 된 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사들의 고교학점제 해석에 있어서 관련 ‘정책 문서’는 별다른 영향력이 없었으며, 이 점은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의미-만들기 과정과는 다소 다른 양상이었다. 교사들은 고교학점제를 어떻게 하면 본인이 처한 상황에 알맞게 해낼 수 있을지에 더 관심을 두었으며, 이 때문에 추진 배경, 방향 등이 수록된 정책 문서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정책 설계와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본어 상급 학습자의 복합어 운용 실태 연구 - 모어화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

        김시은 한국일어교육학회 2019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7

        The compound word is one of the required elements for the effective writing of a senten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mpound words are used in opinion essay that is written by the advanced learners, and compared them with the native speakers. Overall, for the learners, the amount of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native speaker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N+N’. The native speakers used ‘N+N’ to express upper-level vocabulary in many cases. The learners made low use of ‘N+N,’ and it led to the problem of lack of upper-level abstract vocabulary. The amount of ‘V+V’ use was also small which caused the problem that what they meant to say could not deliver even the specific nuance. Throughout these features, it was observed that the learners lacked in the learning of the compound words on the whole. More effective writing in Japanese requires not only compound verbs but also the study on the use of various compound words. 일본어 상급 학습자는 모어화자와 비슷한 수준의 글쓰기 능력을 요구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수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상급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그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고는 그 일환으로 상급 학습자가 작성한 의견문에서의 복합어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모어화자와 비교・분석해 보았다. 효과적인 글쓰기를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가 복합어 사용이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복합어 사용은 모어화자와 수치적으로는 큰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어휘량이 모어화자에 비해 크게적었으며 결합 요소간의 의미관계가 모어화자에 비해 단순한 양상을 보였다. 결합 패턴 별로 살펴보면 N+N에서 수치적으로 가장 차이가 컸다. 모어화자는 이 N+N을 상위 개념을 나타나는 단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학습자는 N+N의 사용이 저조하며 이것이 추상적인 상위 개념을 나타낼 어휘가 부족하다는 문제로 연결되었다. 또한 사용한N+N 중에 한국어에서도 사용하는 단어들이 많았다. 다음으로 V+V도 역시 어휘량이 부족했으며 이로 인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구체적인 뉘앙스까지 전달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나타났다. 또한 결합 요소 중 하나가 접사화한 V+V의사용이 저조했다. 이상의 특징을 통하여 일본어 상급 학습자들은 복합어 학습이 전체적으로 부족하며 보다 효과적인 글쓰기를 위해복합동사 뿐 아니라 다양한 복합어 사용에 관한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