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본구조 의사결정에 어느 요인이 더 중요한가?

        김수은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199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자본구조 의사결정에 어느 요인이 더 중요한가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에 관한 자본구조변수들도 기업의 자본구조를 유의하게 설명한다. 자본구조변수 중에서, M/B 비율은 성장기회 변수로서 레버리지에 유의한 양(+)과 음(-)의 영향을 미치고, 유형성 비율은 담보가치 변수로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며, 수익성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기업규모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감가상각비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배당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며, 연구개발비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판매 및 일반관리비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며, 재무적자 비율은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의 기업특성변수들이 레버리지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위회귀분석으로 분석해본 결과, 유형성 비율, 수익성 비율, 감가상각비 비율, 배당 비율, 연구개발비 비율 및 판매 및 일반관리비 비율은 대부분의 분위에서 레버리지 비율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유형성 비율, 기업규모 및 재무적자 비율은 대부분의 분위에서 레버리지 비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M/B 비율은 레버리지 비율에 미치는 영향이 혼재되어 나타났고, 기업규모는 저분위에서는 레버리지 비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고분위에서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건성 검정의 차원에서 내생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여도 연구결과는 일치하였다. 따라서 장부가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시장가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와 대부분 일치하고,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에 근거한 자본구조변수들이 실제적으로 자본구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충이론변수들이 자본구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증권시장에서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의 기업특성변수들이 기업의 자본구조를 실질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한다. 다시 말해, 집단의 대표치로 평균값을 사용한 선형회귀분석과 집단의 대표치로 중앙값을 사용한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의 기업 특성변수들이 자본구조에 실질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특히 상충이론변수들이 자본구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본구조를 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nalyses empirically which factors are more important in capital structure decisions of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of Korea Exchange from January 1, 1999 until December 31, 2009.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and pecking order theory such as M/B ratio, profitability ratio, non-debt tax shield, dividend ratio, research and development ratio,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expense ratio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ratio, but tangibility ratio, firm size and financing deficits ratio have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ratio.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and pecking order theory significantly explain leverage, but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impact more on leverage than the latter theory. As part of a robust test that consider endogeneity problems, the results proved to b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quantile regression considering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wo theories, results yiel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ratio. On M/B ratio and firm size, M/B ratio has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leverage. Firm size with low quantile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but firm size with high quantile has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everage. In conclusion, managers of firms should consider a variety of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and pecking order theory to maximize their firm value. This paper is basically limited in considering a variety of factors in compan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sample firms and control variables, and use more elaborate analysis methods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예술 분야의 한국학 온라인 교육과정에대한 요구 조사 및 설계 방안 연구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김수은,최지영 국제어문학회 2024 국제어문 Vol.- No.101

        이 연구에서는 중국, 인도, 베트남에 거주하는 한국학 전공생 및 교육자, 대중을 대상으로 예술 분야의 한국학 온라인 교육과정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교육과정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 예술 분야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한류의 기폭제가 된 음악이나영상 분야의 강좌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술의 하위 영역별로 일반교양에 해당하는 내용을 시연이나 체험을 중심으로 제공해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원하는 강의의 수준은 기초 및 초급 단계가 가장 많았으나 중급이나 심화 단계 강좌에 대한 요구도 적지 않았다. 학습의 총차시는 5∼8차시 정도가 적절할 것으로 보이고 한 차시의 길이는 15분∼45분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는 지역별, 학습자 유형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여 교육과정 설계에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이 처한 맥락에 따라 적절한 강의를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예술 영역별로 입문-기초-심화-응용 단계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demand for online Korean studies courses inthe arts among Korean studies majors, educators, and the generalpublic in China, India, and Vietnam. It proposes a design plan foronline courses based on this demand. Analysis of learners’ needs in thearts field reveals a strong interest in music and video courses, whichhave been instrumental in the Korean Wave phenomenon. Additionally,learners express a desire for general education content in varioussub-fields of the arts, emphasizing hands-on experiences anddemonstrations. While basic and beginner-level courses are most soughtafter, there is also significant demand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courses. The optimal course structure appears to be five to eightlessons, each ranging from 15 to 45 minutes. However, thesepreferences vary by region and learner type, necessitating tailoredcourse designs. Consequently, this paper proposes a curriculumorganized into introductory, basic, advanced, and applied stages foreach artistic domain, along with specific lesson plans, empoweringlearners to select courses suitable for their individual context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김수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ccumulated results and to seek new directions of research on Korean spoke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in order to do that, reviewed 19 Korean dissertations and 56 articles, either published in scientific journals or presented at conferences. This study analyzed these 75 articles by year, extracted common themes in the research, and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that embrace the key words of spoken language research: What is spoken language (grammar)?; What aspects of spoken language can be analyzed?; How can spoken language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 can spoken language be evaluated? Based on these four issues, the concerns and views of research on spoke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presented. Research on spoken language education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making actual developments in the 2000’s, and has showed a significant upward trend since 2009, which is in alignment with the recent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This study was able to draw certain implications while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First, elaboration on the function of spoken language in communication and the acceptance range is needed. Second, although research on aspects of learners’ usage of spoken language and application of spoken corpus has actively been conducted, the themes and range of the analysis were limited; and therefore, further studies with more various and specifie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hird, the purpose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and specific goals and contents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 by learners and by levels. Finally, research on Korean spoken language evaluation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areas; as a result, specific principles, tools, and standards of evaluation should be prepared.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축적된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교육) 연구의 성과를 점검하고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18편과 학술 저널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 55편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이 73편의 연구를 연도별로 분석하고, 연구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 주제를 추출하여 구어 연구의 키워드를 포괄할 수 있는 ‘한국어 구어(문법)의 특성은 무엇인가’, ‘무엇을 대상으로 구어를 분석할 것인가?’, ‘한국어교육에서 구어를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가’, ‘구어는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의 질문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네 쟁점을 통해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교육 연구가 어떤 관심사와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정리했다. 한국어교육에서 구어 교육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2009년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최근 의사소통과 실제성을 강조하는 한국어교육의 시류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 동향을 파악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의사소통에서의 구어의 역할과 수용 범위에 대해 상세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구어 사용 양상과 구어 말뭉치 활용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나, 분석의 주제와 범위가 제한적이었으므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구어 교육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구체적인 학습자별, 수준별 목표와 내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구어 평가는 다른 영역에 비해 연구가 미진했으므로, 평가의 원리와 도구, 기준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기업의 지배구조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

        김수은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5 No.4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innovation of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of Korea Exchan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D investment increase by increasing large shareholder, internal shareholder, executive shareholder’equity holdings. Large shareholder, internal shareholder, executive shareholder’ equity holdings take up a risk taking attitude about uncertain R&D investment to obtain the sustainable growth power and long-term profitability. Large shareholder, internal shareholder, executive shareholder’equity holdings ease asymmetry information about R&D investment because they have abilities to collect information and motivation. and they need to maintain cooperation relation with manager on liquidity problem caused by massive equity holdings. But R&D investment decrease by increasing institution shareholder, foreigner shareholder, individual shareholder’ equity holdings. institution shareholder, foreigner shareholder, individual shareholder’ equity holdings take up a risk hedging attitude about uncertain R&D investment to sustain their compensation level and employment stability. These results support the agency theory between internal shareholders and external shareholders. This paper contributes to defining information value of large shareholder’s equity holdings on R&D investment for a firms’ other stakeholders such as investors and creditors. Ownership concentration might have negatively affected the evolution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for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manner in which economic activity is conducted. It could be a formidable barrier to future policy reform.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지배구조가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자지분율, 내부자지분율 및 임원지분율은 R&D 투자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지속적인 성장 동력과 장기적인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회임기간이 길고 불확실한 R&D 투자에 위험선호적인 적극적 태도를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자지분율, 내부자지분율 및 임원지분율이 증가할수록 대주주, 내부자 및 임원들은 정보수집 유인과 능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R&D 투자에 관한 비대칭정보도 완화시킬 수 있고, 대량의 주식보유에 따른 유동성 문제에 관하여 경영자와의 협력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관투자자지분율, 외국인투자자지분율 및 개인투자자지분율은 R&D 투자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투자자금 회수기간이 불확실성 R&D 투자에 대해 위험회피적인 소극적 태도를 취할 것이며, 단기이익에 초점을 맞춘 배당정책 등을 선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은 지배구조와 R&D 투자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고,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자지분율, 내부자 및 임원들은 회임기간이 길고 불확실한 R&D 투자에 대하여 위험선호적인 적극적 태도를 취하지만, 기관투자자, 외국인 및 개인투자자들은 위험회피적인 소극적 태도를 취한다. 따라서 R&D 투자는 기업가치를 증가시킴으로 R&D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차원의 R&D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법률개정과 경영자 보상정책 나아가 기업 지배구조 정책에 투명성과 관리 감독이 이루어져야겠다.

      • KCI등재

        장수상표 콜라보레이션 브랜드의 소비자 구매의도 연구 - 국내 편의점 자체브랜드(PB) 사례를 중심으로 -

        김수은,정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오늘날 주목받는 장수상표 활용 콜라보레이션은 전통적 협업 전략과 비교할 때 전개 방식에 차이이많아 이에 우호적 인 평가와 우려가 공존한다. 연구자는 이 현상에 대한 논의 필요성을 느끼고, 우선적으로 장수상표 활용 콜라보레이션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고자 하였 다. 연구를 위해 국내 편의점 자체브랜드 내에서 장수상표 콜 라보레이션 상품의 대표 사례를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다음 으로, 설문지를 활용해 각 콜라보레이션 브랜드의 인상, 인지 적 적합성, 구매의도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이후, 브랜드 인상의 각 요인과 구매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콜 라보레이션 상품 간 인지적 적합성과 구매의도의 상관관계 또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콜라보레이션 브 랜드의 총체적 인상과 소비자 구매의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 하지만 브랜드 신뢰성, 세련성, 과시성, 흥미성 요인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인지적 적합성 또한 구매의 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 하지만 장수상표의 적절한 확 장 적용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로써 이색 콜 라보레이션 전략은 목표한 주소비층에 유효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브랜드의 부정적 인식 요인을 밝혀 개선점을 제시함으로써 긍정적인 구매 경험을 제공하는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Brand collaboration using longlasting brands, which ar e drawing attention today, has many differences compare d to traditional strategies, so there are both favorable eva luations and concerns. It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se collaborations for the first. Firstly, several cases within the domestic convenience stores’ private products were analyzed. Secondly, a survey was conducted. Thirdl y, the reseacher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 ctor of brand impression and purchase intention. Further more, conducted anothe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c tors of perceived fit and purchase intention. The overall brand impression of a collaboration has no significant cor 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However, brand reliabilit y, sophisticatedity, ostentatiousness, and interestingness have a significant impact. Also, the perceived fit has non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ut it is valid th at longlasting brand images are extend properly. In concl usion, the longlasting brand collaboration is right strateg y for the main consumer group. However, follow-up stud ies are neeeded about negative effect factors, and then th ey should suggest the better direction of collaborati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시험 답안 작성하기 교육 방안 연구- 시험 답안 작성의 과정과 담화 통합 과제 전략을 중심으로

        김수은 민족어문학회 2018 어문논집 Vol.- No.8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for design of teaching methods to create exam answers that are shared by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of Korean university. Creating exam answers is a cognitively and linguistically hard work even though it is essentially faced at the academic context. In addition, creating exam answers is not possible to write with only understanding about writing genre or some grammars, but it includes specific processes such as getting information in class, memorizing the information syntagmatically and constrictively, and producing it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exam. Therefore, this study believe that creating exam answers is possible to connect the characteristic of discourse synthesis tasks and try to make a map of processing creating exam answers as a discourse synthesis writing. Also, this study analyzed foreign students’ error cases when the students created exam answers considering the process creating exam answers as a discours synthesis writing. It was those cases that; 1) writing wrong information compared to they have learned, 2) not understanding the direction, 3) making an inappropriate structure to the exam answers, and 4) using incongruous expressions in exam answer discourse. After those, this study planed and suggested a teaching methods for five weeks to train creating exam answer. In the first week, the students can find keyword in the class and make those diagrams, and in the next week they restore the information with the keyword they made. In the third and forth week, they train to understand the type of directions, structures, and expression in the exam context, and the finally the students practice write in a short space of time.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대학 맥락에서 서술형으로 시행되는 시험 답안 작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시험 답안 작성하기는 학문 맥락에서 필수적으로 접하게 되는 기능 중 하나이나 인지적, 언어적으로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다. 시험 답안 작성하기는 단순히 쓰기 장르에대한 이해나 문형에 대한 지식만 가지고는 작성할 수 없다. 수업 내용을 기반으로얻은 지식을 통합적, 압축적으로 기억해 두었다가 시험의 지시문에 따라 최대한효율적으로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를 담화 통합 과제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결부될 수 있다고 보아 담화 통합으로서의 시험 답안 작성하기의 전 과정을 도식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작성한 시험 답안의 오류 사례를 분석해 보았는데, 시험 답안 작성하기의 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배운 내용과 다른 정보를 작성한 것, 지시문을 이해하지 못한 것, 지시문 유형에 어울리지 않는 구조로 작성된것, 답안에 필요한 내용이 누락되었거나 답안을 미완성한 것, 시험 답안에 어울리지/적절치 않은 표현을 사용한 것 등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토대로 외국인의 시험 답안 작성하기의 교육 방안을 5주 분량으로 구성하였는데, 강의의 핵심 내용을 추출해 도식화하기, 핵심어 보고 글 복원하기, 지시문의 유형 파악하기, 시험 답안의 구조와 표현 익히기, 짧은 시간 내에 글쓰기 연습 등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수강 실태 파악을 통한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광주・전남 지역 소재 한국어교육학 전공 학부생을 중심으로-

        김수은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2 언어와 문화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ideas for the design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actual status of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on 16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aking Gwangju and Jeonnam as an example, where most of the students are international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major selection and motivation, desired career path, status of taking cours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and learner requirements. In particular, as for the status of lectur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subjects related to Korea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ubjects, it was confirmed to the Likert level such as voluntary motivation, content comprehension, communication comprehension, academic achievement, communication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

      • KCI등재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에 대한 고정관념 및 편견 연구

        김수은,이경 돈암어문학회 2024 돈암어문학 Vol.45 No.-

        본 연구는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겪는 고정관념과 편견을 조사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특히 비원어민 교사들의 교수 경험과 그들이 인식하는 고정관념 및 편견이 교사로서의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국내외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직 중인 5명의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 사례를 분석한 결과,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들은 종종 교육 공동체와 사회 내에서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인한 차별을 경험하였는데, 예를 들어 호칭, 전문성에 대한 평가, 업무 배정 및 의사소통에서의 차이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고정관념과 편견은 교사로서의 자아 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육적 역할 수행에 제약을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가 자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스스로의 한계를 짓기도 하였는데,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자기 인식에는 원어민 교사와의 비교에서 비롯된 양가적인 고정관념이 자리 잡고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면담을 통해 비원어민 교사 집단 내에서도 잠재적인 구분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고,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에게 학생 관리 및 상담에 대한 역할을 기대하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이 학생과의 관계 설정에 대한 딜레마를 느끼는 경우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교수 학습 경험 맥락에 따라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이 체감하는 고정관념에 대한 정도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고정관념과 편견의 장벽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교육적 역량을 발휘하여 긍정적인 교수 경험을 쌓아가고 있는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들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ereotypes and prejudices faced by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educational settings. Specifically, it explores how these teachers' instructional experiences and their perceptions of stereotypes and prejudices impact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alysis of the interview cases revealed that non-native Korean teachers frequently experienced discrimination due to stereotypes and prejudices within educational communities and society. Examples included differences in forms of address, undervaluation of expertise, assignment of tasks, and communication methods. These stereotypes and prejudices negatively affected their self-esteem as teachers and imposed limitations on their professional roles. Additionally, non-native Korean teachers often internalized these stereotypes, setting self-imposed limits. Their self-perception was influenced by ambivalent stereotypes arising from comparisons with native Korean teachers. The study also uncovered several new insights through the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potential divisions existed within the group of non-native teachers themselves. Moreover, the stereotype that non-native Korean teachers are mainly responsible for student management and counseling created dilemmas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students. The degree to which non-native Korean teachers experienced stereotypes varied depending o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Despite these social stereotypes and prejudices, it was confirmed that non-native Korean teachers could overcome these barriers, demonstrating their unique educational capabilities and accumulating positive teaching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