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신체질환과 우울증상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석주,김효현,김정은,조성진,이유진,Kim, Seog-Ju,Kim, Hyo-Hyun,Kim, Jung-Eun,Cho, Seong-Jin,Lee, Yu-J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1 정신신체의학 Vol.1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신체질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144명(남/여=20/124)과 남한 출생 주민 376명(남/여=133/243)이 연구에 참여했다.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일대일 면담을 시행하여 인구학적 정보와 신체질환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우울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 과: 성별, 나이, 결혼 여부, 교육연한, 고용상태, 신체질환 여부와 같은 인구학적 변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남한 출신 주민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의 CES-D 점수가 높았다(${\beta}$=0.449, p<0.001). 또한 북한이탈주민에서는 신체질환이 다른 인구학적 변수와 독립적으로 높은 CES-D 점수를 예측할 수 있었으나(${\beta}$=0.243, p<0.001), 남한 출신 주민에서는 신체질환과 CES-D 점수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신체질환을 동반한 북한이탈주민의 CES-D 점수($26.8{\pm}13.8$)는 신체질환이 없는 북한이탈주민($19.7{\pm}12.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신체질환이 있는 남한 주민($10.3{\pm}9.8$)과 신체질환이 없는 남한 주민의 CES-D 점수($9.3{\pm}8.8$)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북한이탈주민은 성별, 나이, 교육, 고용, 결혼 여부와 독립적으로 남한 출신 주민에 비해 우울증상이 심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에서 신체질환과 우울증의 관련성이 유의하였다. 이는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신체 질환이 있을 때 우울증상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illness on depression in North Korean Defectors. Methods: One hundred forty-four North Korean Defectors(20 males, 124 females) and 376 South Koreans 133 males, 243 females) in Incheon Metropolitan areas participated the present study.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dem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presence of physical illnesses. To investigate depressive symptoms, all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complet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Results: After controlling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year, employment status and physical illness,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higher CES-D score than South Koreans(${\beta}$=0.449, p<0.001). Within North Korean Defectors, the presence of physical illnesses independently was related to higher CES-D score(${\beta}$=0.243, p<0.001). However, within South Koreans, the presence of physical illnesses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CES-D scor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physical illness have higher CES-D score than North Korean Defectors without physical illness($26.8{\pm}13.8$ versus $19.7{\pm}12.7$).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ES-D score between South Koreans with physical illness and South Koreans without physical illness($10.3{\pm}9.8$ versus $9.3{\pm}8.8$). Conclusion: Compared to South Koreans, North Korean Defector showed higher depressive symptoms independently from gender, age, education, employment, marriage. In addition, only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illness. Our study suggests that depression should be assessed when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hysical illness.

      • 주요 우울장애와 준임상적 우울증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

        김석주,유승희,김성연,김동욱,조인희,조성진,Kim, Seog-Ju,Yu, Seung-Hee,Kim, Seong-Youn,Kim, Dong-Wook,Cho, In-Hee,Cho, Seong-J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7 정신신체의학 Vol.15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과 준임상적 우울증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386명(남/여=148/238, 평균 연령 : $43.0{\pm}13.9$, 연령 범위 : 19~79)이 연구에 참여했다. 구조화된 임상면담(Structured Clinical Inteview for DSM-IV, SCID)를 이용하여 주요 우울장애 및 기타 1축 정신질환을 진단했다. 우울증상를 평가하기 위해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자가 작성하게 했다. 감정표현불능증은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oronto alexithymia scale, TAS)로 평가했다. 주요 우울장애의 병력이 없는 이 중 SCID에서 경도 우울장애가 있거나, CES-D 점수가 16점 이상인 경우를 준임상적 우울증으로 정의했다. 주요 우울장애군, 준임상적 우울증군, 정상 대조군 세군으로 나누어 TAS 총점과 각 요인별 점수를 비교했다. 결과 : 전체 386명 중, 38명(9.8%)이 DSM-IV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병력이 있었고, 57명(14.8%)이 준임상적 우울증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간 TAS 총점($F_{2,383}=14.0$, p<0.01), 요인 1(감정인식의 장애) ($F_{2,383}=23.4$, p<0.01), 요인 2(감정표현의 장애)($F_{2,383}=7.8$, p<0.01)에 차이가 있었다. TAS 요인 3(외부지향적 사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_{2,383}=1.8$, p=0.16). 주요 우울장애군과 준임상적 우울증군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 TAS 총점, 요인 1, 요인 2의 점수가 높았다(모두 p<0.01). 반면, 주요 우울장애군과 준임상적 우울증군은 TAS 총점 및 각 요인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준임상적 우울증 환자는 우울증상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감정표현불능증이 더 심했다. 한편, 주요 우울장애와 준임상적 우울증은 감정표현불능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표현 불능증이 주요 우울장애 뿐아니라 준임상적 우울증과도 관계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lexithymia in major depressive disorder(MDD) and subclinical depression(SCD). Methods : Three hundred eighty-six community-dwelling adults(238 females and 148 males, age 19-79; mean age $43.0{\pm}13.9$) were recruited.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 was conducted for the diagnosis of MDD or other Axis I psychiatric disorder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for Depression Scale(CES-D) and the Totonto Alexithymia Scale(TAS) were administered to assess depressive symptom and alexithymia, respectively. Among subjects without MDD, those who had minor depressive disorder on the SCID or high scores(i.e. over 16) on the CES-D were defined as subjects with SCD. TAS total score and factor I, II, III scores of TAS in MDD, SCD, and non-depressive controls were compared. Results : Among 386 subjects, 38 subjects(9.8%) were diagnosed as MDD by DSM-IV criteria, while 57 subjects(14.8%) were classified into SC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3 groups(MDD, SCD and non-depressive controls) in total score($F_{2,383}=14.0$, p<0.01), factor I(difficulty in identifying feeling)($F_{2,383}=23.4$, p<0.01) and factor II(difficulty in describing feeling)($F_{2,383}=7.8$, p<0.01), but not factor III(external oriented thinking)($F_{2,383}=1.8$, p=0.16) of TAS. In post-hoc analysis, both MDD subjects and SCD subjects had higher scores in TAS total, factor I and factor II, compared to non-depressive controls(all p<0.01).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DD subjects and SCD subjects in any TAS factor. Conclusion : In this study, both MDD subjects and SCD subjects were more alexithymic than non-depressive control subj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CD, as well as MDD, is also related to alexithymia.

      • 고정 구조를 가지는$H_\infty$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설계

        김석주,이종무,권순만,문영현,Kim Seog-Joo,Lee Jong-Moo,Kwon Soonman,Moon Young-Hyun 대한전기학회 2004 전기학회논문지A Vol.53 No.12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of a fixed-structure $H_\infty$ power system stabilizer (PSS) by using an iterative linear matrix inequality (LMI) method. The fixed-structure $H_\infty$ controller is represented in terms of LMIs with a rank condition. To solve the non-convex rank-constrained LMI problem, a linear penalty function is incorporated into the objective function so that minimizing the penalized objective function subject to LMIs amounts to a convex optimization problem. With an increasing sequence of the penalty parameter, the solution of the penalized optimization problem moves towards the feasible region of the original non-convex problem. The proposed algorithm is, therefore, convergent. Numerical experiments show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 KCI등재

        꿈의 신경생물학적 측면의 기초

        김석주,Kim, Seog-Ju 대한수면의학회 2009 수면·정신생리 Vol.16 No.2

        This review aims to introduce the basic neurobiological aspects of dream. There have been long debates on whether the neurobiology of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is identical to that of dream. However, many theories on dream are based on the findings of REM sleep. Bizarre cognition and intense emotion in dream have been suggested to derive from physiological (e.g. desynchronized gamma oscillation and postsynaptic inhibition), chemical (e.g. decreased noradrenalin and serotonin, increased acetylcholine and modulation of dopamine), anatomical (e.g. deactivation of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activation of limbic and paralimbic areas) change in REM sleep. In addition, dream has been suggested to play its neurobiological roles. Processing of negative emotion may be one of the functions of dream. Dream is also supposed to consolidate memory, especially semantic memory. Despite a number of hypotheses and debates,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 of dream generation has not been concluded.

      • KCI등재후보

        북한 의사들이 바라보는 북한의 정신의학 현황

        김석주,박영수,이혜원,박상민,Kim, Seog-Ju,Park, Young-Su,Lee, Hae-Won,Park, Sang-M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1

        연구목적 : 남북한의 정신의학 체계나 내용이 매우 다를 수 있지만 현재까지 북한의 정신의학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정신의학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려 하였다. 방 법 :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중 북한에서 10년 이상 의사 경력이 있던 3명을 면담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진료 경험, 북한 정신의학의 실상, 북한의 정신건강의학과적 치료, 일반 북한 주민들의 정신장애 인식도, 북한의 자살에 대해 반구조화 면담이 진행되었다. 결 과 : 북한의 정신건강의학과는 49호라고 불리며, 대부분 확연한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를 하였으며, 비정신병적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주로 다루지 않는 편이었다. 정신장애의 병인은 유전적 이유 등 생물학적 요소에 집중되었으며, 사회심리적 요소나 정신역동적 요소는 정신장애의 병인으로 중시되지 않았다. 정치이념적 요소와 정신의학은 별개로 간주되었다. 주로 입원과 생물학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인슐린 혼수 요법과 같이 상당히 뒤떨어진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사회 전반적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은 심하였다. 북한에서는 자살을 민족 반역으로 간주하며 자살이 드물었다. 결 론 : 북한의 정신의학 현황은 남한의 정신의학 현황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과거 사회주의 국가의 정신의학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북한 고유의 정신건강의학과적 특성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 Psychiatry in North Korea is believed to seem very different from psychiatry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nearly no information regarding psychiatry in North Korea until now. Our study aimed to get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n psychiatry. Methods : Thre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whose clinical experience as medical doctors in North Korea was over 10 years, were recruited. They underwent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content of which included the clinical experience with psychiatric patients, the details of psychiatry,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patients,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and the suicide, in North Korea. Results : In North Korea, psychiatric department was called as 49th(pronounced as Sahsip-gu-ho in Korean). Only patients with vivid psychotic symptoms came to psychiatric department. Non-psychotic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s usually were not dealt in psychiatry. The etiology of mental illness seemed to be confined to biological factors including genetic predisposition. Psychosocial or psychodynamic factors as etiology of mental illness appeared to be ignored. Psychiatry was apparently separated from political or ideological issues. The mainstay of psychiatric treatment is the inpatient admission and out-of-date therapy such as insulin coma therapy. Stigma over mental illness was common in North Korea. Suicide is considered as a betrayal to his/her nation, and has been reported to be very rare. Conclusion : The situation of psychiatry in North Korea is largely different from that of South Korea. Although some aspects of North Korean psychiatry are similar to psychiatry in former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n psychiatry is considered to have also its unique characteristics.

      • KCI등재

        A Block Structured Multimedia Data Prefetching

        김석주,이병권,김석일,Kim Suk-Ju,Lee Byung-Kwon,Kim Suk-Il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1A

        스트리밍 형태로 처리되는 멀티미디어 응용 데이터는 공간적 지역성은 큰 대신 시간적 지역성이 낮은 특징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동적 선인출 기법을 작용하여 시간적 지역성은 낮으나 공간적 지역성이 있는 멀티미디어 응용 데이터에 내재된 메모리 참조의 규칙성을 활용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한 기법은 배열을 작은 블록으로 나누고 작은 블록별로 계산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에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선인출 에러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러 가지 미디어 벤치마크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선인출 기법에 비하여 선인출 에러 발생 회수가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to medium data which is involved in the form of streaming for a multimedia application, it characterizes that spatial locality occurs strongly but temporal locality appears even weaker. In this paper, with regard to dynamic prefetching, we suggest a method to make the most of memory reference regularities which typically innate by nature in the multimedia data with strong spatial locality but with weak temporal locality. Especially, the suggested method has a remarkable capability such that it can reduce prefetching errors substantially compared to existing prefetching methods for an application Program which divides an way into small sub-blocks and, plus executes in the unit of sub-block. We carried out experiments to test the suggested method using various MediaBench benchmarks. From the results, we have confirmed that the occurrences of prefetching error decrease effectively than those of existing linear prefetching methods.

      • KCI등재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감별 인자

        김석주,이유진,김의중,정도언,Kim, Seog-Ju,Lee, Yu-Jin,Kim, Eui-Jo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1

        배 경 : 불면증은 다양한 수면장애에서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서 불면증 이외의 다른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가 불면증을 주된 수면 문제로 호소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특수한 진단적/치료적 접근을 필요로 하므로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감별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불면증을 주소로 하는 환자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유병율과 그 감별인자를 조사하려고 하였다. 방법:1996년 6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불면을 주소로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470명의 환자(남자 235명, 여자 235명, 평균 연령 $53.6{\pm}12.4$세)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불면증 환자에서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불면증 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지 않은 불면증군의 인구학적/임상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불면증 군 내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도인 호흡장애지수와 인구학적/임상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결 과:총 연구대상 470명 중 125명(26.6%)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진단하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불면증 군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지 않은 불면증 군에 비해 유의하게 연령이 높고($58.4{\pm}12.3\;years$ vs $51.8{\pm}11.2\;years$, p<0.01),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가 높았다($23.4{\pm}3.3\;kg/m^2$ vs $22.5{\pm}3.1\;kg/m^2$, p=0.44).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군에서 코골이가 더 흔하게 관찰되었으며(96.0% vs 63.5%, p<0.01) 남성의 비율이 높았으며(64.0% vs 44.9%, pp<0.01) 고혈압이 있는 경우(20.0% vs 9.3%, pp<0.01)가 많았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군내에서는 연령과 호흡장애지수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결 론:불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의 상당수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가지고 있었다. 불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감별인자로 코골이, 고령, 남성, 고혈압, 그리고 비만을 찾을 수 있었다. 위 감별인자를 가진 환자들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포함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진단적 접근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of OSA in subjects whose main sleep complaint is insomnia and to find differential factors of OSA in these insomniac subjects. Metho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of patients referred to the Sleep Labora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2. Four-hundred and seventy subjects complained of insomnia as their main sleep problem (235 males and 235 females, mean age $53.6{\pm}12.4\;years$). First,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rate of OSA in these insomniac patients. Second, we compared the clinic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OSA-associated group with those of the non-associated group.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 degree or presence of differential factors within the OSA group correlate with severity of OSA, as determined by the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Results: Among 470 insomniac subjects, 125 subjects (26.6%) were diagnosed as OSA by nocturnal polysomnography. OSA-associated subjects were significantly older ($58.4{\pm}12.3\;years$ vs. $51.8{\pm}11.2\;years$, p<0.01), and had significantly higher body mass index (BMI) ($23.4{\pm}3.3\;kg/m^2$ vs. $22.5{\pm}3.1\;kg/m^2$, p=0.44) than non-associated subjects. The OSA-associated group had more subjects with male gender (64.0% vs. 44.9%, p<0.01), hypertension (20.0% vs. 9.3%, p<0.01) or snoring (96.0% vs. 63.5%, p<0.01). Within the OSA-associated group, 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DI (p=0.01). Conclusion: We found that a considerable portion of patients complaining of insomnia as their main sleep problem were diagnosed as OSA. Snoring, old age, male gender, obesity, and comorbid hypertension were found to be differential factors of OSA in insomniac patients. We suggest that diagnostic efforts including nocturnal polysomnography are needed for insomniac patients with any of the above risk factors of OSA.

      • KCI등재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적 특성 및 수면다원검사 소견 비교

        김석주,이유진,김의중,정도언,Kim, Seog-Ju,Lee, Yu-Jin,Kim, Eui-Jo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1

        배 경 : 본 연구에서는 수면다원검사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을 보이는 환자 중 수면 중 이상행동을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6년 6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환자들 중, 야간 수면다원검사 시행결과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이 관찰된 5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수면다원검사 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이 관찰되며 수면 중 이상행동을 호소하는 32명을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 군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은 관찰되나 수면 중 이상행동은 호소하지 않는 20명을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 군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총 연구대상 52명 중 42명이 남성이었으며 10명이 여성이었다. 평균연령은 $55.1{\pm}19.1$세였다. 연령은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군($61.59{\pm}13.5$세)에서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군($44.70{\pm}2.76$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야간 수면다원검사 중 관찰된 수면 중 이상행동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군(50.0%)에 비해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군(81.3%)에서 더욱 흔하게 관찰되었다. 두 군 사이에 남녀비, 병발질환의 빈도, 그리고 수면 변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는 수면 중 이상행동의 호소를 하지 않아도 수면다원검사 소견만으로 렘수면 행동장애의 조기 징후를 찾아낼 가능성을 시사한다. 야간 수면다원검사 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가 증가하는 소견이 나오면 렘수면 행동장애로 진행하는 지 여부와 갑자기 나타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임상적 관심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ossible differences in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bjective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in patients with RWA on polysomnography. Method: We reviewed patient records and polysomnographic data of patients referred to the Sleep Labora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6 through October 2002. We defined the manifest RBD group (n=32) as patients having both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and RWA on polysomnography. The latent RBD group (n=20) consisted of patients who exhibited RWA on polysomnography but did not complain of abnormal sleep behavi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Fifty-two subjects had RWA, as detected by polysomnography (42 males and 10 females, mean age of $55.1{\pm}19.1\;years$). Subjects in the manifest RBD group were significantly older than those in the latent RBD group ($61.59{\pm}13.5$ vs. $44.70{\pm}2.76\;years$, independent t-test, p<0.01). More subjects in the manifest RBD group exhibited abnormal REM behavior on polysomnography than did subjects in the latent RBD group (81.3 vs. 50.0%, Fisher's exact tes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found in the prevalence of brain disorders and primary sleep disorders, gender proportion, and sleep architecture. Conclusion: No difference in sleep architecture was found between the manifest and the latent RBD groups. Only age and the presence of abnormal sleep behavior on polysomnography differentiated the two groups. We suggest that RWA on polysomnography without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may be early manifestation of manifest RBD. Attention to RWA on polysomnography is necessary to help prevent full-blown RBD from develo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