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撰字鏡』 문헌인용 양상 고찰 : 『玄應音義』를 중심으로

        김령경(Kim, Lyoung-Kyoung)(金玲敬),오일명(Wu, Yi-Ming)(吳一鳴)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3 No.-

        본 논문은 『玄應音義』를 중심으로 『新撰字鏡』의 문헌 인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字鏡』의 『玄應音義』 인용 양상을 보면, 표제자의 선정, 표제자 표음, 자의 및 예증, 이체자 정보 등 내용 구성면에서 폭넓게 『玄應音義』를 활용하고 있는데, 때로는 『玄應音義』만으로, 때로는 『玉篇』이나 『切韻』 등 다른 문헌의 정보를 활용해 『玄應音義』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여 사서로서의 가치와 효용성을 높였다. 그러나 인용 출처를 밝히지 않아 문헌 인용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점이나, 체제가 엄정하지 못하고 오류가 많다는 것은 이 책이 가진 한계이다. 따라서 광범위하고 정확한 문헌 인용 관계연구와 석문의 교감을 통해 이 책이 가진 한자학·문헌학 가치를 재조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Shinsenjikyo is an important ancient Japanese dictionary completed by Shoju during the Heian period. The book was originally compiled by Xuanyingyinyi, Yupian, Qieyun, Ganluzishu and other literatures, which cited title words, phonographs, meanings, and examples. This paper analyzes the aspect of quoting the literature of Shinsenjikyo, especially with the focus on Xuanyingyinyi. Shinsenjikyo uses Xuanyingyinyi in a wide range of content structures, including selecting the title words, quoting the sound, meaning, example, and variant characters of the title words. Sometimes with Xuanyingyinyi alone, sometimes using information from other literatures, such as Yupian and Qieyun, to make up for Xuanyingyinyi s deficiencies, thereby enhancing its value and utility as a dictionary.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book are that the literature citation relationship is not clear, because it does not reveal the source of the cit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errors due to the lack of strict form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ed light on the value of this book as a dictionary through extensive and accurate research of literature citation relation and meticulous calibration.

      • KCI등재

        화학적 수문곡선 분리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최상류 유역 기저유출량 산정

        김령은 ( Ryoungeun Kim ),이옥정 ( Okjeong Lee ),최정현 ( Jeonghyeon Choi ),원정은 ( Jeongeun Won ),김상단 ( Sangdan Kim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6 No.6

        Effective science-based management of the basin water resource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such as the baseflow discharge. In this study, the base flow was estimated in the two watersheds with the least artificial factors among the Nakdong River watersheds, as determined using the chemical hydrograph separation technique. The 16-year (2004-2019) discontinuous observed stream flow and electrical conductivity data in the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monitoring network were extended to continuous daily data using the TANK model and the 7-parameter log-linear model combined with the minimum variance unbiased estimator. The annual base flows at the upper Namgang Dam basin and the upper Nakdong River basin were both analyzed to be about 56% of the total annual flow. The monthly base flow ratio showed a high monthly deviation, as it was found to be higher than 0.9 in the dry season and about 0.46 in the rainy season. This is in line with the prevailing common sense notion that in winter, most of the stream flow is base f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y season winter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chemical-based hydrological separation technique involving TANK and the 7-parameter log-linear models used in this study can help quantify the base flow required for systematic watershed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 KCI등재

        金秋史와 蘇東坡의 詩論 비교 고찰 : 靜悟 지향의 作詩法을 중심으로

        김령매(Kim Lyong-Mae)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0

        본고에서는 秋史 金正喜(1786~1856)와 東坡 蘇軾(1027~1101)의 시론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특히 그 속에 나타난 불교적인 요소에 주목함으로써 그들의 시론이 靜悟 지향적인 作詩法임을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조선 후기에는 성리학 이념이 사회체제의 기반으로 확립되었지만, 실학 · 서학 등 기존의 가치체계에서 이탈하는 다양한 사상조류가 등장함으로써 사상적 교류와 갈등이 사회적으로 만연하게 되었다. 불교계에 있어서도 스스로의 변화를 도모하는 새로운 역사적 의의를 再構하는 시기였다. 이런 사회적 혼란 속에서 학문과 정치에 실의를 느낀 일부 유학자들은 불교로 눈길을 돌렸다. 명문거족 출신인 추사는 불교를 유교와 같은 차원에서 받아들인 대표적인 문인으로 당시 청조의 시학에도 정통했다. 특히 그는 학문을 연마함에 있어서 ‘由蘇入杜’를 주장하여 송대 동파의 학문을 크게 숭상했다. 최근 들어 추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그의 학문과 불교성에 관한 연구도 활기를 띠고 있지만 논의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한편, 동파의 경우는 그간 한 · 중 양국에서 상당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추사의 시문학을 논하면서 동파와 관련된 내용이 자주 언급되곤 했다. 하지만 그들의 학문을 ‘불교성’이라는 동일한 지평에서 논한 비교 ·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런 측면에서 본고는 추사의 시론을 동파와의 영향관계를 통해서 불교성에 중심을 두고 논의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추사는 동파보다 후대 사람인만큼 그의 시론은 당시의 청과 조선의 사조와도 관련된 복합적인 양상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를 충분히 감안하면서 둘의 靜悟 지향적인 作詩法과 그 차이를 비교해볼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추사와 동파의 불교성이 가미된 학문적 성취를 긍정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또 한 · 중 양국 문학교류사의 일면을 이해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This study is about poetries written by Kim, Jonghee (Chusa) and Sosik(Dongpa). By taking focus on Buddhism exists within their works, it proves their versification is based on Jeong'o (靜悟).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lthough the Neo-Confucianism has been established as the basis of social order, but other new ideas including Silhak(實學) and Western Learning was appeared and made conflicts with the previous one so that ideological exchanges and struggle happened at that time in all societies. For Buddhism, it was changing period as reconstitute new historical significance. (At that time, Buddhism was newly appraised as a new meaning.) In this social disorder, some Confucian scholars who disappointed at old studies and politics got interested in Buddhism. High-born Chusa was a famous writer who accept Buddhism and Confucianism without any bias, and well-versed in Ching poetics. Particularly in studying, he set high value on Dongpa’s studies at Song Dynasty maintaining 由蘇入杜("through Sosik蘇軾 to Dubo杜甫"). Although study on Chusa become popular recently, there are still many research topics haven’t been surveyed yet especially on Buddhism exists in his works. There are many studies on Dongppa in Korea and China and even studies on Chusa mentioned many things about Dongppa very often. But still not identically study taking focus on Buddhism in their works.. Therefore, this paper will describe the relation between Chusa and Dongpa by taking focus on Buddhism. Chusa lived 7 century later than Dongpa so we can say he was influenced by culture of Chosun Dynasty and neighbor Ching Dynasty. Taking consideration this point, I will describe their versification based on Jeong'o (靜悟)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hus, this paper will serve as a momentum for fruit of academic efforts, but also help understand one side of literature exchanges taken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국내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의 추이와 특징

        김령,이제환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4

        이 논문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계 이용자교육의 변화 추이와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현재의 이용자교육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용자교육의 변화 추이는 시기별로 나누어 각 시기의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였고, 현재의 이용자교육에 관해서는 교육의 외형적 양상과 내용적 실태를 밝혀내는데 비중을 두었다. 논의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기존의 통계자료와 선행연구의 조사결과 그리고 주요 대학도서관들을 대상으로 한 자체적인 사례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통계자료는 KERIS의 학술정보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대학도서관 통계와 한국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가 생산한 ‘이용자교육 조사보고서’의 통계를 활용하였다. 사례 조사는 두 번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첫 번째는 이용자교육이 ‘활발한’ 20개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였으며, 두 번째는 거점 국립대학인 P대학의 학부생과 소규모 특성화대학인 U대학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bout both historical progress and current situation of user instruction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Emphasis was on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special features and limitations of user instruction from the viewpoints of library users as well as those of librarians. To the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methods: the first tool was such major statistical sources as KERIS university library statistics system and Research Reports by the Korean Private University ‘ ’‘ ’ Library Association. The second was from the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ibrarians from 20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third was from the results of surveys with library users in two sample university libraries.

      • KCI등재

        적층 초음파센서용 압전 환판 변환기의 면내/면외 진동

        김령연(Ryeong Yeon Kim),박주아(Joo A Park),김진오(Jin Oh Kim)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5 No.11

        본 논문은 적층형 초음파센서의 핵심 요소인 압전 환판 변환기의 면내 진동과 면외 진동을 다룬다. 환판형 압전 변환기의 기본모드는 반경모드이고 반경방향 운동인 면내 진동이 두께방향 운동인 면외 진동과 연계된다. 앞서 보고한 면내 진동의 이론에 근거하여 면외 진동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유한요소 해석으로 입증하였다. 고유진동수를 실험으로 측정하여 해석 결과들을 비교 검증하였다. 압전 환판 변환기의 기본모드에서 두께방향 면외 진동이 거의 균일한 분포인 이론 식을 정립하였다. The in-plane and out-of-plane vibration of piezoelectric ring transducers, which are the main elements of stacked ultrasonic sensors, are discussed. In the ring-type piezoelectric transducers, the fundamental mode is a radial mode and the in-plane vibration of radial motion is coupled with the out-of-plane vibration of axial motion. Based on the in-plane vibration theory reported earlier, the out-of-plane vibration was theoretically analyzed and verifi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The natural frequencies were experimentally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to verify the theory. A theoretical equation was established to show the vibration distribution, which appears to be almost uniform in the out-of-plane vibration of the thickness-direction at the fundamental mode.

      • KCI등재SCOPUS

        인도양 중앙해령 Daum 열수분출대의 광물·지구화학적 연구

        김령균(Ryoung Gyun Kim),최선기(Sun Ki Choi),김종욱(Jonguk Kim),박상준(Sang Joon Pak),김원년(Wonnyon Kim)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6

        다음 열수분출대(Daum Vent Field, DVF)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도로 수행된 2021년도 인도양 중앙해령 대양탐사에서 새롭게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DVF의 광상 유형 분류, 광화 조건 비교 및 주요 금속 공급원 규명을 위해 획득한 침니와 마운드 시료를 대상으로 현미경 관찰, 전암분석, 전자현미분석 및 in situ 황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형별 중앙해령 시스템과의 비교연구 결과 DVF에서 확인되는 주요 광물조합(황철석±섬아연석±황동석), 섬아연석 FeS 함량(대부분 <20 mole %) 및 (Cu+Zn)/Fe 전암 구성비(0.001–0.22)의 상관성은 DVF가 현무암 기반의 중앙해령 해저열수광상임을 시사한다. 침니에서 확인되는 교질상/수지상 황철석의 우세한 산출, 상대적으로 철이 결핍된 섬아연석 및 Co 결핍과 Mn, Tl 부화로 특징되는 온도 의존성 금속의 거동 특성은 침니에 비해 마운드의 형성이 상대적으로 고온의 환원성 유체에 의해 규제되었음을 나타낸다. In situ 황 동위원소 분석에서 확인되는 황철석의 δ34S 값 범위(+8.31에서 +10.52‰)는 약 38.7–49.4%의 해수기원 황과 50.6–61.3%의 화성기원 황의 복합적인 기여를 반영하며, 이는 DVF 형성에 있어 주요 금속 공급원이 마그마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물-암석 상호작용임을 지시한다. The Daum Vent Field (DVF) was newly discovered in the Central Indian Ridge during the hydrothermal expedition by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IOST) in 2021.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tailed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chimney and moun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hydrothermal mineralization in the DVF. The mineral assemblages (pyrite±sphalerite±chalcopyrite) of dominant sulfides, FeS contents (mostly <20 mole %) of sphalerite, and (Cu+Zn)/Fe values (0.001–0.22) of bulk compositions indicate that the DVF has an strong affinity with basaltic-hosted seafloor massive sulfide (SMS) deposit along the oceanic ridge. Combined with the predominance of colloform and/or dendritic-textured pyrite and relatively Fe-poor sphalerite in chimneys, the fluid-temperature dependency of trace element systematics (Co, Mn, and Tl) between chimney and mound indicates that the formation of mound was controlled by relatively reducing and high-temperature fluids compared to chimney. The δ34S values (+8.31 to +10.52‰) of pyrite reflect that sulfur and metals were mainly leached from the associated basement rocks (50.6–61.3%) with a contribution from reduced seawater sulfur (38.7–49.4%). This suggests that the fluid-rock interaction, with little effect of magmatic volatile influx, is an important metal source for the sulfide mineralization in the DV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