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분신호 처리용 마이크로컴퓨터에 관한 연구

        김덕진,김낙빈,김영천,Kim, Deok-Jin,Kim, Nak-Bin,Kim, Yeong-Cheon 대한전자공학회 1982 전자공학회지 Vol.19 No.4

        A microcomputerized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Softwares for this system have also been developed to record and analyze ECG and EEG waveforms. In this systenm, the vectorcardiogram of ECG waveforms is formed automatically and displayed on CRT with of her usefull cardiac information. The frequency components of EEG waveform can also be analyzed in this system and the analyzed spectrum is displayed on CRT. 여러 가지 생체신묵를 측정하여 마이크로침퓨터 안에 기억시켜 두고 생체 내부 기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 신묵를 처리할 수 있는 신묵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EEG, ECG 등 여러 가지 생체 신묵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 점이다. ECG 파형은 3개 채널로 동시 측정 기록한 후 심전 벡터위를 작성하여 심박수, 심실흥분시간, 심전 백터의 절대치와 각등과 함께 CRT 함면상에 나타나게 하였다. EEG 파형은 CRT상에 주파수 성분별로 빈도와 상대진폭을 나타나게 하였다.

      • KCI등재

        연안 해양기상(해상풍, 수온) 관측을 위한 항공기 원격탐사 시스템

        김덕진,조양기,강기묵,김진우,김승희,Kim, Duk-Jin,Cho, Yang-Ki,Kang, Ki-Mook,Kim, Jin-Woo,Kim, Seung-Hee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1

        인공위성은 넓은 지역에 대한 전 세계의 정보를 획득하는데 유용하지만, 좁은 지역에 대한 적시적소에 촬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원격탐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항공기 원격탐사시스템은 SAR센서와 열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획득된 자료의 방사 및 기사보정을 위하여 GPS, IMU, 온도/습도계 등도 설치하였다. SAR영상은 표면 거칠기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밝기 값이 달라지게 되며, 해양에서는 바람에 의해 쉽게 생성 되는 표면 장력파의 진폭이 이러한 표면 거칠기를 야기한다. 따라서 정량화된 SAR의 후방산란과 해상풍 사이의 관계식을 통해 해상풍 추출이 가능하다. 한편, 열적외선 센서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물체와 센서 사이의 대기에 의한 효과를 보정한 후 수온 추출이 이루어진다. 이 두 센서를 탑재한 항공기로 서해안 일대를 4차례 시험비행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획득된 SAR 및 열적외선 영상의 품질이 연안환경 모니터링 및 해양기상 자료 추출에 충분함을 보여주었다. Although space-borne satellites are useful in obtaining information all around the world, they cannot observe at a suitable time and plac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 airborne remote sensing system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composed of a SAR sensor and a thermal infrared sensor. Additionally GPS, IMU, and thermometer/hygrometer were attached to the plane for radiometric and geometric calibration. The brightness of SAR image varies depending on surface roughness, and capillary waves on the sea surface, which are easily generated by sea winds, induce the surface roughness. Thus, sea surface wind can be estimate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fied SAR backscattering coefficient and the sea surface wind. On the other hand, thermal infrared sensor is sensitive to measure object's temperature. Sea surface temperature is obtained from the thermal infrared sensor after correcting the atmospheric effects which are located between sea surface and the sensor. Using these two remote sensing sensors mounted on airplane, four test flights were carried out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The obtained SAR and thermal infrared images have shown that these images were useful enough to monitor coastal environment and estimate marine meteorology data.

      • 통합학문 5대 법칙의 제안

        김덕진,Kim, Deok-Jin 한국플랜트학회 2018 플랜트 저널 Vol.14 No.1

        과거의 학문은 기초의 시대이며, 현재의 학문은 융합의 시대이며, 미래의 학문은 통합의 시대이다. 학문 통합의 필수 조건은 모든 학문이 서로 동등해야 한다는 것이며, 오직 자연법칙으로부터 파생된 법칙만이 통합의 동등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에너지로 정의할 것을 제안한다. 만물은 변화하며 그 변화에는 방향성이 필히 존재하므로, 변화와 방향성은 모든 학문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통합학문의 제 0 법칙은 존재의 법칙, 제 1 법칙은 변화 보존의 법칙, 제 2 법칙은 무효변화 증가의 법칙, 제 3 법칙은 지침의 법칙, 그리고 제 4 법칙은 융합의 법칙이다. 위 법칙들은 열역학의 자연법칙과 매우 유사함을 볼 수 있다. 통합학문 5 대 법칙의 최종 목표는 지구상에서 자연, 인간, 인공지능 개체들이 서로 협력하여 발전하는 공동체의 구현이다. Current study is the era of fusion, and future study is the era of integration. The prerequisite of study integration is that all studies must be equal to each other, and only laws derived from natural laws can achieve the equivalence of integration. We suggest that the ability to make change is defined as energy. All things change, the change necessarily has directionality, therefore change and directionality apply equally to all studies. The zeroth law of integral studies is the law of existence, the first law is the law of change conservation, the second law is the law of increasing non-available change, the third law is the law of the guidelines, and the fourth law is the law of fusion. The above laws are very similar to the law of thermodynamics. The ultimate aim of the five integral laws is the realization of a community in which natural, human, and AI individuals cooperate and develop each other on the earth.

      • KCI등재

        심해무인잠수정 해미래의 고도정보 추정을 위한 다중센서융합 알고리즘

        김덕진,김기훈,이판묵,조성권,박연식,Kim, Dug-Jin,Kim, Ki-Hun,Lee, Pan-Mook,Cho, Sung-Kwon,Park, Yeoun-Sik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논문에서는 유삭식 심해무인잠수정인 해미래와 진수장치인 해누비로 이루어지는 심해무인잠수정 시스템의 항법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다중 센서 융합 기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수중 위치 추적 시스템의 성능은 초단기선, 장기선, 고도계와 같은 수중 음향 센서의 성능에 의해 결정되는데 수중음향 신호는 다양한 형태의 노이즈를 가지고 있어 특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관측창 개념을 이용한 실용적인 다중 센서 융합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해미래의 동해 실해역 시험을 통해 획득된 계측치에 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 성능을 고찰한 결과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represents the multiple sensor fusion algorithm for the deep-sea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UV), composed of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Hemire' and a depressor 'Henuvy'. The performance of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usually highly depend on that of acoustic sensors such as ultra short base line(USBL), long base line(LBL) and altimeter. A practical sensor fusion algorithm is proposed in the sense of a moving window concep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observed by applying the algorithm to the Hemire sea trial data which was measured at the East S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