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oziokulturelle Konflikte zwischen Ost- und Westdeutschen im vereinten Deutschland

        Kim Nury(김누리) 한국카프카학회 2005 카프카연구 Vol.12 No.1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5년이 지났지만 동서독 사람들의 머릿속 장벽은 여전히 건재하다. “분단은 장벽 시절보다 더 심각하다”(그라스), “독일인 다섯 명 중 하나는 장벽이 다시 세워지길 바란다.”(슈테른), “지금처럼 많은 동독인들이 자신을 패배자로 느낀 적은 없었다.”(슈피겔) 최근 몇 달간 독일에서 들려오는 풍문들은 사태가 날로 악화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왜 이런 지경이 되었을까. 동서독간의 경제적 격차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해소되고, 정치제도도 안정적으로 정착되는 상황에서 동서독 사람들 간의 사회문화적 갈등은 오히려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사실 사회문화적 갈등의 조짐은 통일 초기부터 상존하고 있었다. 동서독 사람들간에 이질감이 심화되고, 이미 역사에서 사라진 동독의 정체성이 부활하는가 하면, 오스탈지아라는 이름의 동독에 대한 향수병이 확산되어 왔던 것이다. 수많은 지표가 이를 증명한다. 그럼 성공적인 체제통합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머릿속 장벽이 높아만 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현재 여러 가지 가설들이 경쟁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형테제’, ‘전환테제’, ‘식민화테제’이다. 기형태제란 동독인들이 통일 이후 서독의 ‘민주제도’에 대해 보이는 불만과 적개심은 동독의 독재정권하에서 기형적으로 왜곡된 ‘권위주의적 성격’에 기인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 테제에 따르면 동독인들이 평동의 가치와 사회보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 습성화된 기형적 심리구조의 탓이다. 전환테제는 동서독인 간의 사회문화 갈등은 전환기에 겪게 되는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사회주의 체제가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갈등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전환테제는 전환기에 동독인들이 겪은 일상의 체험이 불만의 원인이라고 보는 체험가설과 서독이 주도한 체제전환 과정에서 동독인들이 느낀 박탈감과 열등감을 보상받으려는 심리가 동독인의 저항적 정체성의 핵심이라고 보는 보상가설로 나뉜다. 식민화테제는 독일통일의 본질을 서독에 의한 동독의 식민화로 보는 입장이다. 신탁청에 의한 인민소유 재산의 민영화과정에서 동독 소유재산의 95%가 서방 자본의 손에 넘어간 역사적 사실이 식민화테제의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경제적 식민화 이외에도 문화적, 사회적 식민화 현상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여전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상 세 개의 테제는 통일 후 독일의 사회문화 갈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자주 동원되는 논리기제이다. 어떤 테제가 가장 유효한지는 현재로선 속단하기 어렵다. 보다 포괄적인 견지에서 세 테제를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할 때 통일독일의 사회문화 갈등에 대한 설득력 있는 해명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이 세 테제가 특정한 정치 분파의 시각과 상응한다는 점이다. 기형태제는 보수주의자와 극우파들이, 전환테제는 자유주의자들이, 식민화테제는 좌파들이 즐겨 사용하는 논리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놓고 볼 때 통일독일 문화갈동의 원인을 단순히 권위주의 체제에서 기형화된 심리구조에서 찾는 기형태제나 통일과정에서 경험된 경제적 불평등에서 찾는 식민화 테제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1989년 동독혁명을 성공시킨 자들은 다름 아닌 ‘기형화되었다는’ 동독시민들 자신이었고, 현재 동독인들의 대다수가 개인적 경제상황에 만족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동서독 갈등은 통일독일의 미래를 독점할 뿐 아니라 동독인들의 과거까지도 멋대로 재단하는 서독인들의 오만과 독주에 맞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높이려고 애쓰는 동독인들의 ‘인정투쟁’ 과정에서 심화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Smart Laundry Drying System

        Nuri Kim(김누리),Huhnkuk Lim(임헌국)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3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빨래 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베란다용 스마트 빨래 건조 시스템을 처음으로 개발하고 소개하고자 한다. 개발된 스마트 빨래 건조 시스템은 앱을 통해 빨랫감 위치 정보를 받은 후, 위치 정보에 따른 온도, 습도 등의 기상청 데이터를 통해 기후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비가 오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조대 위에 빨래 감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아두이노 습도 센서와 기상청 Open-API를 통해 기상 정보를 취득하고 이는 라즈베리파이가 스위치 봇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Blynk를 사용하였으며, 스위치봇은 빨랫감을 제어한다. 제안 시스템은 기상 악화를 감지하고 원격지에 있는 빨래감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비 피해를 예방해줄 수 있다. In this paper, we first intend to develop and introduce a smart laundry drying system for verandas that controls the drying rack by actively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e developed smart laundry drying system receives laundry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pp, then detects climate change in real time through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laundry on the drying rack in case of rain. It acquires weather information through the Arduino humidity sensor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pen-API, which is used to control the switch bot by the Raspberry Pi. The user interface uses Blynk, and the switch bot controls the laundry. Our proposed system can detect bad weather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laundry at a remote loca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laundry.

      • KCI우수등재

        물체 검출 컨벌루션 신경망 설계를 위한 효과적인 네트워크 파라미터 추출

        김누리(Nuri Kim),이동훈(Donghoon Lee),오성회(Songhwai Oh)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17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4 No.7

        Deep neural networks have shown remarkable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of pattern recognition such as voice recognition, image recognition and object detection. However,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network have not been fully revealed. In this paper, we focused on empirical analysis of the network parameters. The Faster R-CNN(reg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as used as a baseline network of our work and three important parameters were analyzed: the dropout ratio which prevents the overfitting of the neural network, the size of the anchor boxes and the activation function. We also compared the performance of dropout and batch normalization. The network performed favorably when the dropout ratio was 0.3 and the size of the anchor box had not shown notable relation to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The result showed that batch normalization can’t entirely substitute the dropout method. The used leaky ReLU(rectified linear unit) with a negative domain slope of 0.02 showed comparably good performance.

      • KCI등재

        1945 - 영시점인가? - 서독문학의 초기상황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누리 ( Kim Nury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6 독일언어문학 Vol.0 No.74

        Die vorliegende Arbeit stellt einen Versuch dar, die Fruhphase der westdeutschen Literatur kritisch zu bilanzieren. Diese gewinnt ihre Aktualitat dadurch, dass westdeutsche Literatur durch die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 1990 Geschichte geworden und daher aus einem neuen Blickwinkel zu bewerten ist. Bemerkenswert ist aus heutiger Sicht, dass sich die Literatur der jungen Schriftstellergeneration um die Guppe 47 als Antithese gegen die fruhe westdeutsche Literatur entwickelte, in der die Autoren der sogenannten `inneren Emigration` dominierend waren. In diesem Zusammenhang erscheint die These von der Stunde Null, mit der haufig die fruhe westdeutsche Literatur charakterisiert wurde, recht fragwurdig, denn die Vorherrschaft der Literatur der inneren Emigration verweist zweifellos auf einen wesentlichen Mangel an Aufarbeitung der nationalsozialistischen Vergangenheit. Die Stunde Null ist in der Tat nichts anderes als ein Mythos: In der westdeutschen Nachkriegsliteratur gab es kaum eine Stunde Null im Sinne einer Zasur mit radikalem Neuanfang. Nur unter den jungen Schriftstellern schimmerte ein Stunde-Null- Bewußtsein auf. Als die entscheidenden Charakteristika jener fruhen westdeutschen Literatur, die davon zeugen, dass die Stunde Null ein Mythos war, sind u.a. die folgenden Erscheinungen herauszuarbeiten: die Vorherrschaft der Literatur der inneren Emigration, die ausbleibende oder zogernde Anerkennung der Exilliteratur, das Schweigen der jungen Schriftsteller, die einseitig konservative Aneignung des literarischen Erbes, der Goethe-Kult als Alibi und die Renaissance Gottfried Benns und Ernst Jungers als Entlastungszeugen.

      • 시계열 데이터의 이미지 변환 방법에 따른 딥러닝 고장 진단 성능 비교

        김누리(Nuri Kim),승일(Seong-il Kim),강영진(Young-Jin Kang),노유정(Yoojeong Noh) 대한기계학회 202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0 No.12

        As mechanical components and systems become more complex, the technology for diagnosing product failures is becoming more prominent. In particular, the use of deep learning methods such as CNN in fault diagnosis brings the accuracy of sorting out failures without screening out fault features to close to 100%. But so much so that what data is input is us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accuracy. In this paper, when diagnosing faults of a vibration time series data of the compressor rotor with CNN, the type of image conversion performed to input data was largely divded into two parts, RP and Scalogram, depending on the conversion to the frequency domain, and it reveals which algorithms are more suitable for fault diagnosis. Experiments have shown that scalogram that has been converted to frequency domain have higher accuracy, F1-score, etc.

      • 대규모 공공기관 데이터센터 운영인력산정모델에 관한 연구

        김누리(Kim Nuri),허석재(Hur Suk-Jae),이영섭(Lee Young-Seop),태형(Kim Tae-Hyung),송대준(Song Dae-Jun) 한국IT서비스학회 2011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9

        대규모 공공기관 데이터센터 사례는 국가 주요 정보자원의 안정성,보안성,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입주 기관의 정보시스템을 위탁 운영함과 동시에 운영 및 유지보수 업무를 외부 업체에 아웃소싱하고 있는 형태로, 고도의 IT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 공공기관 데이터센터 내 전체 운영인력을 대상으로 ITIL 프로세스 기반의 운영인력 업무량 조사를 실시하고,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 정합성이 검증된 조사 업무량의 난이도, 기술등급에 따른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보정된 업무시간과 근로기준업무시간의 차이 값 등의 절차를 통해 적정 운영 인력을 산출하는 새로운 모델을 소개하였다. 이는, 운영비용 산정 시 운영비 산출 기준이 모호하던 기존 "인당 관리대상 서버 수" 방식에서 업무적 가중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객관성을 부여한 새로운 운영인력산정 방식인 운영인력산정모델을 제시한 사례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감사, 희망, 유머, 삶의 만족도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김누리(Kim, Nuri),안도희(Ahn, Doe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총 462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감사, 희망, 유머, 삶의 만족도 및 학교적응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며, 성별에 따라 이들 변인들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감사, 희망, 유머는 삶의 만족도와 학교적응 변인과 정적 상관을 가지며, 삶의 만족도와 학교적응 변인들 중 ‘학교/규율’ 요인과 ‘학교/교사’ 요인은 감사와 희망과 각각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규명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교적응 변인들 중 ‘교우관계’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사와 희망은 삶의 만족도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는 삶의 만족도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사와 희망은 학교적응을 거쳐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삶의 만족도를 거쳐 학교적응에도 정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와 학교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감사하는 마음과 미래에 대해 희망적인 태도를 갖도록 독려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학생 지도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hope, humor,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462 junior-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Kyunggi area in Korea completed and retuned the questionnaires. Pearson’s correlations indicated that gratitude, hope, and hum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dependent t-tes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relations with other students’ factor in school adjustment than male studen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upported that gratitude and hope had direc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Lastly,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gratitude, hope and school adjustmen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gratitude, hope and life satisfaction on school adjustment.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oretical implications in school settings.

      • KCI등재

        아도르노의 교육담론

        김누리 ( Kim Nury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7 독일언어문학 Vol.0 No.78

        2015년 메르켈 독일 총리는 시리아 난민 백만 명을 받겠다는 선언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그러나 진정한 경이로움은 메르켈의 결정이 아니라, 그 결정을 받아들인 독일인의 성숙한 정치의식에 있다. 어떤 의식을 가진 국민이기에 백만 난민을 받은 총리를 용인했을 뿐만 아니라, 다음 선거에서 다시 승리를 안겨줄 수 있단 말인가. 이 논문은 ‘백만 난민의 기적’을 낳은 비밀을 추적해보려는 시도이다. 이 현대판 기적은 1970년대 교육개혁 이후 탄생한 ‘신독일인’의 성숙한 정치의식에 기인하며, 이 교육개혁은 무엇보다도 아도르노의 교육담론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중심 가설이다. 역으로 말하면 아도르노가 『성숙을 위한 교육』에서 주장한 교육적 지향들, 즉 민주주의 교육, 이데올로기 비판 교육, 반권위주의 교육, 저항권 교육, 공감 교육, 과거청산 교육 등이 70년대 교육개혁을 통해 새로운 교육원리로 정착되었고, 이런 비판 교육, 공감 교육을 받고 자란 새로운 독일인이 사회의 중심세력이 되었기에 그런 기적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아도르노의 교육사상이 한국교육에 던져주는 시사점은 세 가지다. 경쟁지상주의 교육은 인간을 괴물로 만드는 ‘야만 교육’이라는 것이고, 올바른 의식을 길러주지 않고 단순한 지식만을 채워주는 것은 ‘반교육’이라는 것이며, 저항권 교육, 반권위주의 교육 등 정치교육이 부재한 한국의 교육으로는 성숙한 민주시민을 길러낼 수 없다는 것이다. Die 2015 von der Kanzlerin Angela Merkel getroffene Entscheidung, eine Millionen Fluchtlinge aus Syrien aufzunehmen, war ein aufruttelnder Schock nicht nur in Deutschland, sondern auch in der ganzen Welt. Besonders erstaunlich ist das aus heutiger Sicht gerade deshalb, weil die Fluchtlingskrise in England zum Brexit fuhrte und in Frankreich die rechtspopulistische Marine Le Pen beim Rennen um die Prasidentenschaft in die Stichwahl brachte, wahrend in Deutschland als Ergebnis der Bundestagswahlen mit aller Wahrscheinlichkeit Frau Merkel ein weiteres Mal zur Kanzlerin gewahlt werden wird. Die vorliegende Arbeit geht von der Frage aus, wie es dazu kommen kann, dass in Deutschland eine Kanzlerin, die eine solche Unsumme von Fluchtlingen aufgenommen hat, sich trotz gewisser Stimmverluste ihrer Partei schließlich doch erneut als Kanzerlin wird durchsetzen konnen. Denn dies erscheint wie ein Wunder in dieser sinn- und morallosen ‘Trumpwelt’. Was uns eigentlich uberrascht, ist nicht die Entscheidung Merkels, sondern die mundige Toleranz der uberwaltigenden Mehrheit der Deutschen und deren Willkommenskultur. Meine These lautet, dass dieses Wunder der Guten Deutschen auf jene Bildungsreform in den siebziger Jahren zuruckzufuhren sei, die uberwiegend von den Bildungskonzeptionen Theodor W. Adornos beeinflusst und inspiriert worden war. Di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in diesem Zusammenhang, die Bildungsdiskurse Adornos im Sinne der Erziehung zur Mundigkeit zu rekonstruieren und dann seinen grossen Einfluss auf die Bildungsreform nachzuweisen sowie uber die aktuelle Bedeutung seiner Bildungskonzeption nachzudenken. Die wichtigsten Erziehungskonzeptionen Adornos sind in wenigen Stichworten festzuhalten: Anitautoritare Erziehung, Aufarbeitung der Vergangenheit, Uberwindung der Ich-Schwache, Widerstandsfahigkeit, Vermogen zur Emphatie usw. Durch eine an diesen Konzepten orientierte politische Erziehung kann nach Adorno ein antiautoritarer, widerstandsfahiger und sich einfuhlender Mensch mit gefestigtem Ich, d.h. ein mundiger Mensch herangebildet werden. Durch die von Adorno inspirierte Bildungsreform hat das deutsche Bildungswesen seit Anfang der siebziger Jahre einen neuen Menschentypus geformt. Diese ‘neuen’ Deutschen waren es, die damals die zweite Grundung der Bundesrepublik mitgepragt und heute das besagte Fluchtlingswunder herbeigefuhrt haben.

      • KCI등재

        애브젝션으로서의 출산 이미지 연구

        김누리(Kim, Nuri),차영순(Cha, Young Soon)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3 No.-

        본고는 대표적인 애브젝션의 순간인 출산에 대해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개념을 통해 고찰하고, 현대 미술에 표현된 출산의 순간들을 분석한다. 정신분석학을 태동시킨 프로이트와 인간의 의식세계를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분류한 라캉,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수용하며 동시에 그들의 이론이 가진 가부장적 성격에 대해 반기를 들며 그들의 학설에서 배제되었던 여성을 발굴해낸 이리가레의 학설을 살펴본다. 크리스테바는 이리가레가 남성 위주의 정신분석학에 반론을 제기한 점에 동조하며, 나아가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진입할 때, 즉 주체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버려지는 것들을 애브젝트, 그러한 심리작용에 대하여 애브젝션이라고 명명한다. 크리스테바는 출산을 결정적인 애브젝션의 순간이라 칭하는데, 출산은 한 몸이었던 어머니와 아이가 분리되는, 주체와 대상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순간이고, 어머니와 아이는 서로에게 애브젝트가 되는 순간이다. 과거에는 금기시되어온 출산에 대한 담론을 현대 여성미술가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루이스 부르주아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출산 경험을 표현하기도 하였고, 자신과 어머니의 관계나 가족간의 경험을 가감 없이 표현하였다. 주디 시카고는 자수나 태피스트리와 같은 여성적 기법을 이용하여 출산에 대한 연작을 제작하였는데, 출산을 단순한 생물학적 현상이 아니라 죽음과 삶을 넘나드는 과정으로, 성스럽고도 공포스러운 애브젝션의 순간으로 표현하였다. 니키 드 생 팔은 아상블라주 기법을 사용하여 출산하는 어머니를 기괴하면서도 동시에 여신과 같은 애브젝트한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현대 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한 여성의 몸은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어머니의 자리를 복원시키고, 여성의 언어로 표현하며, 이분법적 경계를 허무는 다양성의 미학을 추구한다.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개념과 여성작가들의 경험이 표현된 작품을 통해 논제에 대한 인식의 확장이 심화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oment of delivery as a representative moment of abjection and analyze the images of delivery expressed in contemporary art in the light of Julia Kristeva’s abject concept. It also examines the theories of Sigmund Freud who founded psychoanalysis, Jacques Lacan who established the Imaginary-Symbolic-Real framework, and Luce Irigaray who opposed to the patriarchal traits of these two theorists and put forward the concerns on women. Kristeva agreed with Irigaray who made counterarguments against male-dominated psychoanalysis theories. She referred to the things which are thrown away to secure the self-identity as abject, and the psychotic action as abjection. Kristeva also considered the delivery as a decisive moment of abjection. She postulated that the delivery is an ambiguous moment at which mother and child, who were one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become abject. Contemporary female artists like Louise Bourgeois, Judy Chicago, and Niki de Saint-Phalle expressed the delivery, which has been regarded as taboo,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assemblage together with tapestry and embroidery. The meanings of abject have been expanded through Kristeva’s conceptual framework and various perspectives manifested by such ar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