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교기반 자살예방 프로그램 : 장점과 제한에 대한 교사의 인식

        권호인,김란,노법래,서은희,홍현주,용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1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schoolbased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suicide prevention project, and to derive plans for future improvement. Methods A total of 582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study, school-based suicide prevention programs were divided into four programs : curriculum-based program, staff in-service training, screening, and postvention ; the teachers’ opinions regarding each program were then gathered by conduct of an online survey.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chose the curriculum-based program as the most easily implementable program (65.6%), and postvention as the most difficult program to implement (52.9%). The curriculum-based program was implementable due to availability of procedure. Evasion of legal responsibil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postvention, making the program more desirable. Barriers to effective implementation include students’ and parents’ resistance to screening as well as time constraints in staff in-service training.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variety of preceding conditions must necessarily be prepar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ach type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then discussed. 본 연구결과 교사들이 학교기반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청소년 자살문제 해결에있어 학교 역할의 중요성을 지역사회와 학교체계에서 전반적으로 공감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살예방사업의 긍정적인기반이 마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실제 학교에서 시행하기 위한 전문적 인력과 효과적인 예방 프로그램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고 있으며, 표준화된 예방 프로그램의 기준이 확립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학교 내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학교의 지지적 체계, 학교장과 교직원의자살예방 인식, 전담 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개발 및 외부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와 같은 다양한 선행 조건 등 많은 과제가 해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학교기반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체계적 실시와 지속적 평가, 효과성에 대한 과학적 검증 절차를 통해 점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부의 속박감과 복종 및 분노조절 방식이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

        권호인,이소영,정혜 한국여성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분노 경험 및 분노 표현 방식이 남편과 부인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이 한국의 문화 관련 증후군인 화병의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부부 75쌍으로, 부부 각자에게 속박감과 복종, 분노 조절에 대한 자기보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인의 화병 증상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는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분노 억제가, 남편의 경우에는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특성 분노, 상태분노, 분노 표출이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상대 상호의존 모델을 사용하여 경로 모형을 분석한 결과, 외적 속박감은 화병 증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부인의 분노 억제, 남편의 분노 표출을 매개로 화병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종 행동은 외적 속박과 유의한 관련을 가지지만, 남편의 경우에만 화병 증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부부의 각기 다른 분노 조절 방식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외적 속박감을 어떻게 다루어 줄 것인가에 대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들을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우울증 환자의 대인관계 특성: 증상과 독립적인가?

        권호인,서신영,정혜,함병주,백종우 한국임상심리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9 No.4

        본 연구는 우울증의 대인관계 모형에 기초해서, 우울증과 관련된 대인 관계적 역기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8명의 현재 우울증 집단, 24명의 우울증 회복집단, 31명의 정상 통제집단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상과 함께 대인 관계적 특성에 대한 자기보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우울증 삽화 환자들은 정상 통제군 및 우울증 회복집단에 비해 사회적 지지는 낮게, 갈등은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 관계 행동 중 의존성과 위안 추구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대인 관계적 역기능은 우울증의 증상이 회복된 이후에는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증과 관련된 대인관계 행동이 우울증상과 공변하는 현상이거나, 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상생활에서의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태순간평가 일기법 연구

        권호인,김선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motional and situational context where non-suicidal self-injury occurs in everyday life. Sixty adults(age 19-35) completed daily surveys assess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stressful events, self-injury thoughts, and behaviors for two weeks. Using a total of 663 collected entries, we analyzed specific personal emotions and stressful events related to non-suicidal self-injurious thoughts and behaviors. As a result, high negative emotions, low positive emotions, and total stress event scor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injury thoughts and behaviors. In the model in which both emotion and stress were inserted as predictors, the low level of positive emotion showed a significant related to non-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gative emotion management and overall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are important in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for non-suicidal self-injurious patient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searched for risk factors of non-suicidal injury in everyday life using a short-term longitudinal method.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가 발생하는 정서 및 상황적 맥락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35세 이하의 성인 60명이, 14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전자일기에 접속하여 그날의 긍정 및 부정 정서, 스트레스 사건, 자해 사고 및 행동 여부에 대해 기록하였다. 수집된 총 663건의 엔트리를 활용하여 비자살적 자해 사고 및 행동과 관련된 개인의 정서, 스트레스 사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 간 수준의 높은 부정 정서와 낮은 긍정 정서, 스트레스 사건 총점은 각각 자해 사고 및 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부정 및 긍정 정서와 스트레스 모두가 투입된 모형에서는 개인 간 수준의 낮은 긍정 정서가 비자살적 자해 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자살적 자해 경험자의 정서 조절 개입에 있어 부정 정서 관리뿐 아니라 긍정 정서 강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단기 종단적 방법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 요인을 탐색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상담기관 자살위기개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상담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권호인,김소라,윤경선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2 No.2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 of university counseling agency and to present improvement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s. After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targeting 12 counselors of college counseling center, we analyzed it for the study. As a result, a total of four categories, the concept of the 13 sub-regions were derived as the problems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 which the college counselors would think. Four categories were absence of written guidelines for the crisis intervention, lack of the systems and management of the college counseling center, lack of awareness of the suicide problem and difficulties of referral process. In addition counselors said that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suicide problem across the college,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for crisis students, preparation of written crisis intervention guidelines, training for counselors and post intervention were necessary effective suicide crisis intervention. Finally they proposed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대학 상담기관 자살위기개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상담 기관의 상담자 12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 상담자들이 생각하는 대학 상담기관의 자살위기개입의 문제점으로 총 4개의 범주, 13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위기개입에 대한 지침 부재, 대학 상담기관의 체계 및 관리 부족, 자살 문제에 대한 인식 부족, 연계 과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담자들은 효과적인 자살 위기개입을 위해서는 학교 전반의 자살문제에 대한 인식 변화, 위기학생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 문서화된 지침 마련과 구체적 훈련, 사후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심리부검에 대한 고찰과 제언

        권호인,고선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4

        The psychological autopsy is a method to estimate causes of suicidal death by collecting data from interviewing suicide victim’s family added with additional life records.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suicide prevention centers have been trying to implement psychological autopsy. but there is paucity of efforts examining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sychological autopsy. Therefore, this paper reviewed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and risk factors in Western and Asia countries. and then a methodology for the Korean version of psychological autopsy was suggested. After investigating the specific risk factors for korean suicide through psychological autopsy, then it can be possible to grasp the intervention point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We als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psychological autopsy study and interventions in Korea. 심리부검이란 주변인의 진술과 기록을 통해 자살자의 심리행동 양상을 파악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심리부검은 자살의 원인을 통합적으로 밝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국내에서도 각 지자체와 지역사회 자살예방센터를 중심으로 확대 실시되고 있으나 다양한 실행주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심리부검의 타당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살률 감소를 위한 장기 정책 목표를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실시된 심리부검의 절차, 심리부검에 포함할 내용, 선행 연구결과를 검토한 후, 향후 심리부검을 실시할 때 고려할 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아동 청소년기 우울증의 예방 개입에 대한 고찰

        권호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2 인지행동치료 Vol.12 No.1

        아동 청소년기 우울증은 만성적이고 재발적인 경과뿐 아니라 자살과 같은 부정적 영향력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전 세계의 여러 연구자들은 아동 청소년기 우울증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검증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기 우울증에 대해 알려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및 우울증 예방의 분류 체계를 소개하고, 다양한 우울증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와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아직까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는 국내 아동 청소년 우울증 예방 연구와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촉진하고자 하고자 한다. Depression in youth is of high individual and social importance because of their devastating course, risk for future suicide attempt. International researcher hav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depressive disorder in youth and thus have been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on program. This article present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main focus was an overview of current prevention programs and their efficacy. Finally this article highlighted future directions for prevention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지속노출치료 : 강간 피해자 증례 보고 1례

        권호인,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5 인지행동치료 Vol.5 No.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지속노출 치료는 두려워하는 상황과 기억에 직면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억의 병리적인 부분을 수정하기 위해 외상 기억을 활성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속 노출치료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 면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속노출치료의 원리, 구체적인 절차를 소개하고, 20대 초반의 강간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실제 치료 사례를 제시하였다. 치료는 모두 9회기에 걸쳐 개인치료로 실시하였다. 지속 노출 치료 후, 환자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호전과 우울과 불안의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과 향후 치료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Prolonged Exposure(PE) has been undoubtedly regarded as the most effec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treating the PTSD symptoms. Many outcome studies have validated its empirical status as the treatment of choice. This article presen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basic therapeutic techniques of PE, and a case report of female victim of sexual assault. Therapy consisted of 9 sessions and individual therapy was performed. Pre- and post-treatment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the patient had significantly less severe PTSD symptoms and less depressed following treatm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 for treatment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