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퀀스 분석을 통한 장애인의 노동시장 참여 패턴과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법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의 노동시장 참여의 종단적 패턴을 도출하고 그와 같은 참여 패턴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장애인이 경험하는 신체적, 정신적 도전 상황과 장애인의 내적 다양성은 노동시장의 참여의 불안정성에 핵심을 둔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는 시간을 축으로 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노동시장 참여의 종단적 패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월 단위로 계측된 노동시장 참여 경험의 연쇄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장애인들의 다양한 노동시장참여 패턴을 도출하고 이와 같은 참여 패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시퀀스 분석(sequence analysis)을 활용했다. 분석은 크게 세 단계를 거쳤다. 우선 월 단위로 계측된 노동시장 참여 패턴에 대해 시퀀스 분석의 최적화 매칭(optimal matching)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참여 패턴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두 번째로는 참여 유형과 장애 유형간의 대응분석(correspondent analysis)을 실시하여, 장애 유형에 따라 노동시장 참여의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다항로지스틱 회귀모델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노동시장 참여 패턴을 결정하는 요인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논문의 말미에서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longitudinal patterns of work participation of disabled persons and the factors determining those patterns. Disables persons are challenged by various personal and social barriers in participating the labour market. Therefore, finding vulnerability in job participation patterns c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hemes. Although a number of researches related to this issue have conducted and accumula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consider that kind of vulnerability in time. So, this study conducts a sequence analysis trying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Especially, optimal matching algorithm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for the sequence analysis. The patterns of job participation of disabled person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are found from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 KCI등재

        한국 자살 위험의 지역적 격차와 그 시공간적 고착 구조에 관한 연구

        노법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9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한국 지역 간 자살률의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연령별 자살 위험 수준이 시공간적(spatio-temporal)차원에서 고착화된 패턴이 있는지 드러내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적인 목표이다. 자살 발생이 지역 수준에서 시공간적으로 고착화되어 있다면 한국 사회의 비정상적인 자살 발생을 가져오는 환경적 힘이 사회 전반적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적 수준에서 차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자살 위험의 시공간적 고착 패턴을 살펴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자살 발생의 공간적 집적성과 연령 자살 발생 위험의 종단적인 결합궤적의 지역 분포라는 두 가지 차원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공간자기상관 수준의 시기적 변화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후자와 관련해서는 연령별 자살률의 결합궤적(joint trajectories) 유형 분석과 매핑 그리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결과를 검토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지역 간 자살 위험은 조사 기간에 걸쳐 고정된 서열 구조가 유지되는 불균등 구조를 보였으며, 자살 위험의 분포가 지역 특성과 행정 구역을 중심으로 고착된 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anges in suicide rates among Korean regions since the late 1990s. Especially,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ether there is a persistent pattern of suicidal risk level at the spatio-temporal level. If the occurrence of suicide is temporally and spatially fixed at the local level, we can find the evidence that the environmental forces that lead to the abnormal suicide in Korean society are differentiated not only at the social level but also at the local level. In order to examine such patterns, this study empirically tes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uicide incidence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longitudinal combination trajectories of age-related suicide risk. First, we examine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level of suicide rates among age groups longitudinally. Second, we conducted trajectory clustering analysis to classify the types of age-related suicidal risk structures, mapp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rajectory type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the regional risks of suicide in Korea have maintained the fixed sequence structure throughout the research period and that the distribution of suicide risk was fixed ar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At the conclusion, some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y discussing the results.

      • KCI등재

        한국의 계층인식과 기부행위: 계층이동 인식의 매개효과 검증

        노법래,김소영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부행위에 계층인식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계층이동에 대한 인식이 양자 사이에서 어떤 매개적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계층인식은 신뢰감, 심리사회적 안정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기부와 같은 친사회적 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으로 그와 같은 영향은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검토 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이동 가능성을 세대 내, 세대 간으로 구분하여 매개구조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 방법은 잠재구조와 매개구조를 함께 다루기 위해 부분최소자승모형(PLS)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계층인식은 기부행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양자 사에서 매개 효과를 지니고 있음도 관찰했다. 계층인식이 계층이동에 대한 두 변인과 모두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계층이동에 대한 두 변인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은 서로 상반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복지국가의 정책 영역 및 정책 결합구조(configurations)별 불평등 완화 효과에 관한 비교정책연구: 노동 세대 보장 및 사회적 돌봄 지출의 확대와 효과적인 불평등 완화 정책

        노법래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welfare state expenditures on policy inequality. Panel data were collected for OECD countries since 2000. The welfare state policy area was divided into four areas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ach policy area of the welfare state on mitigating inequality. This study considers time-serial autocorrelation structures in the panel correction error (PCSE) model to account for both heteroskedasticity and non-stationarity.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used a tree-based model as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effect of policy regarding configurations and to consider multicollinearity problems. The results showed that expenditures on working generations and social care service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mitigation of inequality. The results presented som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is for effective policy formulation for mitigating inequ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국가의 정책 영역별 지출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복지국가 정책 영역을 네 가지로 나누고 2000년 이후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국가 패널 자료를 구성하였다. 먼저 진행한 회귀분석에서는 패널 간 이상성(heteroskedasticity)과 시계열적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패널교정오차(panel-corrected standard errors) 모형에 시계열적 자기상관 구조를 포함했다. 이어서 비교연구에서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다중공선성 문제를 다루고, 정책의 효과를 결합구조(configuration)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는 접근으로써 트리구조(tree-based model)를 활용한 예측 모형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노동 세대에 대한 지출과 사회적 돌봄 서비스 지출은 불평등 완화에 중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복지국가 정책을 통한 불평등 억제의 방향을 시장소득 분배 개선과 재분배를 통한 완화로 나눌 때, 노동 세대 지출은 주로 후자와 관련하여, 돌봄 서비스 지출은 전자를 중심으로 주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말미에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 완화를 위한 효과적 정책 구성에 대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 KCI등재

        한국복지패널로 들여다본 청년의 생애사: Multistate Model로 그린 한국 청년의 취업, 결혼, 출산의 경로와 소득 집단별 비교

        노법래,양경은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3

        This study starts with a recognition that the precariousness experienced by youth in South Korea is closely linked to the nonfulfillment of life course events. The study tracks the life course of these youth, focusing on major life course events which include employment, marriage, and childbirth. To be more specific,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set from wave 1 to 13 were merged to obtain youth group ranging from age 25 to 39. Empi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life course diverges depending on individuals’ income level. Multistate model was used to verify groups that fulfilled and unfulfilled each life course event. Moreover, the effect of income stability was examined. Study results revealed a strong difference on life course event trajectory based on gender. Moreover, individuals with low income level showed lesser flexibility in terms of choosing their own life course events. Individuals who had none of the life course event experience took 15% of the sampl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raised a strong need to alter some of the basic policy approaches related to Korea’s low birth rate issue. Moreover, the results from the study suggest that much delicate and holistic policy measures are required in terms of those who are isolated from life course events. 본 연구는 한국 청년층이 경험하는 소득 불안정성이 생애사 비이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한국복지패널 1차부터 13차 자료를 결합하여, 25세부터 39세에 이르는 집단을 대상으로 소득수준에 따라 주요 생애사 경험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multistate model을 활용하여 생애사건의 이행 및 비이행 궤적을 유지하는 집단의 규모를 확인하는 동시에, 소득 불안정성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생애사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성별 차이에 따라 청년층의 생애사 이행 경로에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개개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취업, 결혼, 출산이라는 생애를 설계할 유동성이 줄어드는 패턴이 발견되었다. 취업, 결혼, 출산이라는 생애사 경험이 모두 없는 ‘비이행’ 집단 또한 15%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저출산 상황과 관련한 기존 정책이 근본적으로 달라질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더불어, 생애사의 주요 경험에서 유리된 비이행 집단에 대한 총체적인 정책 설계가 필요함을 결론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정책 연구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공저자 구조(co-authorship structure)와 논문 주제어 의미 구조(semantic network)의 40년 간의 변천

        노법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3 사회복지정책 Vol.50 No.4

        본 연구는 약 40년 동안의 국내 사회복지 정책 분야 연구의 흐름을 실증적인 차원에서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정책 분야와 관련하여 가장인지도가 높은 다섯 개의 학술지를 선정하여 게재된 모든 논문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전반을 개괄하는 주요 관측 지점은 연구의 내용적 측면과 더불어 연구 협업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 논문 정보와 저자 정보를 활용하여, 전자를 통해 논문의 주요 내용을 포착하고 후자를 통해 공저자 네트워크를 추출했다. 논문 내용을 포착하기 위해서 빈출어와 핵심어(key words) 를 활용하여 공존 구조에 기반한 의미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고, 공저자 네트워크를 통해 하위 그룹(sub-community)의 존재와 중심성(centrality)이 높은 연구자의분포를 확인하였다. 장기간에 걸친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서 각 분석은 시기 구분을 통해 비교 과정을 거쳤으며, 시기 구분을 위해 논문 생산 트렌드를 기초로 절단점 분석(break point analysis) 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를 통해 논문 생산의 시기별 뚜렷한 변화와 내용적 변화, 그리고 공저자구조에서의 역동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의 양적 팽창과 거대 공저자 네트워크의 형성과 주요 연구자의 연구 주제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국 사회복지정책 연구 흐름의 역사적 의의와 제약점을 통한 추후 발전을 위한 제언을 연구 말미에서 다루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mpirical overview of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olicy over approximately 40 years. The study selected the five most recognized academic journals on social welfare policy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all published papers. The main observational points for summarizing the overall research include the substantive content of the studies and the collaborative structures. This study captured the main contents of the papers and extracted co-authorship networks with the abstract and citation information of articles. This study uses frequent words and keywords to conduct semantic network analysis based on co-occurrence structures. At the same time, the presence of sub-communities and the distribution of researchers with high centrality were determined through co-authorship networks. The analysis underwent a comparative process through period differentiation, and breakpoint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trend of paper production for period segmentation. The analysis revealed apparent period-specific changes in paper production, content changes, and the dynamism within the co-authorship structure. The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policy research trajectory and future developments, addressing the constraints identified through the review of the research themes of key researchers amidst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large co-authorship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