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고층 공동주택 RC 공사의 생산성 및 타워크레인 가동율 분석

        권지훈,허영기,Kwon, Jihun,Huh, Youngki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1

        초고층 건설사업의 골조 공사를 대상으로 철근, 형틀 작업의 생산성을 분석하고 타워 크레인(Tower Crane; TC)의 실질적인 가동률을 조사하였다. 코어부의 형틀작업 생산성은 지하 및 지상·저층부(1~7F) 구간에서는 평균 12.0~8.7(㎡/인·일)로, 기준층 구간(8~75F) 으로 진행될수록 11.9~20.7(㎡/인·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코어와 외주부의 기준층 생산성을 비교해보면 코어 생산성이 약 11%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준층의 코어부위 철근작업 생산성(평균 1.02 ton/인·일) 대비 외주부(기준층 평균 1.12 ton/인·일)의 생산성은 대략 9.6%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TC 세 대의 평균 가동률은 63.49%로 조사되었으며, 비가동일의 원인으로는 우천 6.1%, 강풍 6.1%, 휴무 17.8%, TC 인상작업 5.8%, 기타 고장 및 수리 등이 0.07%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초고층 골조 공사의 공정을 계획하고 관리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oductivity of rebar-work and form-work was analyzed with data collected from an actual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actual utilization rates of three tower cranes were also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productivity of the form-work increased from 12.00~8.71(㎡/man·day) in the underground and above-ground/lower-floor to 11.94~20.73(㎡/man·day) in the standard floor. Comparing the productivity of core area to outer, the former was found to be about 11% higher. Moreover, the rebar-work productivity of the outer area(1.12 ton/man·day) was approximately 9.6% higher than that of the core area for the standard floor. The average utilization rates of three TC were surveyed to be about 63.49%, and it was revealed that rainy weather(6.1%), strong winds(6.1%), holidays(17.8%), TC lifting work(5.8%), and other failures and repairs(0.07%) were the causes of non-operation.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beneficial data in planning and managing the process of high-rise RC construction works in the future.

      • KCI등재

        기술창업기업의 성장 허들 및 외부 투자자금의 영향 : 실험실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권지훈(Jihun Kwon),봉강호(Kang Ho Bong),박재민(Jaem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기술혁신학회지 Vol.23 No.3

        최근 정부에서는 대학•출연(연)이 연구논문 또는 특허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업을 ‘실험실창업’으로 명명하고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실험실창업기업에 대한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이들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창업자가 산업체 경력을 보유한 기업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였으며, 이는 창업자가 실험실창업기업의 사업모델이 지향하는 산업과 필요한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에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과거의 성과는 당해년도 시점의 성과 발생 및 성과의 수준에 공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당해년의 연구개발비 및 투자유치규모의 경우에는 성과의 수준에 대해서만 유의하였다. 특히, 투자유치규모는 역 U자의 관계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즉, 실험실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해 초기단계에는 일정규모의 자금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줌과 동시에 일정한 성장단계 이후에는 추가적인 자금지원만으로 지속성장을 담보할 수 없음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성장단계에 맞추어 단계별로 취약분야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ritical factors that driv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Lab-based start-up companies. First, we found that the founder’s expertise in the industrial field was highly related with the financial performance. It suggests that the deep insight and discerning knowledge as well are the prerequisite for the start-up’s success. Second, while past achieve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t the time of the year, only the level of performance in the case of R&D expenditures and the scale of investment attraction in the year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nvestment attraction was observed to affect the relationship of reverse U-shape, which implies that a certain amount of funding was necessary in the early stages for the growth of Lab-based start-ups, and that additional funding after a certain stage of growth could not guarantee sustainable growth onl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 to consider the bespoke policy mix such as ‘stage-by-stage’ approach for the achievement of the sustainable growth in the start-up market.

      • KCI등재
      • KCI등재

        기술창업기업의 투자유치에 대한 정부지원의 신호효과: 허들모형을 이용한 실증연구

        봉강호 ( Kang Ho Bong ),권지훈 ( Jihun Kwon ),김규태 ( Kyu-tae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4

        초기 단계의 창업기업들의 경우 축적된 실적이 없는 관계로, 기업과 투자자 간에는 항상 정보의 비대칭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자원 확보의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자신들의 기술 및 시장 잠재력을 알릴 수 있는 '신호'를 활용하는 전략이 강조되어 왔다. 정부지원은 공정하고 치열한 경쟁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초기 창업기업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의 역량 및 잠재력을 보증하는 신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허들 모형을 활용하여 정부지원 및 투자유치 간 양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지원규모와 투자유치규모 간 비례적 관계를 가지지만, 기술창업기업이 첫 투자를 유치하는 단계를 넘어서는 데는 일정 규모 이상의 정부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유치여부와 투자유치규모가 결정되는 메커니즘이 상이한 만큼, 신호이론 관점의 연구들이 투자유치과정의 허들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기 단계의 기술창업기업이 첫 투자를 유치하는 단계를 넘어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즉 ‘문지방 효과’ 창출에 특화된 지원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often i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start-ups and the investors, which is because start-up companies in the early stages do not have track records. Meanwhile, since the government grants programs go through a fair and the intense competition process, the government grants can provide a more objective information for start-ups in the early stages and perform a signal function that guarantees a company's capabilities and potential. This study confirms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grants and investment attraction by using the hurdler model. We found that, although there is the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government grants and that of external funds,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government grants is required for technology-based start-ups to exceed the stage of attracting their first external fund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urdles structure in the study of signaling theory perspective, as the mechanism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ttract external funds are different from determining the level of external funds. In addition,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 is needed to help early-stage technology start-ups go beyond the threshold of investment attraction―the creation of a ‘threshold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