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상흑연주철의 내마모성에 미치는 Sb 및 Sn 의 영향에 관한 연구

        권영훈,김창규,김복석,김성한,천병욱,최창옥 ( Young Hoon Kwon,Chang Gyu Kim,Buk Suk Kim,Sung Han Kim,Byung Wook Cheon,Chang Ock Choi ) 한국주조공학회 1991 한국주조공학회지 Vol.11 No.6

        N/A The effect of 0.01∼0.10% Sb and Sn on the wear resistance of ductile cast iron was investigated. The hardness was increased with Sb to 0.10%, but the elongation and the impact value were decreased. The tensile strength was increased with up to 0.05% Sb, however decreased with 0.05%∼0.10% Sb. The hardness and the tensile strength were increased and the elongation was decreased with up to 0.10% Sn. The nodularity of graphite was decreased with above 0.08% Sb however Sn had no effect on that. When 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 was low (42㎏.f/㎟), the weigth loss was decreased with increased hardness and when that was high (54㎏.f/㎟ and 65㎏.f/㎟), the weight loss did not depend upon the hardness. The pearlite stabilization with Sb and Sn increased with the wear resistance of ductile cast iron.

      • KCI등재
      • 한국어 구문 분석기를 이용한 예문기반 유사 영문 선택에 관한 연구

        권영훈(Young-Hoon Kwon),윤영호(Young-Ho Yoon),한광록(Kwang-Rok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본 연구는 예문을 이용하여 한국어 문장과 가장 유사한 영어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기본 연구보다 예문 제시의 정확도를 향상하고 기존의 문제점이었던 문장성분 선택의 불일치성을 제거하기 위해 한국어 구문 분석 시스템을 추가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한국어 구문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는 한 문장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조화시킬 때 서술부가 문장의 의미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역학을 하므로 서술부를 헤더로 선택하고 단순히 조사 정보를 사용하여 각 문장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서술부 연결 관계를 기초로 프레임의 슬롯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 영문이 필요한 한국어 문장이 입력되면 입력 문장에 대한 형태소 분석과 한국어 구문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문장에서 서술부와 연결되는 주요 성분을 분리하여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과 이미지 구축된 예문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가중치와 유사도를 계산함으로써 한국어 문장과 유사한 영어 문장의 예를 제시하여 영작에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 IoT 기술을 활용한 할랄 물류서비스에 관한 연구

        권영훈(Kwon Young hoo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본 논문은 IoT 기술을 활용한 할랄산업 활성화를 위한 할랄 물류서비스 시스템 개발로서, 할랄(HALAL) 제품의 생산-운송-유통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 및 Track & Trace하기 위한 할랄 전용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과 할랄 물류 시스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원자재 생산, 가공, 상품 위치, 온습도 관리, 제품성분 및 상품의 유통기간 및 포장 상태 등을 할랄 태그, IoT 센서 등을 활용하여 할랄/非할랄 제품 격리 (Isolation) 및 교차오염 (Cross-contamination) 방지 기술 개발에 필요한 연구를 하였다

      • KCI등재

        질서정책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개발정책

        권영훈(Young Hoon Kwon) 한독경상학회 1983 經商論叢 Vol.2 No.-

        秩序政策운 經濟體制를 構成하는 經締的, 社會的,·法擧的, 政治的 秩序에 관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제체재를 위한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정책이기 때문에 경제학에서 아직도 일률적인 正義를 내리지 못하고 있는 分野이다. 더구나 전통적인 西歐工業國과 비교하여 形態的인 요소나, 그리고 社會經濟思想的인 배경이 相異한 開發途上國들이 工業化過程을 추진시키는 過渡期에 있어서, 질서정책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은 더욱 델리케이트한 문제이다 그 이유로는 첫째로 질서정책은 국민과 국가가 경제문제에 관하여 지니고 있는 世界觀的인, 哲學的인 요소와, 그리고 이에 간한 法學的인 요소와 體制的인 조직과 구조를 포괄적으로 취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이 년에서 經濟計劃과 이를 위한 經濟開發戰略의 형태, 그리고 企業構造, 價格制度, 貨幣金融 등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로는 西歐 先進工業국가들은 古典的 自由主義, 新自由主義, 그리고 社會的 自由主義 등 市場經濟體制의 발전과정을 뒷받침해온 장구한 역사를 통한 社會經濟思想의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 市場經濟的 秩序政策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을 지니고 있지 못한 開發途上國家들은 경제적, 사회적 발전과 합리성을 短期間에 추구하고 자 질서정책을 확립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第二次 世界大戰이 끝난 후 北의 工業과 南의 農業을 바탕으로 한 相互補完的인 경제구조는 국토의 兩段과 함께 무너지고 말았다. 나아가서 6.25 動亂을 통하여 그나마 존재하던 産業施設마저 파과되고 말았다. 따라서 지난 4차에 걸친 경제 계획은 공업분야에 중점을 둔 非均等 經濟開發戰略에 의하여 추진되어 왔다. 工業化過程은 수출의 多邊化過程을 의미한다. 한국은 市場經濟體制下에서 지난 20년간 非均等 經濟開發戰略을 통하여 후진국에서 중진국 上位國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高度成長과 병행하여 다수의 부작용도 뒤따랐다. 몇가지 예를 들면, 첫째로 공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沈滯한 농업과, 이로인한 離農의 現象,그리고 높은 失業率을 지닌 대도시의 성장이다. 1980년에 完全失業率은 농촌의 1.1%에 비하여 도시는 7.1%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工業商品의 國內購買力增進에 妨害要素가 되며, 종국적으로는 工業化過程을 저해하는 요소로 등장하게 될 수도 있다. 둘째로는, 중소기업의 沒落을 초래하게 되고, 대기업의 건전한 경제활동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뿐 아니라, 결과적으로 전체경제의 능률을 低下시키고 高度成長과 더불어 경제적, 사회적, 물화적 二重構造를 深化시키게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非均等 開發戰略의 否定的 側面을 말해 준다. 비균등 개발전략을 제시한 [히르시만]은 非均等開發을 통하여 야기되는 인플레의 압력과 國際收支의 적자를 持續的 經濟發展의 推進力으로 轉換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공업발전을 통하여 前後方 連鎖效果가 발생하여 전체경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강조하여다. 그러나 開發途上國들은 빈약한 기술과 교육수준, 그리고 특히 오늘날 世界經濟構造와 선진국의 保護貿易主義가 상승하는 世界貿易構造로 말미암아 인플레와 국제수지의 압력을 경제발전의 추진력으로 轉換시키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 波動이후 한국뿐 아니라 빈약한 자원과 기술수준 그리고 높은 人口密度를 지니고 工業化하는 중진국들은 심각한 국면에 처해있다. 開發政策, 또는 工業化政策은 중진국에 있어서 결코 하나의 고립된 정책이 될 수 없다. 工業化政策은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改善過程을 동반하게 된다. 따라서 개발전략은 (1)산업분야에 있어서 생산, 고용, 그리고 생산성의 相互依存關係를 향상시키고 (2) 工業化過程을 통하여 낙후된 경제분야에 대한 前後方 運營效果를 확장시키도록 해야하며 (3) 敎育革新과 中産層形成을 통하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이중구조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추진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정책을 통하여 第五次計劃(1982~1986)이 추진하는 經濟社會開發을 성공적으로 이룩하기 위하여는 전체경제적 정책과 질서정책을 병행시켜 나아가야 한다. 특히 중진국에 있어서 질서정책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중진국단계에 도착한 국가들이 全體經濟的 政策과 秩序政策間에 조화를 이루어 추진시켰을 때 선진국으로 도약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는 과거로부터 이어 받은 價値槪念과 現代化의 葛藤, 또는 急進的 구릅과 保守的 그룹간의 葛藤으로 다시금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惡循環으로 휘말려 들어 가는 것을, 20세기에 와서 인류는 계속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中進國上位圈에 도달한 韓國經濟에 있어서 질서정책의 확립은 선진국으로 향한 도약을 위하여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실기 중심의 반복적 평가가 비 의무 전투병의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권영훈 ( Young Hoon Kwon ),최문종 ( Moon Jong Choi ),김영미 ( Young Mi Kim ),박유선 ( You Seon Park ),임재희 ( Jae Hee Lim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4 군진간호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실기 중심의 심폐소생술 반복적 평가가 비 의무 전투병의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전투병에게 교육용 마네킹을 이용한 1:1 실기 중심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제공하고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직접 자신이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수행능력을 향상시킨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각 각 교육 전 평가 후 실기 중심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동일하게 제공한 다음 교육 직후에 술기 능력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이를 기준으로 실험군은 교육 경과 2주, 6주, 14주 후에 각각 재평가를 실시하고 대조군은 교육 제공 후 14주 경과하여 단 1차례만 재평가를 실시하여 수행능력 향상의 차이를 가. 교육 경험과 술기 능력 연구 대상자들은 모두 현역병으로서 입대 전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경험자 비율은 실험군(82.4%), 대조군(54.4%)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자가 더 많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001). 그러나, 두 집단 간의 사전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수준은 실험군(45.15±15.98점), 대조군(55.43±17.12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실험군보다 상대적으로 교육 경험이 낮은 대조군에서 오히려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고( p=.008), 특히 중재 전에 시행한 심폐소생술 술기 수행 평가(2차, 사전평가) 점수는 실험군(56.39±16.16), 대조군 (65.32±14.39)로 대조군이 더 높은 수준의 수행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점수 결과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던 집단에서 교육을 받지 않았던 집단보다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지식과 수행능력의 점수가 높았다고 한 Choi 와 Kwon(2009)의 연구결과는 차이를 보이지만, 이전 교육 경험 유무가 심폐소생술 실기 수행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한 Koh 와 Kim (20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사전 평가에서 두 집단 간에 동질성이 검증되지 않은 변인이 최종 수행 능력에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사전 인식 여부 , 교육 경험 유무 , 최근 교육 시기와 최종 심폐소생술 술기 점수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이러한 결과는 심폐소생술의 정확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력, 근무경력, 최근 교육시기보다는 최근 교육 회수가 더 중요하다는 Lee 와 Choi (1996) 연구 결과와 연관성이 있다. 나. 실기 중심의 반복평가와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에 대해 최초 이론과 실기를 종합한 교육을 제공하고 사전 평가를 실시한 후 별도의 교육 없이 반복 평가를 통해 술기 수행능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사전평가(2차 평가)는 교육 직후 실시하였으며 실습용 마네킨을 이용하여 1:1 교육담당자와 대상자의 집중적인 연습이 진행된 이후에 평가를 시행하였으므로 술기의 정확성이 크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교육 후 2주 경과하여 3차 평가를 측정한 결과는 55점으로 큰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2차 평가로 인해 몸으로 체득된 수행능력의 교육적 효과가 2주 경과한 시점에서도 크게 변함이 없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육 후 6주 경과하여 실시한 4차 평가에서는 57점, 교육 후 14주 경과한 최종평가(5차 평가)에서는 65.0±17.1 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2.318, p=.027). 이는 실습 위주의 반복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이 비의료인에게 높은 교육효과 더불어 지속적인 효과를 보였다고 한 Oh 와 Kim(2005)의 결과와 일치한다. 반면, 대조군은 군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단발성 이론 중심의 심폐소생술 교육과 같이 사전 평가를 실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별도의 교육이나 평가를 제공하지 않고 14주 경과하여 최종적인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에서도 교육 직 후 시행한 사전 평가에서 교육 전 평가 점수(26점) 보다 크게 향상된 점수(65점)를 보였으나 14주 경과하여 실시한 최종평가에서는 55.1±17.4점을 획득하여 사전평가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t=-2.610, p=.012). 이러한 결과는 교육 효과가 시간이 경과 할수록 저하된다는 Ahn 등(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반복된 재교육이 심폐소생술 술기 수행 능력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한 Oh 와 Han (2008)의 연구 결과와 중령 권영훈 등 일치하며 심폐소생술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기간 내 교육의 빈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며 작은 기술사용이 요구되는 집단에 대한 교육의 횟수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Lee 와Choi(1996)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 모두에게 평가 직전 마네킨을 이용한 자가 연습을 할 수 있도록 5분 이내의 짧은 시간을 허용하였는데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마네킨을 이용한 자가 연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이어진 수행 능력 평가에 자신감을 보였다. 이는 실습용 마네킨을 이용한 기술 훈련이 회를 거듭할수록 의미 있는 발전을 보인다고 한 Koh 와 Kim (2012)의 연구 결과와 연관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교육 초기 반복적인 평가를 제공하는 것은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 향상에 유용하며 기존의 단발성 강의식 교육 방식보다 반복 평가와 평가 전 짧은 시간이라도 마네킨을 이용한 실기연습을 보장하는 것이 심폐소생술 술기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 교육 주기 본 연구에서 실험군을 대상으로 교육 2주, 6주, 14주 경과하여 반복적인 평가를 실시한 것은 Plank 와 Steinke(1989)의 연구에서 교육 제공 후 8주 후부터 기술 부분의 능력이 떨어진다고 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재평가의 간격을 단계별로 연장하여 실시한 것이다. 또한 독일의 심리학자인 H. Ebbinghaus이 학습 후 4주가 경과하면 기억의 80%를 망각하여 교육효과가 저하된다고 한 망각곡선 이론에 의거하여 교육 후 2주 경과하여 3차 평가를, 3차 평가 후 4주 경과하여 즉, 교육 후 6주 후에 4차 평가를, 4차 평가 후 8주 경과하여 즉, 교육 후 14주 경과하여 각 각 반복 평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는 교육 및 사전 평가 후 2주 경과하였을 때에도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에 큰 변화가 없었고 이후 4주, 8주가 각 각 경과하였을 때는 오히려 지속적인 점수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대조군은 사전 평가 후 14주 경과할 때까지 별도의 교육이나 평가를 포함한 자극을 배제한 상태에서 최종 평가를 시행한 결과 평균 점수가 55점으로 유의하게 저하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인간의 기억이 시간의 흐름에 반비례하므로 감소하는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망각곡선의 주기에 따라서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반복(4회 주기)이 중요하다는 H Ebbinghaus의 망각곡선 이론과 관련이 있다. 또한 실기 위주의 교육이라 할지라도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요구된다고 한 Koh 와 Kim(2012)의 연구결과와도 연관성이 있다. 시간이 경과한 후의 술기의 정확성은 지식보다 큰 폭으로 저하되며 심폐소생술의 술기 능력은 교육 8주 후부터 유지효과가 떨어지기 시작해서 3개월 후에는 그 수준이 급감하여 적절하지 않게 떨어졌다고 한 Oh와 Han(2008)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심폐소생술은 기술을 습득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르게 잊어버리거나 변형되어 가기 때문에 재교육의 시기와 방법은 기술을 유지, 증진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고 언급한 Choi, Lee 와 Wang(2009)의 연구결과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Uhm, Jun, Hwang과 Choi(2008)는 성인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 후 6개월 이후에는 교육 효과가 거의 소실되므로 적어도 1년마다 재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고, Lee와 Choi(1996)는 심폐소생술 재교육 시기 간격이 2∼3개월을 경과하지 않게 설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며 초기 교육은 1년에 4회정도 약 3개월 간격으로 시행한다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AHn 등(2009)은 근무부서 및 자격취득 연도와 심폐소생술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으나 숙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숙련도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 회수를 최소 연간 4회 이상으로 늘리고 실기 실습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에게 교육 제공 및 사전 평가 후 14주 경과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을 때 사전 평가에 비하여 점수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 초기 집중적인 반복적 평가를 시행한 실험군에서는 4차 평가와 5차 평가간의 간격이 8주가 경과하였으나 점수의 지속적인 향상을 보였다. 이로써 기존의 단발성 강의식 교육 보다 집중적인 반복적 평가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유지하기에 유용하며 대조군의 경우를 비추어 볼 때 현재 군에서 시행하는 일반적 교육 주기인 최소 분기 단위 보다는 보다 합당한 주기를 재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Purpose :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which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repetitive practice-based assessment on CPR performance of non-medic soldiers. The study intended to seek a CPR education method suitable for military. Methods :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38 participants, went through practice-based assessment with mannequins immediately after, and 2 weeks, 6 weeks, and 14 weeks after education and pre-assessment.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46 participants was given assessment once, 14 weeks after the education and pre-assessmen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20.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Results :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ratio of people who have had CPR education in the past (p=.001)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p<.05). Repetition of intensive assessment resulted in increase of experimental group`s performance score as the group progressed through assessments (p<.01).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core (p<.01). Conclusion : Repetitive practice-based assessment has educational effects on improving participants` performance. Re-education must be provided within at most 14 weeks and should focus on practic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