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준지도학습 기반 LDL-콜레스테롤 예측의 정확도 개선

        수빈 ( Su-bhin Yang ),김민태 ( Min-tae Kim ),권수빈 ( Su-bin Kwon ),우나현 ( Na-hyun Woo ),김학재 ( Hak-jae Kim ),정태경 ( Tai-kyeong Jeong ),이성주 ( Sung-ju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1

        이상지질혈증의 발병에 대한 조기 진단 및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이상지질혈증의 진단은 혈액계측 정보 중에서 네 가지 LDL, HDL, TG, 그리고 TC를 이용하여 진단하며,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해서는 LDL을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나이, 성별, 그리고 BMI와 같은 신체계측 정보를 학습하여 LDL-콜레스테롤을 예측하기 위한 준지도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기반 기계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얕은 학습(Shallow Learning)기반의 MLP(Multi-Layer Perceptron)을 이용하고, 이상지질혈증 진단인자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신체계측 정보로 예측된 HDL, TG, 그리고 TC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기계학습을 이용한 예측방법의 정확도를 개선한다. 즉, 제안방법은 신체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혈액계측 정보의 LDL, HDL, TG, 그리고 TC을 각각 예측하고, 신체계측에 혈액계측의 예측정보를 추가하여 학습한 준지도학습 기반 얕은 네트워크를 설계한다. 실험결과, HDL, TG, 그리고 TC의 혈액예측 정보를 이용한 준지도학습 기반 LDL 예측 정확도는 71.4%로 신체계측 정보만을 이용한 예측 방법의 67.0% 보다 약 4.4%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 KCI등재

        어린이죽음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

        권수빈 ( Kwon Su Bin ),윤솔 ( Yoon So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이 연구는 원인연쇄분석을 활용하여 어린이죽음교육에 관한 부모의 이해를 기술하였다. 부모는 어린이가 성장하며 겪는 모든 삶의 과정에 교육자 역할을 수행하므로 부모의 죽음 이해는 어린이가 죽음을 받아들임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3-9세 자녀를 둔 부모들을 심층 면담하여 질적 자료 수집하였고 자료는 원인연쇄분석과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해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들은 첫째, 죽음은 자연스러운 삶의 과정이므로 죽음교육이 오히려 삶과 죽음을 분리시킨다고 여겼다. 둘째, 부모가 죽음교육에 대하여 알거나 경험한 바가 없었고 이는 부모가 자녀의 죽음교육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해주지 못했다. 이는 부모가 자녀에게 죽음을 설명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설명하기를 주저하고 어려워하는 이유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죽음교육은 가족공동체 내에서 소통과 정서적 유대를 바탕으로 교육해야만 하며, 어린이의 죽음교육을 위해 부모 스스로 죽음을 말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함께 배워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describes parents’ understanding of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by using causal analysis. Parents play the role as an educator for every process of life that childre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death of parents is crucial for children to accept death.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who had children aged between three and nine year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aus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regarded death education as treating death separately from life, as death is a natural process of life. Second, the parents did not know about or have experience of death education, and this meant that they did not hav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death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This was not only the reason the parents did not explain about death to their children but also the reason they were reluctant or difficult to explain about death. Education on death should be based 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bonds, and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talk about death themselves and, determine together a way to understand it for death education among children.

      • KCI등재

        청년세대 연구에 지역이라는 교차로 놓기: ‘지방대학생/지방청년’에 관한 학술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권수빈(Kwon, Su-Bin)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0 문화와 정치 Vol.7 No.4

        이 논문은 지방대학생/지방청년에 관한 학술 담론이 어떤 방식으로 그들을 설명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청년세대 내 이질성에 관한 공론을 피력하거나 청년 삶에 드러나는 다층성을 분석하려는 학술적 작업들이 이미 오래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지역’이라는 교차로를 경유하는 청년들의 경험은 경직된 채 논의되고 있는가를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내부 오리엔탈리즘 관점에서 지역(지방)이 담론적 구성물이자 불평등과 억압의 교차로로 존재한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교차성 이론과 그 함의를 바탕으로, 청년세대 연구의 교차성 관점의 부재를 재확인하고 동시에 교차성이 고려된 연구에서조차 놓칠 수 있는 지식-권력의 재현과 담론화를 비판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럼으로써 지방대생과 지방청년을 연구해 온 관습과 정형화를 지적하고 이질적인 차이들이 각축하며 체현되는 장으로서 청년세대를 새롭게 바라볼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ademic discourse on provincial university students/provincial youth and explores them critically.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why the experiences of young people at the intersection of “region” are overlooked in discussion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for long academic attempts and studies to set out public opinions about intra-generational differences or to analyze the multilayered character revealed in young people’s lives. To this en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orientalism,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fact that region exists as a discursive component and as an intersection of inequality and repression. Moreover, based on the theory of intersectionality and its implications, the absence of the theory of intersectionality in the study of the youth generation was reaffirmed and, at the same time, critically explored the reconstruction and discourse of knowledge-power which can be overlooked even in studies that explicitly considered intersectionality.

      • 창조지역에 반영된 스토리텔링 분석

        권수빈(Su-Bin Kwon),김진희(Jin-He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5

        본 연구는 문화융성시대가 강조하는 ‘창조’를 지역 공동체에서 자생적으로 일궈나가는 실천적 의미로 보고, 각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창조내용가운데 스토리텔링 전략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조지역으로 선정된 대구읍성 상징거리와 정선 아라리촌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스토리텔링의 단계에 따라 분류?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스토리텔링 분석 결과 첫째, 대구읍성 상징거리는 역사적 장소성에 기반하여 대구 도심의 역사와 일상문화가 묻어나는 거리를 재현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정선아라리촌은 스토리텔링에 따른 공간의 재구성으로 정선의 생활문화공간이라는 장소성을 회복했다. 사례에 반영된 스토리텔링은 공간의 장소성을 회복하는데 기여하고, 지역문화에 활기를 주는 문화예술콘텐츠로 자리매김하게 하였다. 또한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주민이 창조인력이 되어 지역콘텐츠를 활용한 새로운 창조자원을 이끌어 나가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창조지역에 반영된 스토리텔링의 공간 구성 전략에 필요한 내용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독립출판물 구성에 관한 분석

        권수빈 ( Kwon Su B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출판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출판물의 형식과 내용 특징을 분석하였다. 국내 독립출판물 20종, 독립출판 관련 문헌 7건, 독립출판 종사자 3명의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형식(장르, 형태)과 내용(주제, 내용)을 분류 분석하여 독립출판물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독립출판물은 에세이와 잡지 장르가 많고 판형, 편집, 제본 등은 표준 규격을 따르지 않고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다. 또한 작은 콘텐츠, 취향과 취미, 사회적 이슈,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일상적 소재를 자율적인 내용 구성과 방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독립출판은 기성출판의 대안 혹은 대항을 넘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자율적으로 만들어내는 주체적인 출판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independent publishing.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n both types and contents of independent publications were analyzed. 20 domestic independent publications, 7 references related to independent publishing, and data on an interview with 3 professionals working in independent publishing industry were collected. Their type(genre and form) and contents(topic and content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publications. A number of independent publications accounted for essay and magazine by genre. Second, they were not following the format standards in book size, editing, and binding, and making various attempts in that regard. In terms of contents, small contents, preferences and hobbies, social issues, and subjects that can form sympathy and bond between readers were expressed in free manners in respect to contents composition and format. In conclusion, the independent publishing is shaping an autonomous publishing culture which liberally produces subjects that they want to express, not as an alternative or resistance against the conventional publishing.

      • KCI등재후보

        공동체의 함께-되기에 관하여

        권수빈(Kwon, Su-bi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3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5 No.-

        이 글은 공동체의 존재론적 탐구를 시도하는 글이다. 구체적으로는 밝은누리 삶의 활동과 실천에 있어 공동체의 대체말로 쓰인 ‘한몸살이’에 관한 질문에 착안해 논의를 전개한다. 이 글은 첫째, 한몸살이로서 공동체를 하나이자 여럿으로 이해하고 그 관계적 운동을 논의한다. 둘째, 복수의 ‘몸들’이자 ‘종들’로서 공동체가 어떻게 함께-되기를 이루어갈 수 있는지 그 관계적 복합에 관해 탐구한다. 셋째, 지속가능한 삶에 관한 존재론적 안무로서 한몸살이의 잠재성, 실천성, 복잡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 본 한몸살이로서 공동체는 관계적인 것으로서 개별 존재들이 서로를 함께 구축하는 공동의 몸들이다. 본 글은 앞으로 서로 엮인 관계적 매듭인 ‘한몸’으로서 어떻게 관계 맺고 공생하며 살아갈 것인가를 사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전망한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ontological exploration of community. Specifically,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issue of “living in one body,” which is another term for community.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mmunity as “one and several” and discusses its relational movement. Second, it examines how “becoming-with” can be achieved to form “species” and “bodies,” as well as the relational complexities involved in doing so. Third, it analyzes the potential, practicality, and complexity of “living” as an ontological choreography about sustainable life. The results revealed that a community is viewed as a common body that is built collectively by individuals through a process of relational movement. Conseque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guide subsequent ontological research on communities based on “how to relate and live together as a relational knot intertwined with each other.”

      • KCI등재후보

        공동체 예술과 불화의 미학

        권수빈(Kwon, Su-bi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1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1 No.-

        이 글은 공동체 예술에 관한 비판적 논의의 읽기 작업을 통해 공동체에 대한 재사유를 시도한다. 사회적 위기의 막다름을 공동체적 대안으로 극복하려는 사회문화적 움직임 가운데 하나인 공동체 예술을 중심으로 ‘공동체, 예술, 사회, 정치’의 문제를 논의했다. 이에 공동체 예술의 전개와 흐름, 비판점에 관한 권미원의 논의를 검토하고, 자크 랑시에르가 천착한 미학의 정치를 경유하여 과연 공동체 예술이 감각적인 것의 나눔을 재편성하는 것으로서 미학이 될 수 있는가를 탐구했다. 공동체 예술에 내포된 예술의 사회적 효용이나 지역 공동체에의 접근 가능성 증대 및 참여의 확장, 민주주의적 실천의 가정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랑시에르의 논의에 기초해 불일치로서의 공동체 예술의 함의를 탐구함으로써, 불화의 무대를 바탕으로 공동체와 예술을 엮어내는 다양한 대안적 시도를 위한 논의 지점의 하나가 되기를 희망한다. This article sought to again discuss community through the reading of critical discussions on community art. It also intended to discuss the issue of “community, art, society, and politics” centered on community art, one of the social and cultural moves to overcome the social crisis as a community alternative. Therefore, Kwon Mi-won"s discussion of the development, flow, and criticism of community art was reviewed. The article also explored whether “community art [can] be an aesthetic that reshapes the sharing of sensual things” through the politics of aesthetics discussed by Jacques Rancière to critically examine the social utility of art embedded in community art, increasing accessibility to local communities and expanding participation in and assumptions about democratic practice. Finally, this article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community art as a discrepancy based on Rancière’s discussion.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an alternative to discussing various attempts to weave art with the community based on “disagreement(mésentente).”

      • KCI등재

        실천 공동체에 함의된 연대 그리고 로컬리티

        권수빈(Kwon, Su-Bi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실천 공동체 활동인 커뮤니티 아트에 함의된 연대와 로컬리티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년 이상 커뮤니티 아트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수원 행궁동 사람들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를 실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4명을 대상으로 면담과 커뮤니티 아트 활동에 대한 참여관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실천 공동체에 함의된 연대와 로컬리티의 의미를 ‘변화’, ‘창발’로 도출하였다. 커뮤니티 아트는 타인과 로컬에 대한 인식을 바뀌게 하며 공동체가 스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지속적으로 실천하며, 이는 끊임없이 영향력을 가지고 공동체 내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커뮤니티 아트는 변화와 창발의 의미를 가진 실천 공동체를 만들고 궁극적으로 로컬 공동체를 회복하거나 더욱 견고하게 하고 있다. 또한 커뮤니티 아트는 사회적인 관계와 비사회적인 관계가 상호작용하는 활동이다. 이를 바탕으로, 로컬 공동체가 가지는 연대는 사회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물과의 상호작용 관계도 내포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커뮤니티 아트는 삶 속에서 내발적인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공동체 문화예술 활동을 전개하는 지속가능한 로컬 공동체의 활동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일상 속에서 다양하게 실천되는 로컬 공동체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locality and solidarity with implications for community art activities in community of pract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Suwon haenggungdong cases that continue to operate for more than five years to community art. Data collection was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Data analysis was using the network analysis. The meaning of solidarity and locality of communities of practice were described as "change" and "emergence". Community art changed the perception of others, and local, and community themselves create new value, and create an action on an ongoing basis. This practic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re constantly going to have an impact within the community on a voluntary basis. Community art was to create a community of practice with a sense of change and emergence can ultimately restore the local community or to be more robust. Community art is a social activity that is related and non-related social interaction. Based on this solidarity with the local community it was also explained that involve interactions between a variety of things and social relationships as well. Community art can be seen in the activities of sustainable local communities to develop community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based on problem consciousness in life. Furthermore local community to be actively discussed within acade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