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trospective Study of Desoxycorticosterone Pivalate (DOCP) in Hypoadrenocorticism Dog

        고예린,서경원,안진옥,채지상,박종우,방동하,채준석,윤화영,황철용 한국임상수의학회 2011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8 No.2

        Hypoadrenocorticism results from the deficient adrenal gland production of glucocorticoids or mineralocorticoids. Fludrocortisone have been used for the management of hypoadrenocorticism in dogs. But desoxycorticosterone pivalate (DOCP) have been administered for management of hypoadrenocorticism in dogs since several years because of the equivalent effect of fludrocortisone, and lessening of owner and patient’s effort. The therapy of DOCP was evaluated in 14 dogs diagnosed with hypoadrenocorticism based on clinical signs, an electrolyte imbalance, and the results of an adrenocorticotropic hormone stimulation test. DOCP was administered at 25-day intervals at an initial dose of 2.2 mg/kg. The dogs were monitored for clinical signs and serum electrolyte,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every 25 days. Fludrocortisone was an effective treatment in dogs overall;however, a change to DOCP was necessary in 7 dogs because of adverse effects or poor responses. Another 7 dogs were treated with DOCP from the first time. A total of 14 dogs were treated with DOCP. Clinical signs and electrolyte imbalance resolved completely in 12 dogs. However, mild clinical signs, such as shivering, remained in 2 dogs, and 4 dogs required regular supplementation with prednisone. Improvements in clinical signs and electrolyte imbalance were significantly better after treatment with DOCP than with fludrocortisone. The results suggest that DOCP may be a better choice than fludrocortisone for the management of hypoadrenocorticism in dogs.

      • KCI등재

        명시적 교수와 비디오 피드백이 결합된 중재가 ADHD 아동의 대화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예린,김소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명시적 교수와 비디오 피드백이 결합된 중재가 ADHD 아동의 대화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ADHD 아동 세 명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단일대상연구를 수행하였다. 중재는 대화기술전략 습득을 위한 명시적 교수와 자기모델링을 위한 비디오 피드백의 두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졌다. 목표행동인 대화참여행동은 청자행동(질문하기, 맞장구치기)과 화자행동(담화표지 제시하기)으로 나누어 행동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모든 실험회기에 대해 비디오 녹화 및 발화록 작성을 한 후 행동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는 대상 아동의 대화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였으며 중재 종료 후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명시적 교수를 통해 제시된 대화기술전략은 기억장치(mnemonic device)로 작용하여 청자와 화자로서의 행동에 대한 지식의 습득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디오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식수준이 증가하며 반성적 사고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목표 행동의 성공률이 향상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재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d intervention which combined explicit instruction and video feedback in the conversational participation behavior of the child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e children with ADHD have difficulties in conversation. Because the children with ADHD have difficulties in conversational turn 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Therefore, the study taught the conversational skills through the explicit instruction and helped the self-awareness of children through the video feedback. Three older students with ADHD, who attend general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 of in the experiment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frequency of behaviors was measured in 2 classifications: listening(asking, making an agreeable response) and speaking(discourse marker). The results show how explicit instruction and video feedback improve conversational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ADHD. Also acquired conversational participation behaviors are revealed to be maintained even 4 weeks after medi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nversational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디자인 경향 연구

        고예린(Ye Lin Ko),김현중(Hyun Joo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기업은 제품의 기능과 혜택을 강조하던 ‘설득형 마케팅(Feature&Benefit)’ 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직접 경험하고 느끼는 ‘체험 마케팅’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체험 마케팅은 소비자를 상황별로 예민하게 반응하는 감성적 존재로 보고 공감각적 접근을 시도한다. 체험 그 자체는 무형에 가깝지만 판매 공간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체험 마케팅이 발달할수록 판매 공간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플래그쉽 스토어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는데 대부분이 제품 디스플레이 방식, 재료, 색채 등 다소 부분적 접근을 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공간 환경을 받아들임에 있어 각각의 요소보다는 요소 상호간 관계성에 따른 자극 패턴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공간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간조직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자의 체험 의지를 자극하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디자인 특징 및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문헌을 통해 판매 공간이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중요한 지점이 됨을 확인한 후 오늘날 소비자의 감각 및 행동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체험을 정리한다. 그리고 앞서 정리된 소비자 체험이 플래 그쉽 스토어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살펴본 후사례 분석을 통해 체험을 강화하는 공간 디자인의 경향을 파악한다. 연구의 결과 공간의 구조적 요소는 오브제화 되어 소비자의 미적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간 내 랜드스케이프를 형성하여 신체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었으며 공간 시퀀스를 형성하여 소비자가 직·간접적으로 공간 환경에 흡수및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간 조직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며 오늘날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디자인 경향을 파악한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의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Companies recently have been emphasizing the value of experiential marketing which allows consumers to directly experience and feel rather than the ‘Feather&Benefit’ marketing strategy. Experimental marketing attempts to interact with consumers through synesthetic ways, considering them as emotional beings with sensitive reaction to every other cases. Experience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by retail store, and the roles of the flagship stores have been emphasized as the experiential marketing evolves. In this current market trend, number of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flagship stores, and most of th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focusing just on certain partial aspects, such as products display, materials, colors, etc. However, it is becoming essential to have integrated approach encompassing the entire space, since people tend more to accept the stimulus patter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elements rather than just each of the elemen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pacing design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flagship stores, stimulating consumers` experience willingness by focusing on the spatial organization. Therefore, I`ll reconfig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experience and consumer sense’ through defining experiences that bring consumer`s sense and behavioral responses, after investigating to correlation of spatial organization and consumer sentiment. Then I`ll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esign that enhance the experience through case analysis, after looking into how consumer experience is fulfilled in the flagship store. As a result of the study, structural elements of the space becomes a object which brings the consumer`s aesthetic response. In addition, enhancing body movements through establishing interior space formed landscape. The flagship store induces the consumer to absorption and immersion,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pace environment by forming a sequence of spaces. This study carries out the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spatial design trends of today`s flagship stores, by taking a in-depth look into how the spatial organization changes in relationship among space, experience and consumers, And there will certainly need a more detailed discussion on ‘how to design’ in near future.

      • KCI등재

        케이팝 감성 표현의 사용 양상에 대한 말뭉치언어학적 연구 - 전문가 리뷰와 사용자 리뷰의 차이를 중심으로 -

        안진산,고예린 한국사전학회 2024 한국사전학 Vol.0 No.43

        이 연구의 목적은 케이팝에 대한 전문가 및 사용자 리뷰에 나타난 감성 표현을 추출하고, 의견 보유자의 전문성에 따른 사용 양상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주제(domain) 내에서도 언어 사용역에 따라 감성사전을 보다 세분화하여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대중음악 평론 매거진과 유튜브 댓글을 수집하여 연구 대상 말뭉치를 구축한 후, PoS-gram을 활용하여 총 1206개 감성 표현을 추출·판별하였다. 두 말뭉치에서 나타난 감성 표현의 빈도를 분석하여 그 빈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고(Mann-Whitney U test, p < .001, effect size 0.475), 상대 빈도의 차이가 2배 초과인 것을 각각 ‘전문가 감성 표현’과 ‘사용자 감성 표현’으로, 2배 이하인 것을 ‘공통 감성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이어 전문가와 사용자의 감성 표현의 1) 어휘 다양도, 2) 의미 특성, 3) 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휘 다양도는 전문가 감성 표현이 사용자 감성 표현에 비해 4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가는 [+주관성]과 [+대상성]을 가지는 감성 표현들을 ‘사전 극성(prior polarity)’을 기반으로 사용하는 반면, 사용자는 [+주관성]과 [+주체성]을 가지는 감성 표현들을 ‘문맥 극성(contextual polarity)’에 기반하여 창조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혔다. 또한 케이팝에 대한 전문가와 사용자의 감성 표현은 모두 [+긍정]이 지배적으로 드러나지만, 극성을 드러내는 어휘 선택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tracts and analyzes Korean sentiment expressions in expert reviews and non-expert(user) reviews of K-pop. With this, we discus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more detailed sentiment lexicon within the same domain, considering the variation in registers. To conduct the study, a total of 1,206 sentiment expression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using PoS-gram by collecting popular music critique magazines and YouTube comments to build an ‘expert critiques corpus’ and a ‘user’s comments corpu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sentiment expressions in the two corpora to confirm that the difference in frequen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Whitney U test, p < .001, effect size 0.475) and classified those with a difference in relative frequency of more than 2 times as ‘expert sentiment expressions’ and ‘user sentiment expressions’ respectively and those with a difference of less than 2 times as ‘common sentiment expressions’.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1) lexical diversity (Standardized Type-Token Ratio, STTR), 2) semantic properties, and 3) polarity between ‘expert sentiment’ and ‘user sentiment expres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xical diversity of ‘expert sentiment expressions’ was more than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user sentiment expressions’, and that experts tend to use sentiment expressions with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based on their ‘prior polarity’, while users tend to use sentiment expressions with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more creatively through their ‘contextual polarity’. In addition, we found that both expert’s and user's sentiment expressions toward K-pop are dominated by [+positive], bu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xical choices that reveal polarity.

      • KCI등재

        사용역에 따른 비윤리적 표현의 분포와 사용 양상 연구 : ‘방송 대화’와 ‘메신저 대화’를 중심으로

        남길임,고예린,송현주 한국사회언어학회 2022 사회언어학 Vol.30 No.3

        This paper analyses various types of unethical expressions and distribution features in both large-scale broadcasting corpus and messenger corpus. The use of these unethical expressions appear to vary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register. As such, annotations for de-identification should be based on a register-specific approach rather than a general on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ethical expression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wearing expressions, hate speech, aggressive expressions, and sexual expressions.' Second,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s that the amount of unethical expressions in messenger is much higher than in broadcasting. Third, the proportion of [+person] expressions is very high in broadcast conversations, while swearing expressions account for more than 90% of the unethical expressions in the messenger corpus. Our study suggests that register variation, contextual information and language categories beyond word unit need to be reconsidered to detect unethical expressions.

      • KCI등재

        차별과 혐오 표현의 식별과 사전 활용의 쟁점 -메신저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송현주,고예린,남길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2 동서인문 Vol.-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대화형 인공지능의 학습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구축 시 윤리적 쟁점이 될 여지가 있는, 차별과 혐오 표현의 식별과 이를 위한 사전 활용의 쟁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약 140만 어절 규모의 메신저 대화에 나타난 차별과 혐오 표현을 전수 검토하여 그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고, 어휘 정보 중심의 사전만을 활용하여 차별과 혐오 표현을 식별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논의한다. 먼저, ‘어떤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편향적, 부정적 태도를 나타내는’ 차별과 혐오 표현은 메신저 대화에서, ‘인종/국가, 성별, 질병/장애, 나이, 계층, 정치/종교, 지역, 외모’로 8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이들 차별과 혐오 표현 식별을 위한 사전 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는데, 미등재어의 문제, 뜻풀이 등 미시구조 부족 등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다. 차별과 혐오 표현의 식별에 기여하는 사전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현재 사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필요하며, 거시구조 차원에서의 표제어 확충, 정교한 뜻풀이와 사용상의 주의 사항 등을 보다 명시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