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 중개인을 통해서 본 이주 인프라의 형성 과정

        고민경(Koh, Minkyung),백일순(Paek, Yils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2

        이주는 송출국에서부터 이주국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이주자의 이동이지만 이 과정은 여러 행위자의 도움과 규제에 의해 매개된다. 이주 인프라는 이와 같은 송출국에서부터 이주국에 이르기까지 이주자의 이동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일컬으며, 다양한 행위자들이 형성하는 하부 차원이 서로 복잡하게 얽히면서 끊임없는 내적 진화를 겪는다. 국내 조선족이 이주 인프라 형성을 뉴스기사의 분석을 통해 밝혀낸 본 연구는 조선족의 이주를 돕는 중개인의 이주 중개 방법과 이들의 유형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특히, 국내 이주 역사가 긴 조선족의 이주 중개인은 이주 뿐 아니라 장기체류와 안정적인 정착까지 가능하게 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국내 연구에서 특정 부문에서만 주목을 받던 이주 중개인의 역할을 넓히고 국내 이주의 역동적인 구성을 포착하고자 시도했다는 의의가 있다. Migration is the movement of people from the sending country to the receiving country, but this process is mediated by the support and regulation of various actors. Migration infrastructure is a system that produces the movement of migrants from the sending country to the receiving country, which experiences perpetual involution by entwined sub-dimensions with various actors. By analyzing the news articles on the activities of intermediaries, this study points out the ways of intermediation of intermediaries to help Korean-Chinese migrants and their types have been continuously changed. In particular, the intermediaries contribute to not only producing movements but also enabling long-term stay and stable settl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role of migration intermediaries, who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domestic research, and attempts to capture the dynamic constitution of migrat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방안 고찰

        고민경(Koh Min kyoung),권건일(Kwon Kun 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필요성과 유아교육과 보육의 논의점에 따른 통합을 위한 과제와 그에 따른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의 현황과 변천과정, 유아교육과 보육에 있어 OECD 국가의 동향, 스웨덴의 단일 부처의 통합사례와 일본의 인정어린이원의 통합 사례, 싱가포르의 교사양성제도의 통합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동안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화 논의 과정에서 제기된 통합구축모형방안과 그 선결과제로 제기된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서비스 기능 조정과 통합, 교사양성 및 자격제도의 통합, 관리감독 및 재정지체계의 통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은 유아교육과 보육시설의 목적과 기능상의 문제,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의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 유아교육과 보육의 재정지원체계의 비형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과제로 통합을 위한 법률, 행정, 교사자격, 교육조건, 교육과정 통합 분과를 제시하였다. 시대적 요청인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이 진정 유아를 위한 통합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nd discuss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asks and methods for the integration. First, we studied the current state and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Korea, the tre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OECD countries, the cases of integration in Sweden and Injeong Childcare Center in Japan, and the case of teacher education system integration in Singapore.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the plan of integrated structure model propos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nd suggested preconditions such as the adjustment and integration of service functions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facilities, the integra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s, and the integration of supervisory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In conclusions,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can solve problems in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facilities, inefficiency resulting from the redundancy betwee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the Infant Care Act, inequality in financial support systems f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etc. Thus, we suggested areas to be integrated including law, administration, teacher qualific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It is earnestly hoped that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required today is genuinely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IRB 연구윤리 심의의 한계 : 연구자-연구대상자의 관계와 연구대상자 보호에 대하여

        고민경(Minkyung Koh)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2

        본 연구는 IRB의 규정과 제도가 초래하는 문제점을 여성주의 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재의 IRB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여성주의 연구의 관점은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가 역동적인 권력 관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연구대상자의 보호 역시 심의 절차와규정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어 분석에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IRB의 연구윤리가 실제로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연구조력자 역시 연구대상자를 보호하려 하지만 보호의 범위, 방향 및 방법 역시 이들의 입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통해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권력 관계를 바꿀 수 있다. 셋째, 연구대상자와의거리를 좁힘과 동시에 이들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연구대상자를 기만할 수 있다. 연구자와 피연구자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를 경험하고, 현장에서 느끼는 연구자의 양가적인 감정과 자기성찰을 통해 연구자의 위치성을 끊임없이 재확인하는 여성주의 질적연구에 기초한 이 연구는, 현재의 연구윤리가 갖는 한계와 동시에 질적연구를 위한 연구윤리가개발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IRB system by analyzing IRB regu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research. Feminist research is useful for the analysis since it provides dynamic power relations between researcher and research subject, and also suggests that various methods should be sought instead of relying on IRB research eth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research ethics by IRB to protect research participants may not be true; research gatekeepers also try to protect research subject, but they also may harm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research subjects can be deceived by researcher who want to obtain more information from them. Based on feminist qualitative research, this paper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ethics by IRB and geography research communitie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research ethics for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developed more realistically.

      • KCI등재후보

        유아의 숲 체험에서 나타난 ‘관계’의 현상학적 접근

        고민경(Koh, Min Gyeong)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근원적인 세계인 '숲'에서 자유로운 체험을 통해 드러나는 경험의 의미를 현상학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유아'라는 존재적 본질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신도시에 있는 J유치원 지역 내 숲에서 종일반 유아 7명을 대상으로 밀착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관계의 숲으로 간 유아들’ 이라는 주제를 통한 경험의 의미는 '긴장과 갈등', '연대감과 협력'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숲'이라는 체험의 만남의 공간에서 각자의 놀이 욕구와 놀이 장소 이동문제로 서로 의견이 엇갈리는 긴장과 갈등의 경험을 통해 타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 긍정적인 유대관계를 필요로 하는 차이를 가지고 있는 존재라는 점과 또한 숲의 지형적 특색 및 '파이팅 나무'를 통해 서로 협력하고 하나가 되는 개방적인 자아를 형성하며 발전해 나가는 관계 맺기에 유능한 존재임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의 존재는 관계성에 있으며, 타인과의 상호 공존하는 존재로서 함께 속해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purposed to understand the ontological nature of 'preschool children' by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 revealed through free lived experiences in 'forest,' a fundamental world of preschool children’s life. For this, we selected 7 preschool children in the full day class of J Kindergarten at a new town in Gyeonggi do, and collected data through a total of 40 times of close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 children. From the meanings of life experiences revealed through the children’s forest lived experiences were derived four fundamental themes, which were 'children who went to the forest of relationship.' In life experiences revealed through the preschool children's forest lived experiences on the theme of 'children who went to the forest of relation,' the children experienced cooperation in which they establish relations with one another and become one through meeting, and conflicts among their desires for plays and their opinions on the place of play. These experiences showed that preschool children are beings of relation who are interdependent with others and belong to one another.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청소년의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프로파일

        고민경(Minkyung Koh),노은아(Eun-Ah Noh),김효원(Hyo-Won Kim)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5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6 No.3

        Objectives: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profiles and specific abilities related to attention problem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K-WISC-IV) and Advanced Test of Attention (ATA) were administered to 91 children and adolescents (age 8.5±2.6 years, 73 boys) with ADHD. Pearson correlation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Results:The means of Working Memory Index (WMI) and Processing Speed Index (PSI) showed a score of low average in K-WISC-IV. WMI scores for the K-WISC-IV showed clin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mission errors, commission errors, and response time variability on auditory ATA. PSI score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sponse time and variability on visual ATA. In addition, significantly lower digit span backward scores were observed in hyperactive-impulsive/combined subtypes compared to inattentive subtype (t=3.60, p<.001). Conclusion: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WMI and PSI which were clinically correlated with ATA scores, and hyperactive-impulsive/combined subtypes showed poorer working memory functions in WMI. Follow-up studies are proposed.

      • KCI등재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에 따른 도시 경험: 정동적 플랫폼 도시론(affective platform urbanism)을 위한 시론적 연구

        고민경 ( Minkyung Koh )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experience of shared platform business is intertwined with everyday life, noting that the personal mobility market is growing through platform business. The study investigates various changes and practices of individuals who experience shared personal mobility with the concept of affect. Affect is the body’s sensations, behaviors, and cognitive responses as well as its capacity to react and change. It is useful to analyze how shared personal mobility users experience changes and transitions after the encounter with e-scooter. The result shows that the ways of affecting individual’s body with shared personal mobility cannot be generalized. Rather, it is modula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mbodied individuals and environment. In doing so, this paper reveals that users are changing their orientation toward existing personal mobility through repeated us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Through a micropolitical view of the body as a constantly changing capacity, this paper revisits the process of changing ability over time. It contributes on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power relations between technology, device, and body, and multiple subjectivities that emerge through ongoing immersion in shared personal mobility.

      • KCI등재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 수준의 변화

        서혜성(Seo, Hye Sung),고민경(Koh, Min Gy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양적·질적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G어린이집 만 3, 4세, 5세 교사 6명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 및 실험집단 교사들의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은 교수 수행을 분석하지 않고 기술적인 방식으로 사건을 평범하게 묘사하는 2수준과, 자신의 교수행위에 대한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교수자의 관점에서만 평가하는 3수준으로 집단 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 비교집단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수준은 3, 4수준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실험집단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수준은 복합적인 관점으로 자신의 교수적/비교수적 사건을 평가하고 학습의 특수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며 더 나은 수행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7수준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 변화 결과, 만 3세 교사는 초기 2수준, 중기 이후에는 4수준 로, 만 4세 교사는 초기 4수준, 중기에는 6수준, 말기에는 7수준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5세 교사는 초기 3수준에서 6, 7수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아무리 낮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를 가졌다 하더라도 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는 반성적 사고수준을 향상시키며 그로 인해 교수방법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 of reflective thinking level appearing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of nurturing teacher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e subjects are 6 teachers in charge of 3, 4, and 5 year old children at G child care center in the capital area,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flective thinking levels appearing in the pre-test for teachers i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level 2 in which teachers normally describe issues in an technical way without analyzing teaching performance and level 3 in which teachers evaluate students in teachers’ view without taking account in learners’ position onto teachers’ own teaching behavior, gi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in the post-test, teacher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3 and 4 levels in reflective thinking, explaining no big difference, but the reflective thinking level of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mproved level up to level 7 with complex viewpoints in which level teachers evaluate their own teaching/non-teaching issues, consider special situations and contexts of learning, and present alternatives for better performance. Secondly, in the results from change of reflective thinking level appearing in journal writing, it was shown that there was improvement of up to level 2 at the beginning stage and up to level 4 at the intermediate stage for teachers of 3 year old children, and improvement of up to level 4 at the beginning stage, up to level 6 at the intermediate stage, and up to level 7 at the last stage for teachers of 4 year old children. Especially, for teachers of 5 year old children, it was shown that there was most improvement of up to level 6 and 7 from level 3 at the beginning stage. Accordingly, even however low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might have,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creased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which eventually lead to change of teaching methods.

      • KCI등재

        교육이주 모빌리티로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장소성

        강다희(Dahui Kang),고민경(Minkyung Koh) 한국공간환경학회 2021 공간과 사회 Vol.31 No.4

        제주영어교육도시는 해외유학 및 어학연수의 대안적 공간으로서 제주로의 교육이주를 끌어들이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이주 모빌리티로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장소성을 분석하고 사회공간적 함의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교육이주 모빌리티에 의해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는 기존의 제주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별적인 모습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이주 모빌리티는 어떻게 제주에 뿌리내려 정착의 토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제주영어교육도시는 이주자들에게 어떤 장소로 인식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육이주자들은 이질적 무대를 만들어 일시적 뿌리내림과 관계맺기를 실천하며 통로적 장소감을 갖고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주영어교육도시는 교육이주 모빌리티에 의해 이질성, 일시성 및 통로성의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Jeju Global Education City(JGEC) attracts educational migration to Jeju as an alternative space for overseas study and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laceness of JGEC formed by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and discusses the social and spatial implications. To this end, we investigate differential features and landscapes of JGEC compared to the existing Jeju. In addition, we examine how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is embedded to JGEC by doing so, how JGEC is perceived as a place by migrants. We found that educational migrants produced a heterogeneous site, practiced temporary embeddednes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actors in JGEC, and lived with a sense of place as a passage to other spaces. As a result, JGEC constructs heterogeneity, temporality, and passageness of placeness through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