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구성체로서의 학군

        백일순(Yilsoon Paek),김주락(Jurak Kim),이승원(Seoungwon Lee) 한국공간환경학회 2023 공간과 사회 Vol.33 No.2

        본 연구는 서울 노원구 중계동 은행사거리를 사례로 하여 한국의 학군 형성의 역사와 그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학군이라는 개념의 시작은 1968년 중학교 무시험 전형에서 비롯되며, 초기 학군 설정은 중학교 입시 폐해 해소와 인구 분산에 있었다. 70년대 서울시의 강남 이전 계획은 명문 학교를 집중시켜 학군의 의미를 중산층 주거지의 주요 요인으로 변화시켰다. 이때부터 학군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인자가 되었으며, 학군병, 학군 프리미엄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냈다. 매년 바뀌는 입시제도와 교육환경의 변화에따라, 학군의 영향력은 과거보다 감소하였으나 상징적·은유적인 차원에서 학군의 의미는여전히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다. 사례 지역의 경우, 1990년대 초반에서 중반 사이 건설된중계2지구 택지개발사업을 통해 소득수준이 유사한 집단이 중계동 은행사거리 주변 아파트 단지로 이주했다. 또한 은행사거리는 제한된 상업지구의 발달로 사교육 시장이 밀집하여 성장하였고, 노원구청의 적극적인 지원에 따라 ‘강북의 대치동’으로 불리며 명문 학군의이미지를 획득하였다. 도시 구성체로서 학군은 단순히 교육기관의 집중을 의미하는 것이아니라 입시제도의 역사적 변천과 도시 개발 계획으로 인한 인구학적 변화, 교육을 통한 계급 유지에 대한 욕망 등이 뒤엉켜 나타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y and meaning of school district formation in Korea based on the case of Eunhaeng crossroads in Junggye-dong, Nowon-gu. The beginning of the concept of a school district comes from the 1968 middle school non-examination, and the initial school district setting was in eliminating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and dispersing the population. In the 1970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lan to relocate Gangnam concentrated prestigious schools, transforming the meaning of school districts into a major factor in middle-class housing; from then on, school districts became a key factor influencing real estate prices, coining the words school district sickness and school district premium. As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every year, the influence of the school district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but the symbolic and metaphorical meaning of the school district still works effectively. As an example, the Junggye-dong Bank Intersection originat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Junggye 2 district housing site in 1993, and caused the movement of groups with similar income levels.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a limited commercial district called the Bank Crossroad,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has grown densely and has been developed into a prestigious school district called Daechi-dong of Gangbuk with the active support of Nowon-gu Office. As an urban construct, the school district does not simply mean the concentr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demographic changes caused by urban development plans.

      • KCI등재

        개성공단 연구의 동향과 포스트영토주의 관점의 접목 가능성

        백일순(Paek, Yils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1

        This article aims to clear up the discussions at G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o explore new research topics for the possibility of resuming and expanding inter- Korean economic cooperation, when the evalua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led the peace econom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ecurity tension relief in Northeast Asia, is getting worse. Studies at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which began in the 2000s, have been linked with political contexts and global situations such as U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stead of a dichotomous approach, more emphasis needs to be placed on the research of post-territorial aspects centered on the porous nature of space in order to fill the gap between the economic and political themes of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본 논문은 동북아시아의 안보 긴장 완화와 한반도 평화경제를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남북협력 사업들의 평가가 날로 악화되고 있는 시점에, 첫 협력 사업이었던 개성공단의 논의들을 정리하고 협력의 재개, 확대 가능성을 위해 새로이 시도되어야 할 연구 주제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0년대부터 시작되어 온 개성공단의 연구들은 정치적인 맥락과 연동되어 주제의 변동이 이루어졌고, 경제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이라는 두 축의 연구 흐름이 강하게 이어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분화된 연구 경향 속에서, 개성공단의 경제, 정치적 주제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서는 개성공단이 지닌 다공성을 중심으로 포스트영토주의적 측면의 연구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사례를 통해 바라본 초국적 이주와 공간: 최병두의 이주 연구

        백일순(Paek, Yilsoon),고민경(Koh, Minkyu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4

        이 연구는 최병두의 이주 관련 연구를 정리해 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해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주 연구를 시작한 2000년대 초반에는 주로 지구, 지방화 시대의 공간으로서 ‘다문화 공간’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주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천착하여 다문화 공간이 다양한 행위자와 그들이 만들어내는 연결망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들을 시도했고 최근에 이르러 근원적인 존재로서의 이방인에 대해 조건 없이 환대해야 한다는 환대의 지리학을 논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특징을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을 대상으로 하여 재해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현실에서 불가능한 환대가 재구성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지구·지방적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토대 공간의 가능성을 해석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ummarizes Byungdoo Choi’s immigration research to examine his the-oretical features and applies his implication to a case study. Since the early 2000s, he has studied immigr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space’ as the space of glocalization. Next, deploying on the actor-network theory, he has analyzed how multicultural spaces are constantly re/constructed by various actors and their networks. Finally, he suggested the geography of hospitality 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glocal citizens who provide hospitality for human beings. Inspired by his works, this study attempts to reinterpret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homes as a multicultural space. By doing so, this study explores home as a potential space of hospitality where it is not possible in reality, in turn, suggests home as a basic space where the glocal citizenship can be cultivated.

      • KCI우수등재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으로 본 개성공단: 새로운 모빌리티스 시스템으로서 개성공업지구 통근버스가 만들어 낸 사회-공간

        백일순(Yilsoon Paek),정현주(Hyunjoo Jung),홍승표(Seung-pyo Hong)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5

        본 논문은 개성공업지구와 개성시를 포함하여 공단 주변 일대에 운영되었던 ‘통근버스’가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으로서 작동하면서 새로운 사회-공간을 생산하는 네트워크 자본으로 전환되는 사례를 탐색한다. 개성공업지구 통근버스는 북한 근로자의 생활권과 통근권을 확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단 근로자와 개성 일대 북한 주민들에게 새로운 삶의 리듬과 자본, 권력관계를 제공하였다. 그간 지경-지정학적 관점에서 안보-영토 담론 등 국가주의 관점에서 하나의 단일한 예외공간으로 간주되어 온 개성공업지구는 실상 무수한 행위자들의 이동과 협상 등으로 작동하는 복합적 혼종공간이었다. 마치 국가 경계처럼 간주되었던 개성공업지구의 실질적 경계는 사람과 사물의 모빌리티에 의해 다공질적이고 가변적으로 구성되었는데, 그것은 공단의 울타리 너머 개성시와 인근 지역을 아우르는 인적, 물적 네트워크에 의해 작동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성한 가장 결정적인 기제는 통근버스라는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이었다. 본 논문은 이론적인 틀로서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고정된 결과물이 아닌 우연적이며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경로를 따라 창발적으로 진화해 간 개성공단 이야기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모빌리티 이론은 국가중심적 담론에서 다루기 어려운 북한 사회의 사회문화적 미시적 변화상을 포착하는 데에 통찰을 줄 뿐 아니라 통근버스 모빌리티라는 남북 공조 시스템이 유연하고 능동적인 사회경제적 공간을 만들어 낸 과정을 고찰하는 데에 유용성을 준다. 이를 통해 개성공단의 실질적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commuter buses in Kaesung Industrial District (KID) as a new mobility system produced new social space in and around Kaesung and transformed themselves into ‘network capitals’. The commuter buses not only expanded the living sphere and commuting areas of North Korean labors in KID, but also provided new living rhythm, capitals and power relations to the labors and the local residents. KID has been regarded as a unified and fixed space of exception in state-centered discourses of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It is, however, a complex hybrid space composed of numerous mobilities and negotiations among various actants. Its ‘real’ boundaries, while they tend to be assumed as if national ones between the two Koreas, were never fixed or unified but porous and fuzzy. They were operated through human and material networks that spanned over the physical boundaries of KID and nearby areas. The critical apparatus that drove networking was the new mobility system of commuter buses. Drawing on the discourses of the new mobilities paradigm, the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story of KID that evolved through accidental combinations of contexual processes, and, thereby, emerging, autopoietic and path-dependent ways. The theories of new mobilities shed light on micro socio-cultural processes in North Korean society hardly dealt with by state-centered approaches. They are also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producing flexible and dynamic socio-economic spaces through the commuter bus mobility, the cooperative system of two Koreas. In so doing, the paper illuminates ‘real’ effects of KID from multiple aspects.

      • KCI등재

        왜 미군 위안부는 잊혀져야 했는가? – 기지촌의 로컬리티와 기억의 정치

        백일순(Paek Yils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5

        미군 위안부에 대한 기억에 있어 사회적인 합의가 부재한 가운데, 본 연구는 미군기지촌이 가장 성행했던 파주 용주골을 사례로 기지촌이 가진 공간적 특성과 로컬리티가 미군 위안부에 대한 기억을 정형화하고 의도적으로 삭제하는 것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파주 용주골이라는 공간 속에서, 미군과 그를 둘러싼 관련 행위자들은 미군 위안부들을 공간적으로 억압하는 방식을 통해 착취와 폭력을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상의 공간에서도 미군 위안부를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한 전략을 취하였다. 이러한 공간적 배경으로 인하여 기지촌의 로컬리티는 기억의 정치가 시도되기 쉽지 않은 구조로 고착화되었고 미군 위안부 역시 여전히 잊혀진 존재로 남겨져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the US troop camptown have influenced the formalization and intentional deletion of the memories of the US military comfort women, as the case of the Paju Yongjugol. The U.S. military and the related actors around comfort women not only performed exploitation and violence through the spatial limitation, but also took a strategy to monitor and control the comfort women in everyday space. The locality of camptown has been fixed into a structure that is not easy to remember, the comfort women of the US military are still forgotten. In order for the politics of memory-recognition-representation to be realized, it is important to forget the unnecessary feelings given to US military comfort women and to accurately recall their lives.

      • KCI등재

        돌봄의 위기와 대안으로서의 커먼즈 : 협동조합형 아파트 공동체 위스테이 별내를 사례로

        박윤혜(Yoonhye Park),백일순(Yilsoon Paek) 한국공간환경학회 2021 공간과 사회 Vol.31 No.1

        코로나 19 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돌봄의 문제가 개인의 영역이 아닌 사회와 공동체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사회적 재생산은 생산의 하위 영역으로 간주되거나 젠더적인 문제로 국한되어 다루어져 왔으나, 공동체적인 차원에서 구성원 모두가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비아 페더리치가 제안하는 커먼즈에 대한 생각의 전환과 아래로부터의 권력 형성이라는 관점으로 별내 위스테이 사례를 분석하였다. 별내 위스테이는 국내 최초로 도입된 협동조합형 아파트 공동체로, 공동체 문화가 부재한 기존의 아파트와는 달리, 주민 주도의 참여와 자발적 문제 해결 방식을 통해 사회적 재생산의 문제를 극복하고 있다. In the midst of Covid-19 crisis, caring has emerged as a rising agenda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not only an private issue but also social and communal. Although social reproduction has been regarded as a subdomain of production or gender problem, a shift in perception is now being encouraged so that it can viewed as an equally important matter to all community members. In this research, the case study of ‘WeStay Byeollae’ has been conducted based on Federici’s view that suggests transformation of thinking and grassroots democracy for Commons . WeStay Byeollae, the first housing co-op apartment complex in South Korea, is run by the resident members of the housing cooperative. Unlike other apartments in South Korea, these residents have built a creative culture of reproduction through participation and alliance, self-management, and collective decision-making, allowing the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ocial reproduction.

      • KCI우수등재

        미군 기지촌, 용주골의 역사적 변화: 사회경제적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강수영(Suyoung Kang),백일순(Yilsoon Paek),이승욱(Seung-Ook Lee)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2

        미군 기지촌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달러 경제를 중심으로 한 국가의 성장동력이자 주요한 생활공간으로 기능했으나, 사회적, 학술적으로 덧씌워진 이미지에 가려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국내 최대의 기지촌이었던 파주 용주골의 역사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기지촌의 형성과 그 의미를 지역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전쟁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기까지 용주골의 변화상을 ‘전성기의 기지촌(1950-70년대)’, ‘쇠락하는 기지촌(1980-90년대)’, ‘재생을 시도하는 기지촌(2000년대 이후)’ 등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서술했다. 용주골은 농업 중심의 집성촌에서 전후 미군기지에 의존하는 성매매 중심의 상업공간으로 변모했으나, 1970년대 초반 미군기지의 이전과 함께 지속적인 쇠퇴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용주골의 반세기 역사는 기지촌의 형성이 상대적으로 고립된 접경지대에 서비스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사회경제적 공간구조를 고착화하는 과정이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공간구조에 주목하여 파주 용주골의 역사에 대한 포괄적인 조망을 제공하는 한편, 현재진행형의 기지촌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지촌의 마을 공간에 주목해 지역의 경험과 맥락을 드러낼 필요성을 제기한다. While US camptowns served as not only a growth engine for national economy through earning dollars from the Korean War to the 1970s but also a major living space for a variety of people, they have not received due attention owing to its social and academic stereotyp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orm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camptowns in local context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of Yongjugol, Paju, once the largest camptown in Korea. It examines the changes of Yongjugol since the Korean War through three different stage: ‘Golden days of the camptown(1950s-1970s),’ ‘Deteriorating camptown (1980s-1990s),’ and ‘Regeneration of Camptown (since 2000s).’ After the war, Yongjugol was shifted from an agriculture-based clan village into a sex trafficking-oriented commercial space to depend upon the US camptown. However, it has suffered from continuous deterioration since the early 1970s when the US military base was relocated. This demonstrates that a half-century history of Yongjugol is the solidification of socio-economic spatial structure to completely rely on service industry at the relatively isolated border region. This research offers a comprehensive look at history of Yongjugol via its socio-economic spatial structureand focuses on village space highlighting local experience and context, which helps us better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camptowns.

      • KCI등재

        이주 중개인을 통해서 본 이주 인프라의 형성 과정

        고민경(Koh, Minkyung),백일순(Paek, Yils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2

        이주는 송출국에서부터 이주국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이주자의 이동이지만 이 과정은 여러 행위자의 도움과 규제에 의해 매개된다. 이주 인프라는 이와 같은 송출국에서부터 이주국에 이르기까지 이주자의 이동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일컬으며, 다양한 행위자들이 형성하는 하부 차원이 서로 복잡하게 얽히면서 끊임없는 내적 진화를 겪는다. 국내 조선족이 이주 인프라 형성을 뉴스기사의 분석을 통해 밝혀낸 본 연구는 조선족의 이주를 돕는 중개인의 이주 중개 방법과 이들의 유형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특히, 국내 이주 역사가 긴 조선족의 이주 중개인은 이주 뿐 아니라 장기체류와 안정적인 정착까지 가능하게 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국내 연구에서 특정 부문에서만 주목을 받던 이주 중개인의 역할을 넓히고 국내 이주의 역동적인 구성을 포착하고자 시도했다는 의의가 있다. Migration is the movement of people from the sending country to the receiving country, but this process is mediated by the support and regulation of various actors. Migration infrastructure is a system that produces the movement of migrants from the sending country to the receiving country, which experiences perpetual involution by entwined sub-dimensions with various actors. By analyzing the news articles on the activities of intermediaries, this study points out the ways of intermediation of intermediaries to help Korean-Chinese migrants and their types have been continuously changed. In particular, the intermediaries contribute to not only producing movements but also enabling long-term stay and stable settl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role of migration intermediaries, who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domestic research, and attempts to capture the dynamic constitution of migr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