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리콘 나노와이어 MOSFET의 고주파 모델링

        인만(In Man Kang)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7 No.9

        본 논문에서는 30 ㎚ 채널 길이와 5 ㎚의 채널 반지름을 갖는 실리콘 기반의 나노와이어 MOSFET의 고주파 모델링을 다루고 있다. 3차원 소자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실리콘 나노와이어 MOSFET의 Y-parameter와 Z-parameter를 100 ㎓까지 확보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모델 파라미터에 필요한 수식을 구하였다. 모델과 파라미터 추출 수식을 이용하여 회로 검증용 tool인 HSPICE에 의하여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quasi-static 기반의 고주파 모델이 100 ㎓의 높은 주파수까지도 소자의 특성을 정확히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모델 검증은 MOSFET의 포화 영역 (V<SUB>gs</SUB> = V<SUB>ds</SUB> = 1 V)과 선형 영역 (V<SUB>gs</SUB> = 1 V, V<SUB>ds</SUB> = 0.5 V)의 바이어스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두 바이어스 조건에서의 Y-parameter에 대한 모델의 오차는 약 1 %로 매우 작은 값을 보여 준다. This paper presents the RF modeling for silicon nanowire MOSFET with 30 ㎚ channel length and 5 ㎚ channel radius. Equations for analytical parameter extraction are derived by analysis of Y-parameter. Accuracies of the new model and extracted parameters have been verified by 3-dimensional device simulation data up to 100 ㎓. The model verifications are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saturation region (V<SUB>gs</SUB> = V<SUB>ds</SUB> = 1 V) and linear region (V<SUB>gs</SUB> = 1 V, V<SUB>ds</SUB> = 0.5 V). The RMS modeling error of Y-parameters was calculated to be 1 %.

      •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Primary key 기반 T-Cache 설계 및 구현

        형만 ( Hyung-man Kang ),이언배 ( Un-bae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인터넷 및 스마트폰 등 모바일 시장의 급성장으로 다양한 채널이 발달하여 금융거래가 급속하게 증가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이 부족하고 또한, 급변하는 금융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지 않기 위하여 국내의 금융권 시스템들은 차세대를 진행하면서 경쟁적으로 프레임웍을 도입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거나 또는 진행하고 있다. 프레임웍은 요청한 거래를 검증하고, 처리하여 결과를 반환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동일 테이블 데이터를 매 거래마다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부하가 증가하고 거래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웍 기반의 매 거래마다 동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질의함으로써 발생하는 거래처리 지연을 극복하고 보다 빠른 응답 처리를 위하여 1) 대부분 조회를 처리하는 테이블에 대해서 테이블 단위로 Primary key을 이용하여 공유메모리에 저장하고, 많은 응용프로그램 간에 공유하는 방식으로 거래를 처리함으로써 디스크 I/O나 네트워크 I/O, DBMS 자체 프로세싱을 크게 감소하여 전제적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2) 공유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간의 동기화를 지원하는 Primary key 기반 T-Cache(Table Cache)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고주파 파라미터 추출과 분석

        인만(In Man Kang) 大韓電子工學會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9 No.4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에서 동작하는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TFET)의 소신호 파라미터 추출과 이에 대한 분석을 다루고 있다. 시뮬레이션으로 구현된 TFET의 채널 길이는 50 nm에서 100 ㎚ 사이에서 변화되었다. Conventional planar MOSFET 기반의 quasi-static 모델을 이용하여 TFET의 파라미터 추출이 이루어졌으며 다른 채널 길이를 갖는 TFET에 대한 소신호 파라미터의 값을 게이트 바이어스 변화에 따라서 추출하였다. 추출 결과로부터 effective gate resistance와 transconductance, source-drain conductance, gate capacitance 등 주요 파라미터의 채널 길이 변화에 따른 경향성이 conventional MOSFET과 상당히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fT는 MOSFET과 달리 게이트 길이 역수의 값에 정확히 반비례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TFET의 고주파 특성 향상을 transconductance의 개선이 아닌 gate capacitance의 감소에 의하여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extraction and analysis of small-signal parameters of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s (TFETs) by using TCAD device simulation. The channel lengths (LG) of the simulated devices varies from 50 ㎚ to 100 ㎚. The parameter extraction for TFETs have been performed by quasi-static small-signal model of conventional MOSFETs. The small-signal parameters of TFETs with different channel length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gate bias voltage. The LG-dependency of the effective gate resistance, transconductance, source-drain conductance, and gate capacitance are different with those of conventional MOSFET. The fT of TFETs is inverely proportional not to LG 2 but to LG.

      • KCI등재

        국내기업 적용을 위한 학습민첩성의 개념정의와 구성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금만(Kang, Kum-man),김민재(Kim, Min-jae),송영수(Song, Youngsoo)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6

        [연구목적] 학습민첩성은 Lombardo and Eichinger(2000)가 그 개념을 최초로 주창한 이래 다양한 관점에서 개념정의와 구성요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국내기업에의 적용을 위한 목적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에 실천적 관점에서 국내기업에의 적용을 위한 학습민첩성의 개념정의와 구성요인을 탐색해보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국내 인적자원개발 관련 산학연 전문가를 활용한 델파이 기법, 초점집단면접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함으로써 삼각검증을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사전적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산학연 전문가 23명으로부터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개념정의와 구성요인을 확인하였고, 2차와 3차 델파이조사 뒤에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최종적인 개념정의와 구성요인을 확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내용타당도비율(CVR)을 파악하여 델파이조사의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국내기업에의 실질적 적용을 위한 학습민첩성의 개념적 정의에 있어서 포괄적 접근 관점에서의 개념정의가 이루어졌다. 구성요인은 크게 성장지향, 자아성찰, 관계지향, 변화지향, 유연한 사고, 도전적 실험의 6개가 도출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학습민첩성 구성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실천적 관점에서의 교육과정 개발과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Purpose] Since Lombardo and Eichinger(2000) advocated the concept of learning agility, a lot of studies had been conducted worldwide. But the research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o Korean compan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constructs of learning agility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triangulation by adopting literature review, 3-round Delphi method, and 2-round focus group interview. 23 experts from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es participated in the Delphi survey. CVR(Content Validity Ratio) was used as a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constructs. [Findings] The characteristic of learning agility concept derived from Delphi method and FGI is that it takes the comprehensive approach. 6 major constructs of growth-oriented, self-reflective, relationship-oriented, change-oriented, flexible thinking, and challenging experiments are derived. [Implications] Identified constructs provide a founda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rrelation analysi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As a result, it can help reinforce learning agility in Korean companies.

      • 직장인 대상 스마트러닝에서의 적응형 학습분석 활용사례 발표

        금만(Kum-Man Kang),김민재(Min-jae Kim),송영수(Young Soo S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4 No.1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5G 기술이 발전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러닝이 확산되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분석은 스마트러닝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연구는 직장인 대상 스마트러닝에서의 학습분석 활용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학습분석의 주요 구성요인과 프로세스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대표적 스마트러닝 전문기업 사례를 분석해 본 결과, 적응형 학습을 위한 학습분석 구조와 프로세스는 수많은 마이크로 콘텐츠, 학습자 기본 정보, 학습자가 마이크로 콘텐츠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학습 정보, 마이크로 콘텐츠 관련 메타데이터와 학습 관련 정보로 구성된 빅데이터, 인공지능에 의한 학습분석, 디지털 콘텐츠 큐레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학습자가 처한 환경, 학습 상황, 학습자 수준에 따라 학습자에게 필요하거나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콘텐츠 큐레이션이 적응형 학습분석의 최종 지향점이었다. 이러한 적응형 학습분석은 스마트러닝 시스템 구축, 마이크로 콘텐츠 확보, 자기주도 학습을 권장하는 학습 정책이 뒷받침될 때 더욱 효과적이었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5G technologies have developed, and smart learning has spread. Since data-based learning analytics can be applied more effectively in smart learning,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main components and processes of learning analytics by analyzing the use cases of learning analytics in smart learning for employe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of representative smart learning companies in Korea, the adaptive learning analytics structure and process are composed of numerous micro contents, basic information of learners, learning activit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learners learning micro contents, big data consisting of micro content-related metadata and learning activity-related information, learning analytics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content curation. Content curation, which recommends necessary or appropriate content to learners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 learning situation, and learner level, was the final goal of adaptive learning analytics. This adaptive learning analytics was more effective when supported by a smart learning system, micro content development, and a learning policy that encouraged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